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양고전 맹자 서평
1. 저자 맹자
2. 내용
3. 서평
1. 저자 맹자
2. 내용
3. 서평
본문내용
의 왕도정치를 교육을 통해 완성시키고자 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러나 맹자는 가르치는 교육을 중시하면서도 단순한 주입식이 아니라 각자가 지닌 재능과 지혜를 끌어내어 길러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근원이 깊은 샘물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졸졸 흘러 깊은 연못을 가득 채운다. 그리고는 다시 앞으로 흘러나가 바다에 이른다. 지혜란 바로 이런 것이다”
교육을 통해 지혜를 넓혀나갈 수 있다는 것을 물로 비유하여 설명했다.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혜의 싹을 잘 기르고 관리해 나가기 위해 “묻고 대답하는 방법”으로 차분히 키워나가야 함을 말하고 있었다. 맹자는 당시의 혼란을 극복하는 길이 어질고 옳은 도리, 곧 인의(仁義)를 실천하는 왕도정치라고 강조하면서, 왕도정치의 사상적 배경과 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을 주장한 것이다. 군주는 국민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정치를 하고, 국민들에게 경제적으로 넉넉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교육을 제공해야만 왕도정치를 넓혀갈 수 있다고 하였다.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은 말 그대로 인간의 본성은 원래 착하다는 것이다. 공자에 비해 맹자가 인간의 본성에 깊은 관심을 갖고, 『맹자』에 인간의 본성에 대한 많은 주장을 펼친 것은 아마도 시대적인 상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맹자가 활동했던 전국 시대는 공자가 활동했던 춘추 시대와는 달리 매우 혼란한 사회였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 문제를 생각해 보자는 문제의식이 생겼는지도 모른다. 맹자는 인간이 본래 선한 존재라는 단서가 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 을 타고나기 때문에, 인간이란 배우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양지(良知)가 있고, 배우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양능(良能)이 있다고 하였다. 어린애라도 그 부모를 사랑할 줄 모르는 아이가 없고, 좀 더 자라면 윗사람을 공경할 줄 모르는 아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을 통해야 사단지심을 확충하여 인의예지의 四德을 완전히 실현할 수 있으며, 사람의 선한 본성이 드러나도록 돕는 도덕적 교화의 기능이 바로 교육의 임무라고 주장하면서 ‘가르침’을 매우 중요시 한 것이다. 그러나 성선설은 잘못 되었다. 성선설이 아니라 성악설이다. 성경에서는 *죄인으로서의 인간이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롬3:23)>>라고 말하고 있다.
“소박한 마음을 기르는 방법은 욕심을 버리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
마음의 눈을 찾는 첫 걸음은 욕심을 버리는 일에서부터 시작한다. 자기의 분수와 능력, 자신의 소유가 아닌 것을 억지로 구하는 것이 바로 욕심이다. 욕심을 버리고 순하고 소박한 마음을 가지고 매일 나 자신을 들여다 볼 때, 꾸밈없고 억지스러움도 없고 힘이 없는 것 같아서 두려움이 먼저 생기지만 오히려 마음은 단단해 지고 뿌듯함으로 가득 차게 되어서 자신감이 생기게 된다고 맹자는 말한다. 다른 사람을 보고 밖을 향해 보는 눈이 아닌 나 자신을 보기 위한 마음의 눈이 필요함도 배웠다.
“근원이 깊은 샘물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졸졸 흘러 깊은 연못을 가득 채운다. 그리고는 다시 앞으로 흘러나가 바다에 이른다. 지혜란 바로 이런 것이다”
교육을 통해 지혜를 넓혀나갈 수 있다는 것을 물로 비유하여 설명했다.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혜의 싹을 잘 기르고 관리해 나가기 위해 “묻고 대답하는 방법”으로 차분히 키워나가야 함을 말하고 있었다. 맹자는 당시의 혼란을 극복하는 길이 어질고 옳은 도리, 곧 인의(仁義)를 실천하는 왕도정치라고 강조하면서, 왕도정치의 사상적 배경과 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을 주장한 것이다. 군주는 국민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정치를 하고, 국민들에게 경제적으로 넉넉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교육을 제공해야만 왕도정치를 넓혀갈 수 있다고 하였다.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은 말 그대로 인간의 본성은 원래 착하다는 것이다. 공자에 비해 맹자가 인간의 본성에 깊은 관심을 갖고, 『맹자』에 인간의 본성에 대한 많은 주장을 펼친 것은 아마도 시대적인 상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맹자가 활동했던 전국 시대는 공자가 활동했던 춘추 시대와는 달리 매우 혼란한 사회였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 문제를 생각해 보자는 문제의식이 생겼는지도 모른다. 맹자는 인간이 본래 선한 존재라는 단서가 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 을 타고나기 때문에, 인간이란 배우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양지(良知)가 있고, 배우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양능(良能)이 있다고 하였다. 어린애라도 그 부모를 사랑할 줄 모르는 아이가 없고, 좀 더 자라면 윗사람을 공경할 줄 모르는 아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을 통해야 사단지심을 확충하여 인의예지의 四德을 완전히 실현할 수 있으며, 사람의 선한 본성이 드러나도록 돕는 도덕적 교화의 기능이 바로 교육의 임무라고 주장하면서 ‘가르침’을 매우 중요시 한 것이다. 그러나 성선설은 잘못 되었다. 성선설이 아니라 성악설이다. 성경에서는 *죄인으로서의 인간이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롬3:23)>>라고 말하고 있다.
“소박한 마음을 기르는 방법은 욕심을 버리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
마음의 눈을 찾는 첫 걸음은 욕심을 버리는 일에서부터 시작한다. 자기의 분수와 능력, 자신의 소유가 아닌 것을 억지로 구하는 것이 바로 욕심이다. 욕심을 버리고 순하고 소박한 마음을 가지고 매일 나 자신을 들여다 볼 때, 꾸밈없고 억지스러움도 없고 힘이 없는 것 같아서 두려움이 먼저 생기지만 오히려 마음은 단단해 지고 뿌듯함으로 가득 차게 되어서 자신감이 생기게 된다고 맹자는 말한다. 다른 사람을 보고 밖을 향해 보는 눈이 아닌 나 자신을 보기 위한 마음의 눈이 필요함도 배웠다.
추천자료
청소년문화운동의 현장 독서감상문
눈길 독서감상문
(독서감상문) 손정의 성공법을 읽고
(독서감상문)자기창조조직을 읽고
(독서감상문) 스티브잡스의 프레젠테이션을읽고(A+자료)
(독서감상문) 아르마니패션제국을읽고(A+자료)
(독서감상문) 젊음의 탄생을 읽고
(독서감상문) 리치웨이를 읽고 난 감상
(독서감상문)통찰의기술을읽고 (A+자료)
(독서감상문) 공병호 미래인재의조건을읽고(A+자료)
(독서감상문) 여자성공법칙101을읽고
(독서감상문) 더티잡을 읽고
[우리는 기적이라 말하지 않는다][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우리는 기적이라 말하지 않는다(...
[잭 웰치와 GE방식][잭 웰치와 GE방식 서평][잭 웰치와 GE방식 독후감][독서감상문]잭 웰치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