목차
북한의 수립과정
북한 권력기관의 구조 및 특징
북한의 삼대세습
북한 권력기관의 구조 및 특징
북한의 삼대세습
본문내용
북한의 삼대세습
김정일 체제
1990’s 군사지도자로서의 자신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데 주력
- 1990년 5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회 제 1부위원장 선출.
12월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추대.
- 1992년 4월 ‘원수’칭호를 수여 받음.
- 1993년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회 위원장 직 ,북한의 군 통수권 장악.
1994년 7월 김일성이 사망 -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의 위상으로 자신의 통치 체제를 재정비.
1997년 말 노동당의 총 비로 추대, 이듬해 9월 개정헌법을 통과시키면서 권한이 강화된 국방위원장의 지위에 올라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 개막.
1990년대 중반 이래 최근까지
-심각한 경제난과 북핵 문제 등을 둘러싼 국제사회와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김정일은 비교적 안정적인 권력기반 유지.
-사망하기 전까지 김정은으로의 3대 세습체제의 안착을 위한 기반조성에 총력을 기울임.
-2010년 3대 세습을 공식화, 2011년 12월17일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 체제로의 이행
김정일 체제
1990’s 군사지도자로서의 자신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데 주력
- 1990년 5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회 제 1부위원장 선출.
12월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추대.
- 1992년 4월 ‘원수’칭호를 수여 받음.
- 1993년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회 위원장 직 ,북한의 군 통수권 장악.
1994년 7월 김일성이 사망 -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의 위상으로 자신의 통치 체제를 재정비.
1997년 말 노동당의 총 비로 추대, 이듬해 9월 개정헌법을 통과시키면서 권한이 강화된 국방위원장의 지위에 올라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 개막.
1990년대 중반 이래 최근까지
-심각한 경제난과 북핵 문제 등을 둘러싼 국제사회와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김정일은 비교적 안정적인 권력기반 유지.
-사망하기 전까지 김정은으로의 3대 세습체제의 안착을 위한 기반조성에 총력을 기울임.
-2010년 3대 세습을 공식화, 2011년 12월17일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 체제로의 이행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의 노동법 제정사
[경제학과 북한의 사회와 경제] 북한의 ‘주체사상’에 관해서 논하시오
[북한여성][북한 여성정책][북한여성 지위][북한여성 사회참여][북한여성을 위한 사회보장제...
[국문학연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러한 북한문...
[북한의 교육][북한교육][국어교육][사회교육][도덕교육][세계사교육][영재교육][사상교육]북...
북한 사회 형성, 체재, 특징, 구조적 문제점, 국제관계, 북한 미래 전망, 관리, 역할, 기법, ...
산림관리를 통해 본 북한의 사회통제력
[생산][한국 지식정보 생산][미국 노동 생산][일본 토마토 생산][북한 사회 생산][독일 자동...
북한의이해,북한의 주체사상,남북관계와역사,대북정책
[북한의 사회와 경제 D형] 북한의 거시경제 현황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A형] 북한의 권력기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B형] 북한 경제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