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예절이 부족한 아이(행동수정사례연구, 아동행동, 아동관찰,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사예절이 부족한 아이(행동수정사례연구, 아동행동, 아동관찰,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서론 1쪽
Ⅱ. 이론적 배경
1. 식사예절의 이해
1) 식사예절이란? 1쪽
2) 식사예절의 특징 2쪽
3) 원인 4쪽
4) 개선 및 지도 4쪽
2. 행동수정
1) 행동수정이란? 6쪽
2) 행동수정의 절차
(1) 행동의 특성규정 8쪽
(2) 관찰법의 결정 8쪽
(3) 기초선 측정단계 10쪽
(4) 행동수정 목표 설정 10쪽
(5) 동기 유발 방법과 행동수정기법의 설정 10쪽
(6) 행동 지도 절차의 설정 10쪽
(7) 행동수정 시행과정 11쪽
(8) 결과의 점검 11쪽
(9) 변화된 행동의 유지 계획 11쪽
Ⅲ. 행동수정의 실제
1. 대상아동의 특성 11쪽
2. 발달사항 12쪽
3. 대상 아동의 행동 특징 12쪽
4. 관찰 일시 및 관찰 방법 12쪽
5. 기초선 측정 단계 13쪽
6. 행동수정 목표 설정 15쪽
7. 강화 방법과 행동수정 기법의 설정 15쪽
8.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16쪽
9. 행동수정 시행과정
1) 강화단계 16쪽
2) 반전단계 18쪽
3) 재 강화 단계 20쪽
10. 결과의 점검 22쪽
Ⅳ. 결론
결론 23쪽
참고문헌 24쪽
느낀 점 24쪽

본문내용

내려줘~~!!"라고 연구자를 불렀고, 연구자는 현빈이를 내려주었다.
내려주자 현빈 이는 자신이 앉는 소파에 앉아 핸드폰을 가지고 뽀로로를 봤다.
3일차
5번
현빈이가 기분이 좋은지 밥을 먹는 내내 "으으음~"이라는 소리를 내며 밥을 먹었다.
원래 흘리면서 먹는데 잘 흘리지도 않고
숟가락질도 예쁘게 했다.
4일차
6번
밥을 먹는 내내 "맛이써"라고 말하는 현빈이가 너무 예뻐서 현빈이를 안아주자 현빈 이는 "누나~ 그 남자 틀어줘"라고 했다.
연구자는 "현빈이가 밥 다 먹으면 틀어줄께~"라고 했다.
5일차
7번
김치볶음밥을 먹는데 밥이 안 퍼졌는지 현빈이가 "아앙~"하면서 울기 시작했다.
달래서 현빈이가 밥을 3번 정도는 숟가락을 바르게 잡고 먹더니 불편한지 다시 원래대로 숟가락 끝을 잡고 먹었다.
평 균
5번
( 평균; 25 ÷ 5 = 5번)
재 강화 단계에서는 5일 동안 1일차에는 0번, 2일차에는 7번, 3일차에는 5번, 4일차에는 6번, 마지막 날인 5일차에는 7번으로 점차 횟수가 줄어들다가 다시 증가했지만 차이는 별로 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5일 동안의 평균 횟수는 5번으로 관찰 되었다.
10. 결과의 점검
기초선 단계로부터 강화단계, 반전단계, 재 강화 단계까지 모두 4단계의 문제행동의 수정과정을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그려 보았다.
위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초선 단계에서는 숟가락 끝을 잡고 먹는 횟수가 평균적으로 7.8번 이였다.
강화 단계에서 사회적 강화를 준 결과 평균 횟수가 7번으로 줄었으며 숟가락 끝을 잡고 먹는 횟수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다음 아무런 강화를 주지 않은 반전단계에서는 숟가락 끝을 잡고 먹는 횟수가 점차 증가하여 다시 평균 10번으로 늘어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강화단계에서 사용한 강화방법이 효과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재 강화 단계에서는 강화단계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한 강화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숟가락 끝을 잡고 먹는 횟수가 점점 줄어들었으며 1회 평균 횟수가
5번으로 나왔다.
