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식사요법(급성위염, 당뇨식, 급성간염, 고혈압, 고지혈증, 급성신부전, 식사요법및실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질환별 식사요법(급성위염, 당뇨식, 급성간염, 고혈압, 고지혈증, 급성신부전, 식사요법및실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급성위염...............................................................1~5 page


2. 당뇨식.................................................................6~11 page


3. 급성간염...........................................................12~20 page


4. 고혈압...............................................................21~27 page


5. 고지혈증...........................................................28~34 page


6. 급성신부전........................................................35~41 page


**유동식만들기..............................................42~43 page

본문내용

) 당근과 샐러리는 채썬다.
ⅳ) 볼에 다듬어진 재료를 모두 넣고 마요네즈로 버무린다.
④고기전
재료분량
-쇠고기(20g), 피망(25g), 두부(20g), 달걀(10g), 식용유(3g)
만드는 방법
ⅰ) 쇠고기는 살로 다지고, 두부는 행주에 짜서 칼등으로 으깬다.
ⅱ) 쇠고기와 두부를 합하여 다진 피망, 파, 마늘 등 양념을 넣어 고루 주물러서 지름이 3.5cm정도로 동글납작하게 완자를 빚는다.
ⅲ) 완자에 달걀을 푼 물에 담갔다가 지진다.
⑤육개장
재료분량
-쇠고기(40g), 무(40g), 사골(20g), 토란대(20g), 달걀(10g)
만드는 방법
ⅰ) 끓는 물에 쇠고기와 양파, 대파, 통마늘, 무를 넣고 푹 끓인다.
ⅱ) 고기가 익었으면 먹기 좋게 결대로 찢는다.
ⅲ) 찢은 고기에 간장1/2작은 술, 참기름1/2작은 술로 간하여 조물 조물 무친다.
ⅳ) 끓는 물에 다듬은 토란대, 대파를 푹 쳐지도록 데쳐 물기를 뺀다.
ⅴ) 데친 야채를 적당한 크기로 자르거나 찢는다.
ⅵ) 냄비에 식용유3큰술, 고춧가루3큰 술을 넣고 약 불에서 볶아 고추기름을 만든다.
ⅶ) 고추기름에 야채와 고기를 넣고 다진 마늘, 다진 파, 간장,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 름, 고춧가루를 넣고 버무린다.
ⅷ) 사골에 버무린 야채와 고기를 넣고 끓인다.
ⅸ) 국물에 야채와 고기 맛이 충분히 나도록 푹 끓인다.
ⅹ) 마지막에 소금, 후추로 간하고 달걀은 기호에 따라 넣는다.
⑥닭냉채
재료분량
-닭고기(80g), 오이(), 당근(), 피망(), 양파() 마요네즈(), 청주, 겨자, 소금, 후춧가루
만드는 방법
ⅰ) 부드럽게 익힌 닭고기를 식힌 다음 살만 발라서 큼직큼직하게 찢는다.
ⅱ) 오이는 소금으로 문질러서 깨끗이 씻은 다음 납작납작하게 썬다.
ⅲ) 당근과 양파는 껍질을 벗긴 다음 오이와 같은 크기로 납작납작하게 썬다.
(당근은 데치면 좋다.)
ⅳ) 피망은 통째로 썬다.
ⅴ) 시원하게 보이는 유리접시의 가장자리에 오이, 당근, 양파, 피망을 돌려가면서 담고 닭고기는 중심에 얹는다.
ⅵ) 마늘 양념은 배합 비율대로 합하여 상에 내기 직전에 닭고기에 뿌려서 내면 겨자초 장과는 다른 아주 개운한 맛을 즐길 수 있는 냉채가 된다.
⑦표고전
재료분량
-생표고(40g), 달걀(10g), 식용유
만드는 방법
ⅰ) 표고버섯은 모양이 좋고 작은 것으로 골라 불린 다음, 깨끗이 씻어 다듬어 놓는다.
ⅱ) 표고버섯은 등에 꽃 모양으로 칼집을 내다.
ⅲ) 불린 표고에 간장, 설탕, 물을 섞어 조려서 간이 배도록 한 후에 전을 부쳐도 된다.
