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일노사협의제도의 기원과 역사
2. 직원평의회제도
3. 공동결정제도의 내용과 권한
2. 직원평의회제도
3. 공동결정제도의 내용과 권한
본문내용
단지 협의권만 가지게 된다.
<표> 공동결정 대상 및 강도
공동협의권
공동결정권
정보, 청문권
협의권
불완전 공동결정권
완전 공동결정권
재량사안
0
0
-
0
수임사안
0
0
△
△
입법사안
0
△
-
-
주: (구분: 0-인정, △-논란)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에서 적용되는 공동결정제도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단지 차이점이 하나 있다면 직원평의회와 사용자측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면 민간과 공무원 공히 중재위원회에 회부되고 결정이 날 경우 결정의 강제성에서 차이점을 나타낸다. 즉, 민간부문의 경우는 중재위원회의 결정이 강제성이 있어 그 결정에 구속되지만 공무원의 경우는 현업직은 중재위원회의 결정을 따라야 하고 공무원의 경우는 중재안이 권고적 성격만을 띠게 되므로 반드시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
<표> 공동결정 대상 및 강도
공동협의권
공동결정권
정보, 청문권
협의권
불완전 공동결정권
완전 공동결정권
재량사안
0
0
-
0
수임사안
0
0
△
△
입법사안
0
△
-
-
주: (구분: 0-인정, △-논란)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에서 적용되는 공동결정제도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단지 차이점이 하나 있다면 직원평의회와 사용자측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면 민간과 공무원 공히 중재위원회에 회부되고 결정이 날 경우 결정의 강제성에서 차이점을 나타낸다. 즉, 민간부문의 경우는 중재위원회의 결정이 강제성이 있어 그 결정에 구속되지만 공무원의 경우는 현업직은 중재위원회의 결정을 따라야 하고 공무원의 경우는 중재안이 권고적 성격만을 띠게 되므로 반드시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방향
사회복지로서의 가족수당 교육정책 주택정책
[김대중 정부 행정개혁 평가]김대중 정부 행정개혁 평가 분석(신공공관리론과 신거버넌스론, ...
기업경쟁력강화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직업재활]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 제도의 개요, 직업배치, 장애인직업재활의 과정, 장애인...
[직업훈련][직업교육][직업교육훈련]직업훈련(직업교육)의 역사, 직업훈련(직업교육)의 목적,...
2010년 복수노조 허용과 노조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 시행의 문제
2010년 복수노조 시행과 노조전임자 문제에 대하여
포도청과 현대경찰의 비교와 현대경찰제도의 내용과 문제점.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대상과 내용, 유아교육(유치...
[사회복지법제론]사회복지법제론 - 사회복지법제론 요약
임대주택 입주민의 특징,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사례, 주택바우처란 ...
사회복지론_사회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