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II.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단백질의 구조
1-1. 1차 구조
1-2. 2차 구조
1-3. 3차 구조
1-4. 4차 구조
2. 단백질의 기능
2-1. 체조직의 구성성분
2-2. 효소, 호르몬 및 항체 형성
1-3. 에너지의 발생
1-4. 체내 대사과정 조절
III.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IV.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단백질의 검출
2. 실험 방법(Methods)
2-1. 뷰렛 반응(bluret reaction)
2-2. 닌히드린 반응(ninhydrine reaction)
V. 결과(Results)
1. 뷰렛반응(bluret reaction)
2. 닌히드린 반응(ninhydrine reaction)
VI. 고찰(Discussion)
1. 뷰렛반응(bluret reaction)
2. 닌히드린 반응(ninhydrine reaction)
VII. 참고문헌(Literature cited)
II.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단백질의 구조
1-1. 1차 구조
1-2. 2차 구조
1-3. 3차 구조
1-4. 4차 구조
2. 단백질의 기능
2-1. 체조직의 구성성분
2-2. 효소, 호르몬 및 항체 형성
1-3. 에너지의 발생
1-4. 체내 대사과정 조절
III.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IV.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단백질의 검출
2. 실험 방법(Methods)
2-1. 뷰렛 반응(bluret reaction)
2-2. 닌히드린 반응(ninhydrine reaction)
V. 결과(Results)
1. 뷰렛반응(bluret reaction)
2. 닌히드린 반응(ninhydrine reaction)
VI. 고찰(Discussion)
1. 뷰렛반응(bluret reaction)
2. 닌히드린 반응(ninhydrine reaction)
VII. 참고문헌(Literature cited)
본문내용
과 반응하여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른 특유한 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histidine은 보라색, albumin은 오렌지색으로 변한다. 이때 닌히드린을 가열하는 이유는 단백질은 닌히드린 시약에 반응하지 않고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야 반응하기 때문에 단백질이 분해되도록 물중탕(단백질은 일정온도 이상 열을 가하면 변성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 중탕을 한다.)을 하거나 단백질이 묻은 종이 등을 히터로 가열해야 반응이 되기 때문이다. 이론상 단백질로 구성된 우유도 아미노산으로 분해가 되어 닌히드린용액과 반응을 해야 하나, 실험에서는 반응을 관찰 할 수 없었다.
위 실험결과를 통해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설정한 가설1에서 우유가, 가설 2에서 albumin, histidine이 반응하는 결과가 나왔으나 일부 시험관에서 일어나야할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실험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던 걸로 추측된다.
단백질 검출 실험은 이전에 한 탄수화물 검출실험보다 과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실험이 빨리 이행되었다, 뷰렛반응의 실험과정에서 시험관을 충분히 흔들고 반응을 확인해야 하는데, albumin에서 천천히 반응을 기다리지 않고, 시험관의 내용물들을 버렸다. 또 닌히드린 반응에서는 가열 후 천천히 냉각시켜야 하는데, 바로 반응이 나타나는 albumin, histidine만 관찰하고 시험관의 내용물들을 버렸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배경지식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했고, 관찰 할 수 있는 여유를 두지 않아 배경지식과 가설에 적절한 관찰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고 추측 되며, 혹은 열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해 단백질 분해가 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Literature cited)
두산백과
Ricki Lewis, BRUCE OARKER, Douglas Gaffnn, Marielle Hoefnagels외, 전상학, 강성만, 강창수 역), 생명과학 길라잡이, 494쪽, 2009, 라이프사이언스
기초영양학 김성로, 김미라, 남혜영, 이양순 공저 상광출판사 1978
단백질 대사, 김해리, 최정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모발과학의 기초, 서윤경, 강영숙, 김순경 저 예림
살아있는 과학 교과서 과학의 개념과 원리, 김태일, 휴머니스트 2006
쉬운식품분석, 이근보 외,유한문화사, 2006
식품과학기술대사전, 광일문화사, 2008,
위 실험결과를 통해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설정한 가설1에서 우유가, 가설 2에서 albumin, histidine이 반응하는 결과가 나왔으나 일부 시험관에서 일어나야할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실험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던 걸로 추측된다.
단백질 검출 실험은 이전에 한 탄수화물 검출실험보다 과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실험이 빨리 이행되었다, 뷰렛반응의 실험과정에서 시험관을 충분히 흔들고 반응을 확인해야 하는데, albumin에서 천천히 반응을 기다리지 않고, 시험관의 내용물들을 버렸다. 또 닌히드린 반응에서는 가열 후 천천히 냉각시켜야 하는데, 바로 반응이 나타나는 albumin, histidine만 관찰하고 시험관의 내용물들을 버렸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배경지식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했고, 관찰 할 수 있는 여유를 두지 않아 배경지식과 가설에 적절한 관찰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고 추측 되며, 혹은 열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해 단백질 분해가 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Literature cited)
두산백과
Ricki Lewis, BRUCE OARKER, Douglas Gaffnn, Marielle Hoefnagels외, 전상학, 강성만, 강창수 역), 생명과학 길라잡이, 494쪽, 2009, 라이프사이언스
기초영양학 김성로, 김미라, 남혜영, 이양순 공저 상광출판사 1978
단백질 대사, 김해리, 최정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모발과학의 기초, 서윤경, 강영숙, 김순경 저 예림
살아있는 과학 교과서 과학의 개념과 원리, 김태일, 휴머니스트 2006
쉬운식품분석, 이근보 외,유한문화사, 2006
식품과학기술대사전, 광일문화사, 2008,
추천자료
[일반생물학] 광합성률에 대한 실험
홍합 유래 접착 단백질의 실험 및 정제
[대학생물학] 혈액의 응고 반응 관찰 실험
조단백질 실험 방법
[공학생물학] 브래드포드 단백질 정량법[The Bradford Method for Protein Quantitation]
[화학실험] 펩타이드 질량 분석과 단백질 동정
[생물학 실험] 상추실험 - 상추 치아 미백 실험
[분자세포 생물학]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관하여 (유전자조절, 전사단계에서의 유전자 발현조...
[생물학 실험] 현미경의 구조와 실험용 초자류의 취급법 : 미생물학 실험에 있어서 가장 기본...
[영양생화학 실험]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웨스턴 블로팅 ; 단백질...
[생물학] 지질검정 실험(생체 주요 구성 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반응...
[최신디지털공학실험] 제10판 실험08.논리 회로 간소화 만점레포트 : BCD 무효 코드 검출기 ...
단백질 전기영동(생화학실험)
레포트report hotel-생물학적 분자의 검정(탄수화물,단백질,지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