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공학 실험] 2001년식 EF 쏘나타 분해 및 조립, 자동차 현가 장치, 제동장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차 공학 실험] 2001년식 EF 쏘나타 분해 및 조립, 자동차 현가 장치, 제동장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스펜션(현가장치)♦

♦브레이크(제동장치)♦
(1) 풋 브레이크(foot brack)
(2) 핸드 브레이크(hand brake)

♦EF소나타 앞바퀴 분해♦


실험제목 : 2001년식 EF 쏘나타 분해 및 조립
연구과제 : 디스크와 캘리퍼 및 허브의 종류와 역할

디스크 브레이크

본문내용

다.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실린더 내의 유압이 저하되어 피스톤 실에 의해 피스톤이 제자리로 돌아 오는데 이 원리 때문에 항상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간격은 항시 일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동 시 캘리퍼 내의 실이 아래 그림과 같이 변형되었다가 해제 시는 실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피스톤이 리턴되면서 제동이 해제 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종류
1. 고정 캘리퍼형(fixed caliper type)
캘리퍼가 고정되어있는 타입으로 실린더 2개를 두고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압착 시켜 제동을 하는 타입이다. 이 형식에는 캘리퍼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연결 파이프를 거쳐 오일이 유입되는 캘리퍼 일체형과 캘리퍼가 중심에서 둘로 분할되고 각각에 실린더를 일체로 주조하여 오일의 유입은 내부 홈을 통해 들어오도록 된 캘리퍼 분할형이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종류
2. 부동 캘리퍼형(floating caliper type)
이 형식은 캘리퍼 한쪽에만 1개 또는 2개의 실린더를 두고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이 작동하면 피스톤이 패드를 디스크에 압착하고 이때의 반발력으로 캘리퍼가 이동하여 반대쪽 패드도 디스크를 압착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이다. 냉각작용이 우수하고 부품수가 적어 설치공간이 우수하여 주차 브레이크의 조립이 쉬운 장점이 있어 현재 승용차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디스크 플레이트의 종류
기존의 자동차는 솔리드 디스크(solid disk)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제동시에 디스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기중으로 발산시키지 못하여 문제점이 많아 현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크 원주에 공기 구멍이 있는 벤틸레이티드 디스크(ventilated disc)를 많이 사용한다. 벤틸레이티드 디스크는 장시간 사용해도 디스크패드의 열변형이 적어 제동력이 좋고 페이드 현상을 방지해 패드의 수명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캘리퍼
캘리퍼의 역할
패드를 디스크 브레이크에 밀착시켜 브레이크를 잡아주는 장치로,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디스크를 감싸는 형태를 하고 있다.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을 때 매스터 실린더가 유압을 받으면, 실린더 안의 브레이크 오일이 유압을 발생시켜 실린더 안에서 좌우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좌로 작용하는 힘은 피스톤을 미끄러지게 만들어 안쪽 패드를 디스크에 압착하고, 우로 작용하는 힘은 하우징을 오른쪽으로 미끄러지게 만든다. 이렇게 되면 바깥쪽 패드가 디스크에 압착되어 안쪽 패드와 동시에 마찰력을 일으킨다.
캘리퍼의 종류
1, 캘리퍼 일체형
이 방식은 휠과 함깨 회전하는 디스크와 고정된 캘리퍼로 구성된다.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압이 전달되면 피스톤 끝의 패드를 디스크 양면에 압착하여 제동한다 피스톤 이외의 미끄럼부분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그러나 디스크를 양쪽에서 밀어 압착하므로 차량 바깥쪽 실린더의 통기성이 나빠진다.
2. 부동형 캘리퍼
캘리퍼를 부동상태로 하여 캘리퍼의 한쪽에 피스톤과 실린더를 두고 다른 한쪽에는 패드의 반작용이 생기게 하여 디스크를 압착하는 방식이다. 캘리퍼 실린더 내에 유압이 걸리면 피스톤이 작동하여 디스크를 압착한다. 이때 캘리퍼는 피스톤 반대쪽의 패드를 압착한다.
허브
허브의 역할
차축이 설치되는 구멍 주위에 두툼하게 생긴 부분. 휠을 부착하는 부품을 말하며, 휠 베어링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타이어를 허브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너트를 각각 허브 볼트, 허브 너트라고 하며, 휠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허브 오너먼트라고 한다 바퀴와 구동축을 연결시켜주는 장치를 로킹 허브(locking hub)라고 한다.
허브의 종류
수동식
로킹 허브에 손잡이(다이얼)가 달려 있어 4x4가 필요할 때 하차하여 양쪽의 손잡이를 돌려 로킹시키는 타입으로 최초의 로킹 허브 타입이며 불편한 만큼 구조도 단순하며 가격도 싼 편이다. 반면에 고장이 거의 없는 것이 장점이다.
자동식
1. 롤러 타입 : 테이퍼 롤러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차에 따라 4x4가 작동되는 기계식 타입으로 무겁고 롤러의 마모가 많아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2. 캠 타입 : 캠 형상을 한 기어의 이동에 따라 4x4가 작동되는 기계식 타입으로 주행중에도 4x4로의 전환이 가능하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잘나며 4X2로 해제할 때 후진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4x4로 전환시 구조적인 충격음이 들린다.
3. 진공 타입 : 진공압을 이용하여 허브를 잡아주는 타입으로 로킹 허브의 구조는 간단하나 주변 부품이 많으며 진공압 유지가 힘들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1.2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