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전전 33회 34회 35회 36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공전전 33회 34회 35회 36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三十三回 設陰謀惡化梁百萬 發慈悲戲耍張妙興
제삼십삼회 설음모악화양백만 발자비희사장묘흥
第三十四回 施妖法惡道害人 顯神通濟公鬪法
제삼십사회 시요법악도해인 현신통제공투법
第三十五回  燒妖道義收陳亮 訪濟公路見不平
제삼십오회 소요도의수진량 방제공로견불평
第三十六回 逛西湖酒樓聽閑話 氣不平夤夜入蘇宅
제삼십육회 광서호주루청한화 기불평인야입소택

본문내용

fang] ① 기와집 ② 와가 ③ 와옥
[yaoyao] ①건들건들하다 ②흔들흔들하다 ③설설
내택에 도달해 4합의 기와집이 보이니 앞으로 회랑을 나온 큰 집의 상방이 있고 서쪽의 집의 등불그림자가 흔들거리며 타인이 말함을 들었다.
就聽見說:“秋香, 把茶給我斟上。”
취청견설 추향 파다급아짐상
설명을 들었다. “추향아, 차를 가져와 나에게 따라 달라.”
陳亮到外一看, 見那邊有個小小窟, 一目往裏看, 只見北牆是花梨頭案上, 擺上好古玩, 順前是一張大床, 上放着小兒。
진량도창외일간 견나변유개소소굴륭 묘일목왕리간 지견고북장시화리초두안상 파상호고완 순전첨시일장대상 상방착소아
窟 [klong] 1.구멍. 2.빈틈. 허점. 구멍. 3.(적자로 인한) 부채. 빚
(애꾸눈 묘; -총9획; miao)
古玩 [gwan] 골동품
진량이 창밖에 도달해 한번 보니 저쪽에 작은 구멍이 보이며 한 애꾸눈으로 안을 보니 단지 북쪽 담장에 배꽃의 머리 닮은 초두책상이 보이며 위에 골동품이 잘 깔리고 앞에 처마는 한 큰 상이며 위에 소아가 놓여 있었다.
西邊坐着一個半老婦人, 年約四旬以外, 五官秀, 有兩名環, 兩個僕婦, 正伺候喫茶。
탁서변좌착일개반노부인 년약사순이외 오관청수 유양명아환 양개복부 정사후끽다
半老 [banlo] ① 중늙은이 ② 중로 ③ 중노인
僕 [pufu] 나이 많은 하녀
탁자 서쪽에 한 중늙은이 부인이 앉아 나이가 대략 40이 넘고 5관이 빼어나고 두명의 하녀와 두명의 나이 많은 하녀가 바로 차를 마시길 기다리고 있었다.
聽那個婦人說:“員外這時候也不回來, 是往裏去了?內宅又無男子, 好叫我不放心。”
청나개부인설 원외저시후야불회래 시왕나리거료 내택우무남자 호규아불방심
不放心 = 心 걱정하다
宅 [neizhai] ①안채 ②안방
저 부인의 설명을 들었다. “원외께서 이번시기에 돌아오지 않다가 어디서 돌아오셨습니까? 내택에 또 남자가 없으니 우리를 방심하게 못합니다.”
那使女說:“太太, 們員外不回來, 也應該給送個信來。這內宅男子非呼喚是不能來的, 太太老人家破個悶兒, 我們猜猜謎。”
나사여설 태태 찰문원외불회래 야응해급송개신래 저내택남자비호환시불능래적 태태니노인가파개민아 아문시시미
使女 [shn] ① 하녀 ② 여종 ③ 계집종
太太 [taitai] ① 마님 ② 부인 ③ 처
猜 [ci//mi] 추측하다
저 하녀가 말했다. “마님, 저희 원외께서 돌아오지 않으니 소식을 보내와야 합니다. 저 내택의 남자는 불러서 올수 있으니 노마님 당신이 답답함을 푸시게 저희들이 추측을 해보겠습니다.”
破個悶兒:卽"猜個謎語"。 
파개민아 즉 시개미어
[miy] 수수께끼
답답함을 푸는 것은 수수께끼를 추측함이다.
太太說:“我說一個, 們猜去:花姐最賤是油頭, 送舊迎新一夜床, 來往客傳情不盡, 誰將玉體肯輕。”
태태설 아설일개 니문시거 화조최천시유두 송구영신일야상 래왕객전정부진 수장옥체긍경유
花姐 [huji] ① 매춘부 ② 창기
