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가의 형성과 슬럼가문제 해결책(슬럼가실태, 슬럼가문제점, 슬럼가대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슬럼가의 형성과 슬럼가문제 해결책(슬럼가실태, 슬럼가문제점, 슬럼가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슬럼가 실태
2. 최근 보도된 신문기사 발췌


Ⅱ. 슬럼가 원인

1. 형성과정
2. 근본적인 원인


Ⅲ. 슬럼가의 문제점 및 대책




Ⅳ. 결론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그러나 그곳의 독거노인 등 상당수 주민은 불법주택에 거주하는 이유 때문에 복지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그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2000년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5.2%인 74만 가구가 화장실, 부엌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은 오래전부터 '최저주거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최저임금제와 유사한 개념으로 최소한의 주거면적. 시설. 환경 등을 정부가 뒷받침하는 정책을 말한다. 열악한 주거환경의 개선은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이라는 주거의 기본적 권리 확보에 해당된다. 주민 스스로 자조. 자치적 노력의 바탕 위에 당국의 적극적 정책 프로그램이 제시돼야 한다. 따라서 사회통합관점에서 빈곤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선정기준을 개선하여 기초보장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자활정책의 활성화로 탈 빈곤을 유도해야한다. 이러한 지역의 주민들이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인해 서로 따뜻한 정과 화합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동네자치모임과 행사를 정례화해서 사회조직에서 이탈하지 않게 해야 한다. 실제적으로 빈곤가정 아동들에게 역할모델이 될 수 있는 자원을 연결해서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게 해야 하겠다. 국내의 모델뿐만아니라 세계의모델을 포함해서 ( 모델의예: 슬럼가출신의 흑인운동가 말콤X , 권투선수 무하마드 알리등 ) 또한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갖고 있는 부정적인시각을 바꿔야한다. 세계는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변해야한다.
Ⅳ.결론
슬럼가의 학술자료를 찾지못해서 이를 참고할만한 모델이 없었기 때문에 이것을 조사하고 자료수집하는 과정에서 후회도 많이했다. 그렇지만 나름대로 공부도 많이 됐고 이들에게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 슬럼가의 자료가 부족한 이유는 해결 관점이 다양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계획법의 관점으로 접근해서 해결을 하는 논문이 대다수다. 하지만 무엇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빈곤에서 비롯됐고 따라서 빈곤의 해결책만 찾는다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모두 해결된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모든 문제에 정답을 찾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실천을 하면서 정답을 만들어가는 것이 사회복지란 생각이 들었다. 여태까지 사회문제를 접하고 누군가가 문제해결을 하겠지라는 수동적인 자세만 취해왔었다. 적은시간이라면 적은시간이지만 사회복지문제에대해 공부를 하면서 양지보다는 음지를 먼저 찾게되고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자신이 비참해져서 쓸모가 없어졌다 하더라도 사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지금 우리가 있는 이 자리는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이고 누구나 자기자리가 있다. 나는 내가 겪어봤던 환경만 쉽게 동감했을 뿐, 상대방의 다른 입장에서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우리주변에 힘들게 자라는 아이들과 어른들 또는 장애인에 좀 더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다고 다짐했다. 얼마 전 부산의 아동성폭행 살인사건을 접하고 가해자든 피해자든 어려운 이들에게 어려운 일이 더 많이 닥쳐온다는 현실을 보여준 거같아 마음이 아프다. ‘관심과 조금만’이라는 단어가 지금 싯점에서 가장 떠올려진다. 우리주변에 어려운 사람에게 조금만 귀기울여주고 관심을 가진다면 조금씩 변화하면서 모두가 함께 행복하게 살아갈거라 믿는다.
발표를 마치면서
슬럼가란 용어가 생소하고 나와는 동떨어진 어딘가에있는 다른 세상인줄 알았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차가 들어갈수 없는 골목길과 철길옆쪽 산꼭대기에 주로 위치해있습니다. 한번쯤 이런지역을 지나다 보면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에게 웃음을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Ⅴ.참고자료
- 김진욱,한국의 소득불평등 변화요인분석,사회경제평론 제19호.
- 조 은.조옥라.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 서울대학교 출판부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2.14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6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