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소송법] 피의자·피고인의 접견교통권(接見交通權) - 접견교통권의 의의와 제도적 취지,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접견교통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형사소송법] 피의자·피고인의 접견교통권(接見交通權) - 접견교통권의 의의와 제도적 취지,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접견교통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접견교통권의 이해
 1) 의의
 2) 제도적 취지

2.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1) 주체 및 상대방
 2) 내용
 3) 제한

3.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1) 접견교통권의 보장
 2) 접견교통권의 제한

4. 접견교통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
 1) 항고 • 준항고
 2) 증거능력의 배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에 반하여 피의자에 대한 접견교통권의 제한은 수사기관의 결정에 의하여 할 수 있다(제200조의6, 제209조).
4. 접견교통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
1) 항고 준항고
법원의 접견교통제한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보통항고를 할 수 있고(제402조),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접견교통권의 제한은 구금에 대한 처분이므로 준항고에 의하여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제417조). 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의한 접견교통권의 침해에 대해서는 청원,행정심판,행정소송이나 국가배상의 방법에 의하여 구제받을 수 있다.
2) 증거능력의 배제
접견교통권을 침해한 가운데 수집된 자백 진술 증거물 등은 위법한 절차에 의하여 수집된 증거로서 증거능력이 없다.
관련판례
검사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가 검사에 의하여 피의자에 대한 변호인의 접견이 부당하게 제한되고 있는 동안에 작성된 경우에는 증거능력이 없다(대판 1990.8.24, 90도1285).
참고문헌
이재상, 조균석 저,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5
신호진 저, Master 형사소송법 기본서, 문형사 2015
조광근 저, 나이스 형사소송법, 시대고시기획 2015
김정한 저, 실무 형사소송법, 준커뮤니케이션즈 2015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4.29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