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형선의 크기에 비해 실험하는 사각 수조의 폭이 너무 좁아 횡요현상 후 물의 유동이 양쪽 벽을 맞고 되돌아 다시 모형선을 치는 현상으로 인해 횡경사각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한 오차가 발생했다.
(2) 고정의 문제 : 모형선과 수조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3.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수의 변화 비교 (파란색 모형선, 분홍색 실선)>
<예인수조> <회류수조>
<Fn 에 따른 전저항, 마찰저항, 잉여저항 계수의 변화 비교>
<예인수조-모형선> <회류수조-모형선>
<예인수조-실선> <회류수조-실선>
<속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형선의 잉여저항계수가 같다는 것을 이용해 실선의 전저항을 구한다.
구한 전저항 값으로 로 EHP를 구하면 된다.
4. 실험고찰
이번 실험을 통해서 프루드의 가정으로 실선의 저항과 그의 따른 EHP를 구할 수 있었다.
일단 바로 왼쪽의 그래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형선 실선의 상관수정 저항 저항 데이터의 통계해석
(1) 점성저항
(2) 부가물저항
(3) 조파저항 ( Fn<0.4 일때 )
(4) 수면 근처에서의 구상선수의 부가압력저항
(5) 잠수된 트랜섬에 의한 부가 압력저항
(6) 모형선 실선의 상관수정 저항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E-03
5.29E-03
2.85E+05
7.69207
2.19E+06
ITTC추진분과 기술위원회는 Prohaska가 제안한 3차원법 혹은 형상영향계수법을 도입함으로서 모형선-실선 상관관계가 두드러지게 개선되었다고 보고하고(ITTC, 1978), 한 개의 스크류(screw) 프로펠러를 갖는 선박의 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