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도시(Safety Community)에 관한 이해 - 안전도시의 개념과 공인체계와 기준 및 절차,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전도시(Safety Community)에 관한 이해 - 안전도시의 개념과 공인체계와 기준 및 절차,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안전도시의 개념
2. 안전도시 공인체계와 기준, 절차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본문내용

있어야 한다. 일곱째, 국내외적으로 안전도시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안전도시 공인기준에 따른 절차를 <그림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 안전도시 공인절차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세계보건기구(WHO)의 안전도시 기준은 일곱 가지로 제시된다. ①안전증진에 책임이 있는 각 계각층의 상호협력 기반의 구축(안전도시 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안전네트워크 구축, 실무협약 체결 등) ②지역공동체 구성원 및 환경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발굴(가정안전, 교통안전, 지역안전, 재난재해, 산업안전, 안전홍보 등) ③고위험 연령과 고위험 환경 및 고위험 계층의 안전 증진 프로그램(영유아안전, 어린이안전, 노인안전, 장애인 생활안전, 취약계층생활안전, 자살예방사업 등) ④사용 가능한 모든 근거에 기반 한 프로그램 마련(안전도시 만들기 기본계획수립 및 조례제정 등) ⑤손상빈도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프로그램(안전도시 만들기 기본조사연구용역 수행) ⑥손상예방 및 안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방안(성과지표 개발 및 평가) ⑦국내외 안전도시 네트워크에의 참여 및 협력방안(안전도시 워크숍 및 연차대회 참석)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