행동수정의 목표를 밥을 먹을 때 숟가락 끝을 고 밥을 먹는 횟수를 평균 4번으로 줄이는 것으로 정하였으므로 행동수정 연구의 결과는 성공에 근접했다고 볼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숟가락 끝을 잡고 밥을 먹는 아이의 문제행동과 행동수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대상 아동의 숟가락 끝을 잡고 먹는 횟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행동수정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행동을 수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기초선 단계에서 7.8번이라는 평균 횟수가 나왔으나 칭찬하기, 안아주기, 놀아 주기 등의 사회적 강화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평균 횟수가 7번으로 평균 0.8번의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그 효과를 약간이나마 검증할 수 있었다.
때문에 동일한 방법으로 재 강화를 하였으며 평균 횟수를 5번으로 줄일 수 있었다.
재 강화 단계에서 목표로 한 평균 4번으로 줄이지 못했지만, 성공에 근접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성공의 근접한 요인으로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의 가족들의 협조이다.
관찰을 하러 가지 않을 때도 수시로 숟가락 잡는 방법에 대해 얘기
해주고 아이의 행동을 고치고자 한다고 했을 때도 흔쾌히 받아 줬
다.
둘째, 아이에게 적절한 강화물의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아이가 어려 물질적 강화물을 사용하지는 못 했지만, 사회적 강화
물을 통해 아이가 '이런 행동을 하면 칭찬을 받는구나'라고 느끼게 해줬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문제 행동의 수정은 한 가지의 변화만으로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 행동에 대한 막연한 지적 보다는 정확한 원인파악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행동 수정 기법과 강화요법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의 변화도 무시할 수 없다.
주변 환경과 더불어 같이 먹는 식구들의 관심 등 아이가 밥을 먹는데 숟가락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옆에서 계속 말해 주는 것 또한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런한 모든 방법들이 적절히 맞춰져 아동에 맞게 사용되어져 원활한 행동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아동행동 연구 및 관찰평가 - 전남련김재환이혜배. 창지사. 2007
2. 행동수정사례 연구 보고서 - 오산대학 아동보육과 이유진. 2010
- 오산대학 아동보육과 이상미. 2011
3. 다음 통합검색
http://cafe.daum.net/0162844889/6Dod/283?docid=CI4I|6Dod|283|20100605135824&q=%C0%AF%BE%C6%20%BD%C4%BB%E7%20%BF%B9%C0%FD
4. 김미라 교수님 자료 - 12강 밥상머리의 작은 예절, 식사매너
느낀점
처음 과제를 접했을 때 다른 아이들과는 다르게 아이는 빨리 선택했다.
하지만, 현빈이를 보러 매일 놀러만 가다가 문제행동을 찾고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고 만나러 가니까 갑자기 막막해지기 시작했다.
이모한테 한 아이를 정해서 그 아이의 문제행동을 찾고 그 문제행동을 오랜 시간 동안 관찰하면서 고치는 게 과제라고 말하니 이모는 좋아했다.
이모는 잘됐다고 하면서 현빈이의 문제행동을 말해줬다.
그 중에는 현빈이가 아직 귀저기를 못 떼었는데 귀저기를 떼게 하던가 숟가락 쥐는 법을 고쳐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귀저기를 떼게 하는 것 보다야 숟가락 쥐는 법을 고치는 게 쉬울 줄 알고 숟가락 쥐는 법을 고쳐 준다고 큰 소리 쳤지만 관찰하는 날짜는 늘어 가는데 현빈 이는 좀처럼 숟가락을 제대로 쥘 생각을 하지 않았다.
현빈 이는 아직 어려서 스티커 판을 붙일 수도 없고, 강화물을 어떻게 해야 될지 생각하고 있는데 다행히 현빈 이는 갤럭시 탭을 좋아해서 그걸 이용했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와! 이 과제 진짜 대박 이다." 라는 생각도 했지만 느낀 점을 쓰고 있는 지금 순간에는 내가 해냈다는 성취감에 저절로 행복해진다.
아쉽게도 목표로 설정한 것은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실패는 아니고 성공에 근접했으니까 위로가 된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현빈이의 숟가락 쥐는 법을 가르치고 지금도 종종 놀러 가는데 볼 때마다 숟가락 쥐는 법이 좋아지고 있어서 뿌듯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5.03.31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