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성주의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성주의란 무엇인가?
1)구성주의
2)구성주의에서 바라보는 지식
2.구성주의 학습이론의 유형
1)인지적 발달 이론
2)사회발달이론
3)구성주의자 이론
4)상황학습이론
5)인지적 유연성 이론

3.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사의 역할
1) 학생들에게 끊임없이 질문하는 교사
2)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는 교사
3) 학생들에게 직접 표현하게 하는 교사
4) 적극적이고 활발한 수업환경의 조성 (오답에 대한 긍정적 반응)
Ⅲ. 결론

본문내용

지 바르게 가고 있는지는 알아차릴 수 있다. 이 때, 교사가 행하는 방식에 따라 구성주의 수업의 수준과 질이 결정된다고 본다.
구성주의 수업의 특성상 교사가 너의 사고방식이 이러이러 해서 잘못되었다 라고 짚어주게 되면 이와 동시에 이 수업은 주입식 교육과 별반 다를 게 없어지고, 학생들이 교사가 내리는 심판을 조마조마하게 기다리면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이 자유로운 수업이 되질 못한다. 구성주의 수업의 가장 큰 특징은 학생들이 자신들이 스스로 사고의 주체가 되어서 수업을 하는 것인데 교사가 학생들에게 옳다 그르다를 말해준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그러므로, 구성주의 수업에서 교사는 결코 정답인지 오답인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학생에게 ‘너의 생각’ 에 대해서 물어본다. 그러면 질문을 받은 학생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이야기 하게 된다. 그러면 그 학생은 자신의 생각을 말하게 되고 다른 학생들은 그 학생의 의견을 듣게 된다. 행여나 다소 잘못된 방식으로 사고를 펼치던 학생이 있다하더라도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들으면서 자신들의 사고를 바로 정립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
구성주의 수업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학생들이 결코 다른 학생들의 정 오답 여부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다. 수업 시간을 통해서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과 인식의 폭을 확장하면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 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답이 나왔을 때 결코 비난하거나 지적하지 않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서 다른 방식으로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자신만의 사고의 오류에 빠지지 않고 비고츠기가 이야기 한 사회적 학습을 통한 인지발달이 잘 이루어진다고 본다.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것에 부끄러워하거나, 또는 나와는 다른 사고방식을 가진 학생을 야유하거나 비웃지 않도록 수업환경을 잘 조성해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가 학생들의 의견 하나하나를 존중해야 한다. 또한 매 시간 수업의 목표를 다른 반과 진도를 맞추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기 보다는 내가 가르치는 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인식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내가 도와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Ⅲ. 결론
이상으로 우리는 이제까지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구성주의에서의 교사는 더 이상 지식과 정보의 전달자, 수업의 일방적인 관리자, 감독자가 아니라 학습과정의 촉진자, 조언자, 자문인, 코치, 나아가 동료 학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오늘날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은 문제해결력반성적비판적 사고, 창의성 등을 비롯한 고등 정신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이러한 능력은 저절로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인지과정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맥락에 적합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구성주의는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고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능동적, 적극적,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하는 학습이론이다. 물론 지금까지 많은 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을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경주해왔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습을 마음대로 좌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이제 더 이상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없다. 학생들의 자율성과 표현의 자유, 능동적 학습과정을 존중하고 비경쟁적, 비위협적, 협동적, 대화적 학습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교사야말로 이 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상이다. 요컨대 구성주의는 세상을 뒤흔드는 획기적인 무언가를 추구하자는 주장이 아니라, 지금까지 나름대로의 영감과 교육적 소신을 가진 교사들이 충분한 이론적 기초없이 수행해 왔던 일부 노력에 견실한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한다.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기본 정신은 한마디로 학습자들이 자신에게 의미있는 삶을 스스로 개척할 수 있는 창의적인 문제해결자, 평생학습자가 되도록 돕자는 데 있다.
이번 교육개혁이 지향하는 새로운 교육체제는 수요자 중심의 열린 교육체제이다. "열린교육"이라는 말은 최근까지만 해도 몇몇 관심 있는 교육학자나 일부 교사들이 쓰는 전문용어쯤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는 초중등학교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용어의 하나가 되고 있다. 열린교육은 종래의 규격화된 일제식 수업과 경직된 교육 운영의 틀을 깨고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기주도성을 강조하는 교육운동이다. 특히 한국교육은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길러주는데 실패하고 있다는 비판과 각성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던 터에 교육 현장으로부터 열린교육운동이 일어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이처럼 학습자중심의 학습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은 구성주의(constructivism)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열린교육과 7차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기본 교수학습관도 단순한 구호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참고 문헌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1997.
김종문 외 13명 공저,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이해, 양서원, 2008.
김종문 외 13명 공저,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마리아 위켓, 김진호, 구성주의 수학교실 -나눗셈-, 경문사, 2007.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2005
여광응 외 6명 공저, 학교학습 극대화를 위한 교육심리학, 양서원, 2004.
이원희,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5.
이상구, 구성주의 문학교육론, 박이정, 2002.
재클린 브룩스, 추병완 역,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백의, 1995.
Lesile P. Steffe Jerry Gale, 조연주 외 4명 공역, 구성주의와 교육, 1997.
Piaget and Inhelder,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 to Adolescence,
Routledge, 1969
Robert E. Slavin, 강갑원 역, 교육심리학 :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6.
http://blog.naver.com/eunby88?Redirect=Log&logNo=10032093816
http://blog.naver.com/truefact?Redirect=Log&logNo=60037146019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12.11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3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