油頭: 기름을 바른 머리.
情 [chuan//qing] ①사랑의 감정을 전하다 ②감정을 전하다 ③정을 건네다
노마님이 말했다. “내가 한명을 말하니 너희들은 추측해봐라. 창기가 가장 천한 것은 기름바른 머리로 송구영신의 하룻밤 책상에 온 손님이 사랑 정을 다 전하지 못하니 누가 장차 옥체를 가볍게 주무를 것인가?”
兩個老猜了半天, 也沒猜着。
양개노마시료반천 야몰시착
老 mum, mother; my old mum old woman (Min Dong) wife
半天 [bantin] ① 한나절 ② 반일 ③ 한참 동안
두명 노마가 한참 생각하나 추측을 못했다.
使女秋香、秋桂叫:“太太說了罷, 別悶人了。”
사여추향 추계규 태태설료파 별민인료
하녀인 추향과 추계가 말했다. “마님 설명을 마쳤으니 사람을 답답하게 마십시오.”
那太太說:“是芝麻楷。”
나태태설 시지마개
楷(나무 이름, 본뜨다 해; -총13획; kai,jie)
저 마님이 말했다. “이는 참깨 문지름이다.”
秋香等全笑了, 又說:“老人家說個淺近的, 我們猜猜。”
추향등전소료 우설 니노인가설개천근적 아문시시
近 [qinjin] ①천근하다 ②평이하다 ③알기 쉽다
추향등이 온전히 웃고 또 말했다. “당신 노인마님은 평이하니 우리들이 수수께끼를 내겠소.”
那太太說:“, 我可不說了, 說了們猜不着, 又來攪我。”
나태태설 유가불설료 설료니문시불착 우래교아
(감탄하는 어조사 약; -총12획; yo,yo) (흐느껴 울 유; -총8획; you)
저 마님이 말했다. “야, 내가 설명할 수 없으며 너희들이 말한 것을 맞출수 없고, 또 나를 교란시킨다.”
秋香說:“這回我們不問了, 太太說罷。”
추향설 저회아문불문료 태태설파
추향이 말했다. “이번에는 우리들은 묻지 않으니 마님께서 말씀하십시오.”
那婦人說:“一條白蛇鳥在江, 烏江岸上起紅光, 白蛇吸盡烏江水, 烏江水盡白蛇亡。說完了, 們猜罷。”
나부인설 일조백사조재강 오강안상기홍광 백사흡진오강수 오강수진백사망 설완료 니문시파
저 부인이 말했다. “한 백색 뱀과 새가 강에 있어 오강가에 홍색 광채가 오르며 백색 뱀이 오강물을 다 마시며 오강물이 다하니 백사가 망했다. 말을 다했으니 너희들은 맞춰보라.”
使女正是思想要猜, 忽聽那外邊“叭”一聲響亮。
사녀정시사상요시 홀청나외변일성향량
b ch 【注音】 【目】叭 【引解】 象。 中冀
하녀는 바로 맞출 생각을 하고 갑자기 외부에서 바짝 하는 한 소리가 울렸다.
衆婦人往外一看, 一片紅光, 只衝斗牛之間。
중부인왕외일간 일편홍광 지충두우지간
斗牛之間 : 북두성과 견우성의 중간
여러 부인이 밖에 가서 한번 보니 한 조각 붉은 광채는 단지 북두성과 견우성 중간까지 상충했다.
有一宗事驚人!
유일종분사경인
cha shi (갈림길 차{산 높을 분}; -총7획; cha)事: 意外事故
일종의 의외사고가 사람을 놀라게 한다.
正見:眼見之事由然假, 耳聽之言未必眞。
정견 안견지사유연가 이청지언미필진
由然 you ran : 1.油然;自然而然① 자연히 ② 저절로 。 2.原委;由
바로 다음과 같다. 눈앞의 일이 자연히 거짓이 되며 귀로 듣는 말은 반드시 진짜가 아니다.
不知陳亮在蘇宅做出何等事來, 且看下回分解。
부지진량재소택주출하등사래 차간하회분해
진량이 소씨집에서 어떤 일을 만들어낼지 모르니 아래 37회 부분의 해설을 들어보자.

키워드

진량,   제공화상,   효행야숙,   오계,   3규,   고승,   서호,   도인,   양백만,   제공전전
  • 가격11,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15.04.28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