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양공학] 「저항론」 (선체의 속도에 따른 평판의 마찰저항, 형상저항 등을 이용하여 2차원 3차원 외삽법을 통해 선박의 전저항 구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해양공학] 「저항론」 (선체의 속도에 따른 평판의 마찰저항, 형상저항 등을 이용하여 2차원 3차원 외삽법을 통해 선박의 전저항 구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 데이터 분석 시 사용된 이론
3. 실험결과 및 데이터 분석
4. 실험고찰

본문내용

프를 그렸다.
위의 그래프는 점 데이터를 선으로 이은 꺾은선 그래프이다. 그래프는 속도가 뒤죽박죽으 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때 표시해둔 1.6초에서 2.59 초를 보면 가운데에 대칭적 으로 상쇄되는 값이 있고 그 좌우에는 일정한 값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구 간에서의 평균값을 속도 데이터로 하여서 계산을 하였다.
1.6초에서 2.59초 사이의 Speed 평균값은 1.24989m/s 이고 나머지 , , 값의 평균값을 각각 구한 후 시트에 작성한다.
는 mm단위인데 이를 degree로 바꾸려면 값을 각도로로 바꾸 면 된다. 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Sinkage는 로 구하고, Trim은 으로 구한다.
, 을 구하고 ITTC1957방법으로 을 구하고 - = 으로 를 구한다. 그리고 를 구하고 그 값으로 을 구한 후 위의 이론에서 다룬 프루드 의 가정 실선과 모형선의 잉여저항계수가 같다는 것을 이용해 실선의 전저항을 구한다.
구한 전저항 값으로 로 EHP를 구하면 된다.
4. 실험고찰
이번 실험을 통해서 프루드의 가정으로 실선의 저항과 그의 따른 EHP를 구할 수 있었다.
일단 바로 왼쪽의 그래프는 모형선의 잉여저항계수의 곡선인데 x 축은 배의 속도이다. 배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수 값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잉여저항계수는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즉 프루드 수와 관련이 있으며 프루드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CRM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로 왼편의 그래프는 실선의 저항계수 곡선인데 위의 모형선의 잉여저항 계수는 그대로 있고 실선의 의 값에 의한 를 구해서 잉여저항계수 곡선과 합하여 곡선이 나왔다. 속도가 증가할수록 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Sinkage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 값으로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트림또한 배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로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값이면 트림 가이드의 위치가 아래쪽 이라는 말 인데 속도가 증가할수록 트림의 값이 점점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배의 속력이 증가하면 선수가 들려서 트림의 값이 양수가 나올 줄 알았는데 음수 값으로 커져서 다소 의아했다.
이는 아직 배의속도가 선미트림이 발생할 정도의 속도가 아니라서, 즉 Fn가 작아서 약간의 선수트림이 발생한 정도로 해석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체저항이 증가하고 따라서 EHP(KW)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4.22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