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숫자 친구들의 대 모험
3ㆍ6ㆍ9게임
다양한 숫자 놀이-더해보자 더해보자 두 개씩
숫자 10 만들기
시계 보기
숫자로 꾸미기
“숫자친구들의 대 모험” 동화책 만들기
활동을 마치며
3ㆍ6ㆍ9게임
다양한 숫자 놀이-더해보자 더해보자 두 개씩
숫자 10 만들기
시계 보기
숫자로 꾸미기
“숫자친구들의 대 모험” 동화책 만들기
활동을 마치며
본문내용
등이 필요했는데 가방에 숨어 있던 숫자 6이 나타났어 요. “내가 불을 밝혀 줄게” 라고 밝혀 주었어요.
○○ : 숫자 친구들이 깜깜해서 손전등이 없으니까 (숫자)6이 도와주는 거예요.
○○ : 숫자7이 깊은 물인지 모르고 물에 빠져서. “살려 줘~” 하는 이야기가 들렸어요.
“어푸 어푸 꼬르륵 날 좀 구해줘” 숫자 친구들은 너무 놀랐어요.
○○ : (숫자)7이 물에 빠진 모습 이예요. 밤이어서 달이 떴어요.
○○ : 그 때 튜브처럼 매달려 있던 숫자8이 동그라미 안에 담아서 숫자7을 꺼내 주었어요.
“숫자 8아 고마워” 모두가 기뻤어요.
○○ : 숫자8이 7을 꺼내 주고 있어요.
○○ : 숫자9가 수영을 하고 있다가 배 가까이에 와서… 배를 행복한 무지개섬까지 데려다 주었어요.
○○ : 고래처럼 생긴 숫자9가 배를 끌고 데려다 주고 있어요.
○○ : 우리는 숫자 책을 읽으며 똑똑해지고, 우리는 다 알고 있으니까 동생들에게 보여줘 요.
책의 내용을 만들고 난 후에, 표지와 제목을 정하였다.
○○ : (숫자들이)구해주고, 다치고 그러잖아. 숫자들의 대모험!!
○○ : 배를 타고 떠나는 숫자들의 대모험.
○○ : 숫자 모두 도착해서 파티를 하고 있어요.
활동을 마치며
수 활동을 정리하며 교사는 어린이들이 수에 대해서 좀 더 자연스럽게 접근하며 수 놀이가 즐거울 수 있기를 바라는 처음 마음을 되돌아본다.
‘우리가 좀 더 수를 가깝게 느끼고 생활 속에서 놀이하는 마음으로 수를 사용할 수 있다면 좋겠다.’
어른들은 어린이들에게 사회적인 약속 기호인 수를 빠른 시간에 능숙하게 익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의 기초적인 부분을 간과하고 덧셈 다음은 뺄셈, 기본 방정식 그리고 곱셈과 나눗셈 형식의 진행 방향으로 지면의 숫자들로 접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는 약속된 기호로써 의미를 축약하고 있기에 기초를 정확하게 다지지 않고 익히게 되면, 15를 10과 5의 합이 아닌 1과 5의 만남으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처럼 수의 축을 잘못 세우기 십상이다.
수를 접할 때 생활 속에서 쓰임새에 따라 필요에 의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수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되지만, 반대로 활동지를 통해 기계적으로 익히게 될 경우 어린이들은 수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수가 커지고 복잡해질수록 더욱 수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어린이들과 수에 숨겨진 의미와 다양한 면을 깊이 있게 찾아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지만 수의 의미를 재미있게 즐겼던 과정을 소중히 생각해 본다.
“덧셈, 곱하기, 구구단 말하는 거, 3ㆍ6ㆍ9, 더해보자 두 개씩, 만들어 보자 숫자10, 밥 먹을 때 선생님이 숫자 5까지 먹어라~, 사탕가지고 놀기, 달력 만들기, 숫자로 신기한 그림그리기, 숫자 보물찾기”
○○ : 선생님 떡이 5개 있는데요. 내가 2개를 먹으면 3개만 남죠?
