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혼란기 (1920~1923)
2. 안정기 (1924~1928)
3. 몰락기 (1929~1933)
2. 안정기 (1924~1928)
3. 몰락기 (1929~1933)
본문내용
혼란기 (1920~1923)
베르사유 조약 체결
카프폭동 (Kapp Putsch)
- 1920년 3월 13일~17일 베를린에서 우익 정치가 W. 카프를 중심으로 한 쿠데타
- 베를린 노동자들의 총파업
- 3월 17일 베를린을 탈출. 쿠데타 실패
☞ 공화국 초기의 우익동향과 총파업의 효과 를 보여준 사건
루르폭동
- 공산당 중심의 반혁명 쿠데타
- 정부는 자유 군단에게 도움 요청
1920년 6월 선거
- 바이마르 연합파(사회민주당, 민주당)의 대패
- 페렌바흐의 중도우파정부 탄생
연합국에 대한 배상금 지불, 외국 군대의 주둔 → 인플레이션 초래
소련과 라팔로조약 체결(1922.4)
- 서로를 최대수혜국으로 대우하기로 합의
프랑스 5개 대대의 루르 지방 파견
- 점령군에 대한 저항으로서 총파업 실행
- 프랑스, 독일 모두 경제 위기
뮌헨폭동 (München Putsch)
- 1923년 11월 히틀러가 바이마르공화국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
1923년 : 렌텐마르크 (Rentenmark) 도입
- 통화 안정
1924년 : 미국의 원조계획인 ‘도스안 (Dawes Plan)’ 성립
- 독일의 배상문제에 관한 재건
계획안
- 처음 5년간은 10억 마르크,
그 후에는 25억 마르크 지불
- 미국 자본 도입, 산업 일부를 담보로
대부 받음
- 산업합리화, 경제의 회복
1925년 : 로카르노 조약
- 유럽국가들의 안전보장조약
- 전승국과의 화해 확립
- 루르지방 반환
1926년 : 국제연맹 가입
1929년 : 영 안 (Young Plan)
- 배상문제의 최종 해결안
- 연금지불방식으로 지불
베르사유 조약 체결
카프폭동 (Kapp Putsch)
- 1920년 3월 13일~17일 베를린에서 우익 정치가 W. 카프를 중심으로 한 쿠데타
- 베를린 노동자들의 총파업
- 3월 17일 베를린을 탈출. 쿠데타 실패
☞ 공화국 초기의 우익동향과 총파업의 효과 를 보여준 사건
루르폭동
- 공산당 중심의 반혁명 쿠데타
- 정부는 자유 군단에게 도움 요청
1920년 6월 선거
- 바이마르 연합파(사회민주당, 민주당)의 대패
- 페렌바흐의 중도우파정부 탄생
연합국에 대한 배상금 지불, 외국 군대의 주둔 → 인플레이션 초래
소련과 라팔로조약 체결(1922.4)
- 서로를 최대수혜국으로 대우하기로 합의
프랑스 5개 대대의 루르 지방 파견
- 점령군에 대한 저항으로서 총파업 실행
- 프랑스, 독일 모두 경제 위기
뮌헨폭동 (München Putsch)
- 1923년 11월 히틀러가 바이마르공화국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
1923년 : 렌텐마르크 (Rentenmark) 도입
- 통화 안정
1924년 : 미국의 원조계획인 ‘도스안 (Dawes Plan)’ 성립
- 독일의 배상문제에 관한 재건
계획안
- 처음 5년간은 10억 마르크,
그 후에는 25억 마르크 지불
- 미국 자본 도입, 산업 일부를 담보로
대부 받음
- 산업합리화, 경제의 회복
1925년 : 로카르노 조약
- 유럽국가들의 안전보장조약
- 전승국과의 화해 확립
- 루르지방 반환
1926년 : 국제연맹 가입
1929년 : 영 안 (Young Plan)
- 배상문제의 최종 해결안
- 연금지불방식으로 지불
추천자료
대한민국의 통일정책
사회주의 리얼리즘 - 소비에트와 동독을 중심으로
사회보험의 개념과 발달과정
독일 지식사회학의 발전
근대초기 연극의 환경과 미디어체계로서의 희곡
세계문화의 특징과 공통점
[20세기 유럽의 좌익과 우익] 독후감 자료
[헌법][헌법 특성][헌법 분류][헌법이론][성문헌법][불문헌법][대한민국헌법][미국연방헌법]...
[헌법][헌법철학][헌법보호][대한민국헌법][한국헌법][법][법률][법치]헌법의 개념, 헌법의 ...
현행정부형태의 문제점
경제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경제
각 국의 의회제도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 - 마녀사냥과 비교한 반유대주의의 이미지와 홀로코스트
독일의 주요정당과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