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전도시의 개념
2. 안전도시 공인체계와 기준, 절차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2. 안전도시 공인체계와 기준, 절차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본문내용
있어야 한다. 일곱째, 국내외적으로 안전도시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안전도시 공인기준에 따른 절차를 <그림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 안전도시 공인절차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세계보건기구(WHO)의 안전도시 기준은 일곱 가지로 제시된다. ①안전증진에 책임이 있는 각 계각층의 상호협력 기반의 구축(안전도시 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안전네트워크 구축, 실무협약 체결 등) ②지역공동체 구성원 및 환경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발굴(가정안전, 교통안전, 지역안전, 재난재해, 산업안전, 안전홍보 등) ③고위험 연령과 고위험 환경 및 고위험 계층의 안전 증진 프로그램(영유아안전, 어린이안전, 노인안전, 장애인 생활안전, 취약계층생활안전, 자살예방사업 등) ④사용 가능한 모든 근거에 기반 한 프로그램 마련(안전도시 만들기 기본계획수립 및 조례제정 등) ⑤손상빈도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프로그램(안전도시 만들기 기본조사연구용역 수행) ⑥손상예방 및 안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방안(성과지표 개발 및 평가) ⑦국내외 안전도시 네트워크에의 참여 및 협력방안(안전도시 워크숍 및 연차대회 참석)
<그림 2> 안전도시 공인절차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세계보건기구(WHO)의 안전도시 기준은 일곱 가지로 제시된다. ①안전증진에 책임이 있는 각 계각층의 상호협력 기반의 구축(안전도시 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안전네트워크 구축, 실무협약 체결 등) ②지역공동체 구성원 및 환경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발굴(가정안전, 교통안전, 지역안전, 재난재해, 산업안전, 안전홍보 등) ③고위험 연령과 고위험 환경 및 고위험 계층의 안전 증진 프로그램(영유아안전, 어린이안전, 노인안전, 장애인 생활안전, 취약계층생활안전, 자살예방사업 등) ④사용 가능한 모든 근거에 기반 한 프로그램 마련(안전도시 만들기 기본계획수립 및 조례제정 등) ⑤손상빈도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프로그램(안전도시 만들기 기본조사연구용역 수행) ⑥손상예방 및 안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방안(성과지표 개발 및 평가) ⑦국내외 안전도시 네트워크에의 참여 및 협력방안(안전도시 워크숍 및 연차대회 참석)
키워드
추천자료
민간주도 도시설계의 접근방안에 관한 연구
일본의 주민참가형 도시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
Jane Jacobs의 도시 이론에 관한 연구
레크리에이션의 개념과 기능 및 역할
[유아 안전교육][유치원 안전지도][유아교육][유치원교육][안전교육][안전지도]유아 안전교육...
우리의 현실에 적당한 도시개발 방식에 관한 논의
[유토피아][이상도시][유토피아의 어원][유토피아의 개념][유토피아와 이상도시][유토피아의 ...
[노동안전보건][노동안전보건 실태][덴마크 노동안전보건 사례][노동안전보건 개선 방안]노동...
[안전보건경영시스템]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개념,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
[삶의 질 제고]삶의 질의 개념, 삶의 질의 영향요인, 삶의 질의 수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
한국 근대 도시주거건축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 주택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수영, 수영 개념, 수영 용어, 수영 역사, 수영 특성, 장소, 준비운동, 안전점검사항]수영의 ...
[도시계획 (都市計劃)] 도시계획의 의의(개념, 정의, 범위)와 내용, 도시계획의 종류
지역사회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