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우수★][DDA(Doha Development Agenda) 완전분석完全分析] DDA의 개념, DDA의 과정, DDA 특징, DDA 전망, DDA 과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 우수★][DDA(Doha Development Agenda) 완전분석完全分析] DDA의 개념, DDA의 과정, DDA 특징, DDA 전망, DDA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DDA?
-출범 과정
-특징
-환경

본문내용

DDA?

2001.11.14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4차 WTO 각료회의에서 새로이
출범시킨 다자간 무역협상

출범 과정

UR 협상 타결 후 농산물과 서비스분야의 시장개방 내용이 미진하여 2000년부터 추가적인 자유화 협상을 시작하기로 약속
농산물ㆍ서비스 이 외 분야 추가적인 협상 필요성
-1998년 5월 제네바에서 제2차 각료회의, 1999년 12월 시애틀에서 제3차 각료회의를 통해 폭넓은 다자간무역협상에 대한 뉴라운드 출범 시도 -> 실패
- 2001년 1월 카타르 도하에서 제4차 각료회의에서 WTO체제 출범 이후 다자간무역협상인 DDA 협상 출범 선언 각료선언문 채택 성공

특징
회원국들의 모든 관심분야를 망라한 의제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의제

※일괄타결방식
최종적으로 모든 분야에 대해 동시에 합의를 추구하는 방식(Nothing is agreed, until everything is agreed)

Crawford Falconer
크로포드 팔코너 의장
수입선진국 그룹 - EC, 일본, 스위스, 노르웨이 등
자국의 일부 민감한 농산물들을 보호

수출선진국 그룹 - 호주, 뉴질랜드 등
대폭적인 관세감축과 보조금 감축을 주장


농산물
관세 인하를 통한 농산물 시장 대폭 개방
개발도상국은 시장개방 천천히 요구
향후 세부원칙 협상을 위한 기초로서의 의미
1. 2013년까지 수출 보조금 폐지 합의
2. 개도국 인정시 특별품목 선정 가능
3. 특별긴급수입제한 발동 기준 확대
라미총장에게 협상 진전 역할 부여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5.05.22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69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