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사] 새로운 수도원 제도들(NEW MONASTIC ORDERS) - 시트 수도회, 카투시안 수도원, 탁발 수도회(프란체스코 수도회, 도미닉 수도회, 갈멜산 수도회, 어거스틴 수도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대교회사] 새로운 수도원 제도들(NEW MONASTIC ORDERS) - 시트 수도회, 카투시안 수도원, 탁발 수도회(프란체스코 수도회, 도미닉 수도회, 갈멜산 수도회, 어거스틴 수도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토 수도회(THE CISTERCIANS)
2. 카투시안 수도원(THE CARTHUSIANS)
3. 탁발 수도회(THE MENDICANT ORDERS)
 1) 프란체스코 수도회(Franciscans)
 2) 도미닉 수도회(Dominicans)
 3) 갈멜산 수도회(Carmelites)
 4) 어거스틴 수도회(Augustinians)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태를 채택했다.
4) 어거스틴 수도회(Augustinians)
어거스틴 수도회도 유사한 역사를 가진다. 이태리에서 반 은둔자 그룹으로 창설되었으나, 신학적 훈련과 학문에 관심을 가진 설교 교단이 되었다. 그들은 히포의 어거스틴 규율을 채택했고 1256년에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
수도원 성직자는 수도원 규율아래 놓여져 있었기 때문에 레귤라(regula [rule])라는 말에서 정규 성직자로 불리었고, 교구 사제는 바깥 세상에 있었기 때문에 세큘룸(Saeculum [world])이라는 말에서 세속 성직자라고 칭해졌다. 이 정교 성지자의 권세와 방법론은 세속 성직자와 충돌을 일으켰다. 수도원 성직자는 감독으로부터 독립되어 있었고, 수도원의 상사들과 교황에게만 책임이 있었다. 이 수도승들이나 탁발승들은 설교를 하고, 고백을 들었고, 원하는 대로 성례를 거행했으므로, 이러한 기능을 규칙적으로 행했던 성직자들과 계속 마찰을 일으켰다.
참고문헌
후스토 L. 곤잘레스 저, 초대교회사, 은성 2012
브루스 셸리 저,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1
박용규 저, 초대교회사, 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김기홍 저, 이야기 교회사, 두란노 2010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