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셋째, 공직부패의 구조는 시대와 국가를 불문하고 모두 동일한 속성을 지니며, 부패에 개입한 공직자의 범위 또는 부패구조의 진화단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넷째, 부패한 공직자는 부정한 수입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노력하는 동시에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조직 내외의 감독기능을 무력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직부패는 개인부패로부터 조직부패로 발전하고 조직부패는 체제부패로 확대되어 발전된다. 다섯째, 부정행위의 본질은 불법거래, 부패의 교환수단은 부정한 이익이고, 거래의 목적물은 직무상의 권한 또는 공직의 권위, 모든 부정행위는 거래 속성을 지니나, 특히 뇌물이 거래의 속성을 가장 명확하게 가진다. 즉 뇌물은 체제부패의 기본요소이며, 부패의 생성 및 발전을 촉진하는 밑거름이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여성공직자의 모성보호 현실화 방안 모색
공직과 공직윤리에 대한 나의 견해
[정치학개론] 우리나라의 정치부패와 정치자금제도
공직윤리
공직자의 직업윤리
공직윤리의 문제점에대한개선방향
여성공무원(공직자)의 선행연구, 여성공무원(공직자)의 실태, 여성공무원(공직자)의 인센티브...
공무원(공직자)의 분류, 공무원(공직자)의 업무 실태, 공무원(공직자)의 근로자성, 공무원(공...
공무원(공직자)의 유형, 공무원(공직자)의 전문성, 공무원(공직자)의 근무성적평정, 공무원(...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공무원, 금감원을 비롯한 금융권 부정부패를 사회학적 측면에서 비...
[자세][마음가짐][구직자][창업자][경영자][공직자]구직자의 자세(마음가짐), 창업자의 자세(...
[인문(법학)] 한국사회에서의 부패문제
김영란법 찬반 . 반부패 제도를 중심으로 본 공무원 도덕성과 공공성의 관계 [공무원 도덕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