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봉공근 Sartorius
대퇴 사두근 Quadriceps
- 대퇴직근 Rectus femoris
- 내측광근 Vastus medius
- 중간광근 Vastus intermedius
- 외측광근 Vastus lateralis
고관절 내전근군 Adductor M.
- 대내전근 Adductor magnus
- 장내전근 Adductor longus
- 단내전근 Adductor brevis
- 박근 Gracilis
- 치골근 Pectineus
봉공근 Sartorius
대퇴 사두근 Quadriceps
- 대퇴직근 Rectus femoris
- 내측광근 Vastus medius
- 중간광근 Vastus intermedius
- 외측광근 Vastus lateralis
고관절 내전근군 Adductor M.
- 대내전근 Adductor magnus
- 장내전근 Adductor longus
- 단내전근 Adductor brevis
- 박근 Gracilis
- 치골근 Pectineus
본문내용
≪ 그 림 ≫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
│ Origin │ Insertion
├─────────────────────────────────────────────────
│ 장골능, 상후장골극에서 상전장골극까지 │ 장경인대, 경골외측과 에서 기시하여 후외측으로 상행
└─────────────────────────────────────────────────
대퇴근막장근의 기능
- 보행 시 슬관절 신전을
유지하도록 작용
- 고관절 외전보조,
내화전 굴곡,
슬관절의 신전
대퇴근막장근의 기능적 단위
• 고관절 굴곡 - 장요근, 대퇴직근, 봉공근과 협력
• 고관절 내회전 - 중둔근, 소둔근 후부섬유, 내전근
계열과 치골근이 협력.
• 고관절 외전 – 중둔근, 소둔근 후방섬유과 장요근이 협력
• 근막장근은 체중을 지지한 고관절 굴곡 상태에서 과도한 고관절의 외회전과 신전을
잡아준다. 그리고 안정적인 고관절, 슬관절의 굴곡과 외전상태를 유지하며 내회전으로도 작용한다.
• 보행 시 – 중둔근, 소둔근과 함께 협력하여 한쪽다리를 든 상태에서
바닥 면에 대한 하지와 골반의 안정성을 빠르게 유지.
특히, 빠른 걸음, 점프 동작, 하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강한 스윙 동작을
할 경우 수축력이 강하다.
이때는 지지면에 대한 하지의 고관절과 슬관절에 외측 이탈을 막아
안정시킨다.
≪ … 중 략 … ≫
≪ 그 림 ≫
대퇴직근 (Rectus femoris)
┌────────────────────────
│ Origin │ Insertion
├────────────────────────
│ 전하장골극 │ 경골조면(슬개인대를 통해)
└────────────────────────
대퇴직근의 기능
- 고관절 굴곡
- 슬관절 신전
대퇴직근의 기능적 단위
• 슬관절 신전 협력근
: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 고관절 굴곡 협력근
: 장요근, 내전근, 대퇴근막장근, 치골근
• 대퇴직근의 길항근
: 슬건근, 슬와근, 비복근, 봉공근, 박근
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e latae)
┌─────────────────────────────────────────────────
│ Origin │ Insertion
├─────────────────────────────────────────────────
│ 장골능, 상후장골극에서 상전장골극까지 │ 장경인대, 경골외측과 에서 기시하여 후외측으로 상행
└─────────────────────────────────────────────────
대퇴근막장근의 기능
- 보행 시 슬관절 신전을
유지하도록 작용
- 고관절 외전보조,
내화전 굴곡,
슬관절의 신전
대퇴근막장근의 기능적 단위
• 고관절 굴곡 - 장요근, 대퇴직근, 봉공근과 협력
• 고관절 내회전 - 중둔근, 소둔근 후부섬유, 내전근
계열과 치골근이 협력.
• 고관절 외전 – 중둔근, 소둔근 후방섬유과 장요근이 협력
• 근막장근은 체중을 지지한 고관절 굴곡 상태에서 과도한 고관절의 외회전과 신전을
잡아준다. 그리고 안정적인 고관절, 슬관절의 굴곡과 외전상태를 유지하며 내회전으로도 작용한다.
• 보행 시 – 중둔근, 소둔근과 함께 협력하여 한쪽다리를 든 상태에서
바닥 면에 대한 하지와 골반의 안정성을 빠르게 유지.
특히, 빠른 걸음, 점프 동작, 하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강한 스윙 동작을
할 경우 수축력이 강하다.
이때는 지지면에 대한 하지의 고관절과 슬관절에 외측 이탈을 막아
안정시킨다.
≪ … 중 략 … ≫
≪ 그 림 ≫
대퇴직근 (Rectus femoris)
┌────────────────────────
│ Origin │ Insertion
├────────────────────────
│ 전하장골극 │ 경골조면(슬개인대를 통해)
└────────────────────────
대퇴직근의 기능
- 고관절 굴곡
- 슬관절 신전
대퇴직근의 기능적 단위
• 슬관절 신전 협력근
: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 고관절 굴곡 협력근
: 장요근, 내전근, 대퇴근막장근, 치골근
• 대퇴직근의 길항근
: 슬건근, 슬와근, 비복근, 봉공근, 박근
키워드
추천자료
몸매만들기와 보디빌딩
골절case
물리치료차트(hot pack과 soap)
Lesson plan 중1 영어
뉴 저널리즘
[과외]중학 영어 2-2기말 출판사공통 예상문제 17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GTC)
동서문명의 만남 서평: <몽골세계제국> 어떻게 몽골은 세계제국이 될 수 있었는가’
[임상신경학] 간대성 근경련에 관해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Northstar 5] 2과 Looking for the lie 원문 스크립트, 해석, 단어, 문법 정리
미국 법정에서 심리전문가의 역할
성인간호학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