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카 입자의 표면전하 실험 결과 레포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리카 입자의 표면전하 실험 결과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요약
2. 실험결과
 1) 실험 전 준비
 2) 실험 결과
 3) 결과 값 도출
3. 결론

본문내용

10063g (증류수 0.1g + HNO3 0.00063g)씩 증가 하는 것으로 계산했다. 또한 공식에서의 Cb는 NaOH의 농도이므로 식에서 모두 제외했고,
Ca는 으로 계산하였다.
NaOH와 마찬가지로 HNO3도 그래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마찬가지로 X축은 pH, Y축은 표면전하 Q이다.
c. pzc값 도출
a와 b에서 각각 구한 Q의 값과 그래프를 합쳐서 그래프를 그려 보았다.
Fig 3에서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값은 대략 9.2정도가 나오게 되고 이 점이 pzc의 값이 된다.
d. ELS로 구한 Zeta-potential 그래프
본 실험과는 별개로 pH를 각각 다르게 한 용액을 제조 한 뒤 ELS를 사용하여 pH별로 그래프를 그려 보았다.
pH
mV
11
-26.15
10
-23.91
7
-20.26
4
-12.75
3
-7.5
본 실험의 결과와 비교 했을 때 결과는 다르게 나왔으나 그래프의 개형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결론
pH가 대략 9.2정도가 될 때 실리카의 표면 전하가 0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예제로 제시되었던 그래프의 개형대로 나오기는 했으나 예제 그래프 상에서 pzc는 pH가 8~9 일 때로 나타났는데 실제 실험은 9.2정도로 나온 것을 보아 오차가 생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pzc가 낮아지기 위해서는 식으로 보아 NaOH의 농도가 더 진해지거나 시료의 양이 줄어들어야 하는데 이러한 의 원인으로는 적정할 때 피펫의 사용법 미숙으로 인한 적정 양의 변화와, pH미터기를 사용할 때 세척 후에도 남아있는 약간의 용액이 제대로 된 측정을 방해 하였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5.08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