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균형이론 ···························2
2. 비현실적 낙관론(긍정적 착각) ······ 3
3. 귀인이론 ···························4
4. 인지부조화이론 ························ 5
5. 권위에 대한 복종 ···················6
6. 소수의 영향 ·······················7
1. 균형이론 ···························2
2. 비현실적 낙관론(긍정적 착각) ······ 3
3. 귀인이론 ···························4
4. 인지부조화이론 ························ 5
5. 권위에 대한 복종 ···················6
6. 소수의 영향 ·······················7
본문내용
기존의 인지에 부조화를 느끼게 하고 이를 해소시키기 위해 소비자가 제조일자를 확인하고 제조일자가 적힌 우유를 구매하도록 하였다.
5. 권위에 대한 복종
1961년 예일 대학교의 심리학과 조교수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은 ‘권위에 대한 복종’ 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당시 밀그램은 권위에 대한 복종에 대해 연구하던 중 사람들이 파괴적인 복종에 굴복하는 이유가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믿고, 굉장히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라도 윤리적, 도덕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명령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실험자는 흰색 가운을 입고 전압을 올릴지 말지 고민하는 피실험자에게 \'실험의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며 전압을 올릴 것을 강요했다. 실험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무려 65%에 달하는 피실험자가 450V까지 전압을 올렸기 때문이다.
권위에 대한 복종을 잘 보여주는 사례는 영화에서 자주 다루는 소재이기도 하다.
그 중에서 내가 조사한 영화는 \'본 레거시\'(The Bourne Legacy)이다. 영화에서 마르타 셰어링 박사는 살인병기를 만들어내는 아웃컴 프로그램에 대해서 전혀 모른다고 말한다. 단지 자신은 과학자로 자신의 일에 열심이었을 뿐이고 그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어떤 영향을 낳는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녀의 말은 거짓말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연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잘 알고 있었다. 마르타 셰어링 박사에게는 일이 필요했고 다만 그는 그 결과에 대해서는 둔감하고 무감각해지기를 바랐는지 모른다.
6. 소수의 영향
우리 사회에서 때로는 새로운 생각이나 관점을 가진 강력한 소수가 다수의 입장을 바꿀 수도 있다. 1957년 개봉된 영화 ‘12명의 성난 사람들’은 강력한 소수의 영향을 보여주는 영화다. 그 당시의 배심원 제도를 다룬 법정영화로서 12명의 배심원이 한 소년의 유, 무죄를 판단해야 하는데, 11명이 유죄라 하고 단 한명이 무죄를 의심하며 반론을 제기하고 토론을 거쳐 12명 만장일치로 무죄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그린 영화다. 영화에서는 단 한 명의 힘이 얼마나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12명의 성난 사람들 외에도 ‘크림슨타이드’ 라는 영화도 소수의 영향에 대해 다룬 영화다. 1995년 미국에서 개봉된 이 영화는 우리 사회에 왜 이견이 필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영화는 핵 미사일 발사에 대한 애매한 명령과 통신 두절 상황에서의 지휘권 다툼이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함장, 그 부하들과 부함장이 부딪히게 된다. 당시 상황에서는 함장과 부하들보다는 부함장이 사리분별에 맞는 판단을 했다. 하지만 ‘군대’ 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부함장은 그저 명령에 따라야 했기 때문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있었다. 시간은 흘러 적의 핵미사일 발사 예정 시간이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부함장은 결국 함장의 명령을 거역하였고 그 결과 핵전쟁을 막을 수 있었다.
이 두 영화는 소수의 영향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다룬 영화라 볼 수 있다.
5. 권위에 대한 복종
1961년 예일 대학교의 심리학과 조교수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은 ‘권위에 대한 복종’ 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당시 밀그램은 권위에 대한 복종에 대해 연구하던 중 사람들이 파괴적인 복종에 굴복하는 이유가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믿고, 굉장히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라도 윤리적, 도덕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명령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실험자는 흰색 가운을 입고 전압을 올릴지 말지 고민하는 피실험자에게 \'실험의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며 전압을 올릴 것을 강요했다. 실험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무려 65%에 달하는 피실험자가 450V까지 전압을 올렸기 때문이다.
권위에 대한 복종을 잘 보여주는 사례는 영화에서 자주 다루는 소재이기도 하다.
그 중에서 내가 조사한 영화는 \'본 레거시\'(The Bourne Legacy)이다. 영화에서 마르타 셰어링 박사는 살인병기를 만들어내는 아웃컴 프로그램에 대해서 전혀 모른다고 말한다. 단지 자신은 과학자로 자신의 일에 열심이었을 뿐이고 그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어떤 영향을 낳는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녀의 말은 거짓말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연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잘 알고 있었다. 마르타 셰어링 박사에게는 일이 필요했고 다만 그는 그 결과에 대해서는 둔감하고 무감각해지기를 바랐는지 모른다.
6. 소수의 영향
우리 사회에서 때로는 새로운 생각이나 관점을 가진 강력한 소수가 다수의 입장을 바꿀 수도 있다. 1957년 개봉된 영화 ‘12명의 성난 사람들’은 강력한 소수의 영향을 보여주는 영화다. 그 당시의 배심원 제도를 다룬 법정영화로서 12명의 배심원이 한 소년의 유, 무죄를 판단해야 하는데, 11명이 유죄라 하고 단 한명이 무죄를 의심하며 반론을 제기하고 토론을 거쳐 12명 만장일치로 무죄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그린 영화다. 영화에서는 단 한 명의 힘이 얼마나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12명의 성난 사람들 외에도 ‘크림슨타이드’ 라는 영화도 소수의 영향에 대해 다룬 영화다. 1995년 미국에서 개봉된 이 영화는 우리 사회에 왜 이견이 필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영화는 핵 미사일 발사에 대한 애매한 명령과 통신 두절 상황에서의 지휘권 다툼이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함장, 그 부하들과 부함장이 부딪히게 된다. 당시 상황에서는 함장과 부하들보다는 부함장이 사리분별에 맞는 판단을 했다. 하지만 ‘군대’ 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부함장은 그저 명령에 따라야 했기 때문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있었다. 시간은 흘러 적의 핵미사일 발사 예정 시간이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부함장은 결국 함장의 명령을 거역하였고 그 결과 핵전쟁을 막을 수 있었다.
이 두 영화는 소수의 영향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다룬 영화라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설득의 심리학을 읽고
사회학적 관점 : 생태체계적 접근방법으로 생물학적 관점, 심리학적 관점, 사회학적 관점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칼 융의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1E]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을 비교, 이론적 공통점과 ...
교육심리학-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두 이론...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사정하는 단계에서 욕구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