ⅳ) 달걀을 씌워 부친다.
⑧갈치조림
재료분량
-갈치(75g), 무(30g)
만드는 방법
ⅰ) 갈치는 먹기 좋은 크기로 토막을 낸 후 내장, 지느러미를 제거하고 소금을 뿌려놓는 다.
ⅱ) 무는 두툼하게 썰고 대파는 어슷하게 썬다.
ⅲ) 마늘, 생강은 다져서 준비한다.
ⅳ) 고춧가루, 간장, 맛술, 설탕, 물엿, 후춧가루, 깨를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ⅴ) 냄비에 참기름을 살짝 두른 뒤 무를 먼저 깔고 갈치를 넣는다.
ⅵ) 만든 조림장을 반정도 넣고 조린다.
ⅶ) 센불에서 처음 조리고 양념장을 끼얹어 가며 나중에는 약한 불에 조린다.
ⅷ) 도중에 조림의 색을 보고 만든 양념장을 마저 넣는다. 이때 다진 생강과 다진 마늘, 대파를 넣고 같이 조린다.
ⅸ) 갈치와 무에 색과 간이 들고 윤기나게 조려지면 불을 끈다.
⑨도라지 생채
재료분량
-도라지(50g)
만드는 방법
ⅰ) 가늘게 찢어서 소금에 주물러 냉수에 헹구어 쓴맛을 뺀 다음 꼭 짜서 물기를 뺀다.
ⅱ) 도라지는 고춧가루에 버무려서 연분홍으로 물을 들인다. 오이는 가볍게 물기를 짠다.
ⅲ) 오묵한 볼에 담고 설탕, 식초, 소금, 깨소금으로 양념한다.
⑩탕평채
재료분량
-녹두묵(), 미나리(), 쇠고기(), 달걀(), 김(), 참기름, 파, 마늘, 소금, 후춧가루
만드는 방법
ⅰ) 채 썬 쇠고기에 간장, 깨소금, 소금, 후춧가루 약간을 넣고 고기 양념하여 놓는다.
ⅱ)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뜨거워지면 미나리를 소금을 조금씩 뿌려가며 볶아서 넓 은 쟁반에 펴 식힌다.
ⅲ) 기름을 더 보충하여 양념한 쇠고기를 볶은 다음 볶아 놓은 미나리를 합하여 다시 한 번 살짝 볶아낸다.
ⅳ) 녹두묵을 가지런히 담고 위에 볶아 놓은 2 가지를 그 위에 계란 지단채를 얹는다.
ⅴ) 양념장을 함께 곁들여 낸다.
5. 결과 및 고찰(반성 및 소감)
식단을 환자의 병상태(급성간염)에 맞게 식단을 짜고 이것을 또 실제 만들어 보았는데 식단으로만 짜다가 실제 만들어 보니 눈에 뭐가 잘못되었는지 확 띄었고 그 식단에 대한 실제 평가를 할 수 있어 좋았다.
특히 이 급성간염의 경우는 무엇보다 환자에게 단백질 급원 식품을 많이 섭취하게 하기위해 좀 더 풍성한 재료로 식단을 짜야하나 나름대로 준다고는 줬는데 눈에 확 들어나지 않아 아쉬웠고 풍성한 식단이 되기위해 1~2가지 더 부찬을 늘려 환자에게 식사의 의욕이 나도록 조리법도 생각하여 짜는게 중요한 것 같다.
실제 눈대중량과 1인 분량을 비교하여 보니 국조절이 제일 어려웠다. 주찬이나 부찬의 경우 1인분량을 거의 다 사용하여 조리를 하나 국의 경우 재료의 1/3정도만 사용하거나 거의 1인분량을 사용하지 않고 국물의 양과 적당히 맞춰야 하는데 식단을 짜는 것은 쉬웠으나 실제 만들어 보니 국물에 비해 건더기가 너무 많은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 식단에서 간식의 비중이 너무 높아서 간식의 비중을 좀 줄이고 주식에 더 신경을 써서 식단을 짠다면 더 좋은 식단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또 음식하나하나 서로 어울리게 짜야 하는데 어울리지 않는 음식배치로 이 식단의 점심의 경우 깍두기보다는 배추김치가 더 어울리고 전반적인 식단에 생채종류가 너무 많은 것 같아 자칫 같은 조리방법으로 환자가 실증을 낼 수도 있어 찜이나 숙채 구이 등 다양한 조리법을 사용하는게 중요하다.
실제 식단의 재료 사용량으로 조리를 하여 식판에 내다보면 양의 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와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식단 짜는 단계부터 신중을 기하여 짠다면 좀 더 완성된 환자식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5.02.28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