간식 시간에 나온 떡으로 셈을 말하는 ○○을 보며 수를 대하는 경쾌한 목소리에 감사한다. 무지개반 어린이 모두가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수를 사용하며 앞으로 만나게 될 많은 수와 좀 더 편하게 친해지고, 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숫자 친구들이 깜깜해서 손전등이 없으니까 (숫자)6이 도와주는 거예요.
○○ : 숫자7이 깊은 물인지 모르고 물에 빠져서. “살려 줘~” 하는 이야기가 들렸어요.
“어푸 어푸 꼬르륵 날 좀 구해줘” 숫자 친구들은 너무 놀랐어요.
○○ : (숫자)7이 물에 빠진 모습 이예요. 밤이어서 달이 떴어요.
○○ : 그 때 튜브처럼 매달려 있던 숫자8이 동그라미 안에 담아서 숫자7을 꺼내 주었어요.
“숫자 8아 고마워” 모두가 기뻤어요.
○○ : 숫자8이 7을 꺼내 주고 있어요.
○○ : 숫자9가 수영을 하고 있다가 배 가까이에 와서… 배를 행복한 무지개섬까지 데려다 주었어요.
○○ : 고래처럼 생긴 숫자9가 배를 끌고 데려다 주고 있어요.
○○ : 우리는 숫자 책을 읽으며 똑똑해지고, 우리는 다 알고 있으니까 동생들에게 보여줘 요.
책의 내용을 만들고 난 후에, 표지와 제목을 정하였다.
○○ : (숫자들이)구해주고, 다치고 그러잖아. 숫자들의 대모험!!
○○ : 배를 타고 떠나는 숫자들의 대모험.
○○ : 숫자 모두 도착해서 파티를 하고 있어요.
활동을 마치며
수 활동을 정리하며 교사는 어린이들이 수에 대해서 좀 더 자연스럽게 접근하며 수 놀이가 즐거울 수 있기를 바라는 처음 마음을 되돌아본다.
‘우리가 좀 더 수를 가깝게 느끼고 생활 속에서 놀이하는 마음으로 수를 사용할 수 있다면 좋겠다.’
어른들은 어린이들에게 사회적인 약속 기호인 수를 빠른 시간에 능숙하게 익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의 기초적인 부분을 간과하고 덧셈 다음은 뺄셈, 기본 방정식 그리고 곱셈과 나눗셈 형식의 진행 방향으로 지면의 숫자들로 접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는 약속된 기호로써 의미를 축약하고 있기에 기초를 정확하게 다지지 않고 익히게 되면, 15를 10과 5의 합이 아닌 1과 5의 만남으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처럼 수의 축을 잘못 세우기 십상이다.
수를 접할 때 생활 속에서 쓰임새에 따라 필요에 의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수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되지만, 반대로 활동지를 통해 기계적으로 익히게 될 경우 어린이들은 수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수가 커지고 복잡해질수록 더욱 수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어린이들과 수에 숨겨진 의미와 다양한 면을 깊이 있게 찾아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지만 수의 의미를 재미있게 즐겼던 과정을 소중히 생각해 본다.
“덧셈, 곱하기, 구구단 말하는 거, 3ㆍ6ㆍ9, 더해보자 두 개씩, 만들어 보자 숫자10, 밥 먹을 때 선생님이 숫자 5까지 먹어라~, 사탕가지고 놀기, 달력 만들기, 숫자로 신기한 그림그리기, 숫자 보물찾기”
○○ : 선생님 떡이 5개 있는데요. 내가 2개를 먹으면 3개만 남죠?
간식 시간에 나온 떡으로 셈을 말하는 ○○을 보며 수를 대하는 경쾌한 목소리에 감사한다. 무지개반 어린이 모두가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수를 사용하며 앞으로 만나게 될 많은 수와 좀 더 편하게 친해지고, 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