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조직학] 소화기 계통 조직 조사 - 입술, 이(치아)(Teeth) , 식도(Esophagus), 위(Stomach), 십이지장, 췌장(Pancreas), 간(肝, Live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조직학] 소화기 계통 조직 조사 - 입술, 이(치아)(Teeth) , 식도(Esophagus), 위(Stomach), 십이지장, 췌장(Pancreas), 간(肝, Liv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물조직학

1. 입술

2. 이(치아)(Teeth)

3. 식도(Esophagus) - 비각질중층편평상피

4. 위(Stomach) (본문-위체-유문-유문 괄약근)

5. 십이지장

6. 췌장(Pancreas)

7. 간(肝, Liver)

본문내용

eft hepatic duct) 등이 출입한다. 간문의 오른편의 앞쪽에는 담낭(gall bladder)이, 왼편의 뒤쪽에는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이 위치하고 있다.
간은 다이아몬드모양의 수많은 간소엽(heptic lobele)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소엽의 한 가운데는 중신정맥(central vein)이 관통하고 있으며, 그 주변에 간세포들의 집단인 간세포끈(hepatic cell cord)이 부채꼴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간세포끈과 간세포끈 사이에 혈액의 통로인 동모양 혈관(hepatic sinusoid)이 있어 문맥(portal vein)과 같동맥의 혈액이 동모양혈관을 통하여 중심정매긍로 모이게 된다. 중심정맥으로 유입된 혈액은 간정맥(hepatic vein)으로 들어간 후 결국 하대정맥으로 흘러가게 된다. 반면 간소엽에서 흘러나온 담즙(bile juice)은 간소엽 사이에 위치하는 답즙관(bile duct)을 통해 간관(hepatic duct)으로 유입된다. 간동맥의 가지, 문맥의 가지 및 담즙관의 가지가 서로 모여 간실질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간의 삼요소 {hepatic triad(portal triad)}라고 부른다.
-담즙의 배설경로(Extrahepatic bile pathway)
간소엽에서 나온 담즙은 간내부에서 오른엽의 담즙은 오른간관(right hepatic duct), 왼엽의 담즙은 왼간관(left hepatic duct)으로 모이게 된다.
그 후 이 두관은 간 밖으로 나와 간의 하면에서 서로 만나 총간관(common hepatic duct)을 형성한다. 총간관을 흐르는 담즙은 길이가 약 4cm인 담낭관(cystic duct)을 통하여 담낭(gall bladderso)로 들어가서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후 담즙은 다시 담낭관을 통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so)로 들어간 후 췌장관과 만나서 십이지장의 큰십이지장유두로 배출된다. 담낭관의 말단부와 큰십이지장유두의 벽에는 담즙의 배출을 조절하는 괄약근이 있어, 이것을 각각 보이덴(Boyden) 및 오디(Oddi) 괄약근이라고 한다.
-간의 기능
① 담즙의 생성
간은 담즙(vile)을 생성하여 담도를 통하여 십이지장 내로 배출한다.
② 물질의 합성과 저장
당대사(糖代謝) : 간은 포도당을 비롯하여 당으로부터 글리코겐을 만들어 간세포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서 혈액중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 단백질대사(蛋白質代謝) : 간 자체의 단백질은 물론이고 혈장 단백질도 대부분 간에서 만들어진다. blvumin, fibrinogen, prothrombin은 간에서 만들어지며, 만약 간 장애가 있으면 이들 혈장단백질 중 특히 albumin이 감소하며, α-blobulin도 간세포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되고 있다. 아미노산의 분해산물로서 만들어지는 암모니아는 ornithine cycle을 통하여 간장에서 요소로 만들어진다.
- 지질대사(脂質代謝) : 지방산의 합성과 분해를 하며 지질 외의 것으로부터 지질을 생성하고 인지질(phospholipids)과 cholesterol도 생성한다.
- 비타민대사 : 각종 비타민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비타민은 활성화된 형태로 단백질과 결합하고, 여러 가지 효소계의 조효소(coenzyme)도 있어 당질지질단백질 대사에 관여한다.
③ 해독작용(解毒作用)
장내 세균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유독성문과 음식물에 들어있는 독성물질을 분해하여 해가 없는 물질로 전환시킨다. 식세포 작용이 왕성한 쿠퍼 세포(kupffer cell)는 늙은 적혈구를 파괴하며 호르몬 의약품의 불활성화, 요소요산 등의 합성을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4.2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