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스쿨링 (Home Schooling)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홈스쿨링 (Home School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홈스쿨링

1.정의

2. 종류:

3. 국내외의 비교
<미국>
*미국의 홈스쿨링 등장 배경
*홈스쿨링의 효과
한국 홈스쿨링의 현황 및 특성

결론:

본문내용

나라(핀란드), ②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홈스쿨링을 허용하는 나라
(미국, 포르투갈, 영국, 뉴질랜드, 칠레, 러시아, 호주, 노르웨이, 프랑스,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벨기에), ③일반적으로 홈스쿨링을 금하는 나라(스페인, 그리스, 남
아프리카, 룩셈부르크, 스위스, 이스라엘, 우루과이), ④학교 취학을 의무화 하는
나라(독일, 스웨덴, 아르헨티나, 브라질)로 분류하기도 하였다.특히 Petrie(1995)의 연구에서는 서유럽 국가들의 홈스쿨링 관련법을 네 가지로
나누어 합법화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①홈스쿨링을 인정하면서 지원 까지 하는
나라는 벨기에, 덴마크, 에이레, 프랑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포르투
칼, 스위스 대부분의 주, 영국이다. ②홈스쿨링을 허용하지 않았으나 허용하게 된
나라는 오스트리아이다. ③홈스쿨링을 허용하지 않지만 개별사례를 인정하고 있는
나라는 스페인, 그리스, 스위스의 두 주, 네덜란드이다. ④의무 취학만을 인정하는
나라는 독일이다.
한편, 미국 홈스쿨변호협회(Home School Legal Defense Association)의 2006년
도 자료에 따르면 OECD 가입국 30개 국가 중에서 미국, 프랑스, 헝가리 체코, 스
위스, 영국 등 10개국은 홈스쿨링을 합법적으로 인정하고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현재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다. 홈스쿨링의 합법화의 필요성
홈스쿨링이 의무취학제도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으므로 학교교육을 보완하거나 혹은 학교교육과 병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교육목적과 기능이 국가 주도의 제도권 교육과 별 다른 차
이가 없으며, 학교 및 교실 붕괴, 학교폭력, 왕따 등과 같은 학교교육의 역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고 볼 때 홈스쿨링 합법화의 필요성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결론:
1.홈스쿨링 참여 가정과 홈스쿨링 관련 조직은 합법화 과정에서 자신들의
정책적 요구가 무엇인지를 부각시키고 관철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향
후 서로 고립을 피하고 교육지원을 위한 정보를 교류하며 상호간의 의사소통을발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나아가 홈스쿨링 합법화를 위하여 공동으로 연합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방안을 모색
2.홈스쿨링 참여 가정과 홈스쿨링 관련 조직은 합법화를 정부의 규제라고
보는 편견에서 벗어나 통제를 위한 규제가 아니라 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규
제라면 수용할 수 있는 열린 자세
3.취학이 의무가 아니라 교육이 의무이고, 의무취학은 의무교육을 실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나라가 많아지면서 홈스쿨링을 합법적으로 인
정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러한 세계적 흐름을 수용하
여 의무교육을 의무취학으로만 한정하여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는 조속한 인식
전환
4.홈스쿨링이 합법화될 경우 그 부작용으로 우려된 바는 홈스쿨링의 본질이
다른 방향으로 왜곡되어 입시위주의 사교육을 합법적으로 조장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차원에서 대
응책을 강구
5.사적으로 교육을 제공하고 사적으로 자금조달을 하는 교육민영화의 궁
극적 형태로써 홈스쿨링을 운영하기에는 참여 학부모의 지적 능력이나 경제력 등
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학교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지원하는 미국의 사례를 볼 때, 한국의 합법화 과정에서도 미국의
선진사례를 도입하여 홈스쿨링 참여 가정과 공교육 사이의 협력을 모색
6.홈스쿨링에 대한 입법을 시도할 때 단순히 홈스쿨링을 허용하는 것에만
머무르거나, 교육과정의 일부를 요구하는 등 약한 수준의 규제를 적용하는 것만으
로는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교육의 특성상 적어도 교
육결과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는 중간 수준의 규제를 적용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중간 수준 이상의 규제가 도입된다는 것이 홈스쿨링을 학교와는 또 다른 공교육
체제로 만든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향후 홈스쿨링의 운영환경이 개선되고 정착 된
시점에는 민간이 자율성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규제를 점차 완

출처: 논문 “홈스쿨링 합법화 국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육 인권, 연세대학교 대학원[1202]
동영상
1.세기의 교육현장
http://www.youtube.com/watch?v=j2EsQq4J96M
->자연에서 교육, 원한느것을 배움, 자유롭게 생활, 틀에서 벗어남 다양한 학습능력.
http://www.youtube.com/watch?v=phLrnW0SsbE
과거 홈스쿨링 때문에 부모자격 잃을 뻔-난독증인 아이들이 학교생활에 적응 못해 집에서 가르침-(02:00) 스스로 글 읽는 것 배움(4:30) 자유롭게 생할하며 열정 크게 하고 관심사 다양해짐. 지식욕구 커짐
2.시사기획 맥
http://www.youtube.com/watch?v=pb6YClAswfk
충분히 공부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홈스쿨링
학교-왕따와 학교폭력, 지나친 입시열이 학생들의 인성을 망친다.
다양한 특성을 돌봐줄 수
없다.
홈스쿨링하는 학생들-밖에서 다양한 경험을 함 스스로 아이들이 생활하게 함
다양한 수업과 더불어 서로 배우고 이해가능
그러나 사회의 편견이 강하다.
목표가 공교육강화 사교육 약화이기 때문에 아이들의 교육 목표가 공교육 이탈 현상을 약화시키는데 궁극적 정책목표 투자(13:33)
내 의견->잘못된 시각 학습권=공교육의 시각에서 벗어나 홈스쿨링 그 자체로의 의의를 둬야 한다.
홈스쿨링와 학교는 선택의 문제이다.
홈스쿨링을 그 자체로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생각이 바뀌어 학습과 학습지가 주인이고 국가 교사는 학습의 지원임.
다른 선택가능(14:18)초 홈스쿨링 허용되어야 한다.
토론주제
1. 홈스쿨링에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입시 경쟁이 심한 대한민국의 상황에서 홈스쿨링의 합법화는 개인의 특성에 맞춘 수업 보다는 자칫 빠른 입시준비를 위한 도구로 이용되어 교육의 평등을 해하고 사교육을 지향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금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홈스쿨링 합법화를 진행해야 하는가?
  • 가격8,4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5.18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