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역사의 이해 - 정한론(征韓論/세이칸론), 메이지유신(明治維新/명치유신)의 형성과 발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역사의 이해 - 정한론(征韓論/세이칸론), 메이지유신(明治維新/명치유신)의 형성과 발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메이지 유신이란 ?
- 정의
..................................

Ⅱ. 메이지유신의 형성 & 발전
- 형성원인 및 배경
- 발전과정
1) 주요정책 과정
2) 문명개화
3) 부국강병
4) 메이지유신 이전의 국내&외 상황
..................................

Ⅲ. 정한론이란?
- 정의
..................................

Ⅳ. 정한론
- 메이지 유신 개혁 후 초기의 정한론
- 1870년대의 정한론
- 윤요호 사건
..................................

Ⅴ. 출처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조선의 요구에 발끈한 일본은 조선조차 무시했고 일본에서 본 조선은 ‘일본 천황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불쾌한 나라’였다
이에 일본의 정계에서는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한론이 강력하게 주장되었고, 이 문제를 둘러싸고 찬반 양론이 갈려 정치적 싸움으로 번지게 되었다.
정한론이 야기된 이유
1. 당시 메이지 유신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던 일본은 농민들이 도시에 가서 상인이 되었기 때문에 사무라이가 지배해야 하는 농민은 점점 줄어들었다. 따라서 사무라이계급에 대한 불만이 점점 커져갔으며 이러한 내부의 문제를 외부로 돌려 해결하고자 했다
2.이후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은 산업화를 위한 원료 공급지와 상품판매지가 필요하였고, 조선에 보낸 외교문서를 집권자인 대원군이 불손한 표현을 문제 삼아 접수 자체를 거부하자 이에 흥분한 일본조정에서 정한론(征韓論)이 대두된다.
-정한론 토론 그림 -
<70년대 이후 정한론>
1872년에는 외무대신 하나부사 요시모토가 군함을 이끌고 부산에 도착 하지만 조선 측은 일본의 사신이 군함을 이끌고 온 것에 대해 문제를 삼았으며, 수개월간 체류하였지만 아무런 소득을 얻지 못했다. 한편 조선정부는 부산에서 일본 상인들의 밀무역을 방지하기 위한 전령서를 내렸는데 이것이 일본 정부를 자극하였다. 특히 사이고 다카모리는 무력 침공을 주장하고 스스로 책임을 맡겠다고 자원하였으나 이와쿠라 사절단의 오쿠보 도시미치나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 등이 내부 정치에 충실해야 한다며 시기상조를 이유로 이를 반대하였다.
1873년 정한론으로 인해 메이지 정부 내에 각 정치 파벌이 찬성파와 반대파로 분열하여 신정부 수립 이후 최대의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됨 결과적으로 반대파인 오쿠보 도시미치가 승리를 거두고 정권을 독점하게 되었고 정한론을 주장한 사이고 다카모리와 이타가키 다이스케등 정한파가 정부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정한론을 주장한 것은 대부분 무사들이었는데 이를 반대하였으니 즉 정부는 무사 계급은 배제하고 평민을 중심으로 가겠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에 따라 정한론자들에 의한 반정부 운동이 일어났고 1877년 사이고 다카모리를 수령으로 삼아 규슈(九州)의 가고시마(鹿兒島)에서 발생한 서남 전쟁西南戰爭 (세이난전쟁)이 일어났다. 하지만 사이고 다카모리가 죽고 전쟁은 결국 패배로 끝났고 이 사건으로 인해 국내에서 메이지 정부에게 반발하는 사족들의 무력 반란은 끝났다.
그러나 그 당시 일본정부 내에서 정한론에 맞섰던 이와쿠라 등 비정한파(非征韓派) 즉 반대파가 본질적인 비정한파가 아니었다는 사실은, 이들이 주도한 정권이 1875년 운요호[雲揚號]를 보내 강화도를 침공하여 운요호사건을 일으키고 강압적으로 강화도조약을 체결하게 한 예로써 증명이 된다.
<정한론을 강력하게 주장한 사이고 다카모리> <이와쿠라 사절단>
1875년 윤요호사건
일본 군함 운요호가포함외교(砲艦外交)의 일환으로,1875년 9월 20일 조선 해안을 탐측 연구하기 위해 왔다고 핑계를 대고 강화도 앞바다에 불법으로 침투하여, 해안 경비를 서던 조선 수군의 방어적 공격을 받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함포공격을 가하고, 영종진에 상륙하여 조선수군을 공격하고 인적·물질적 피해를 입히고 후퇴한다.
<일본의 의도>
국외적
1.운요호 사건을 일으킴으로써 정한론을 재등장시켜 무력으로 조선의 개항을 관철함.
2. 조선을 침공하여 열강에 국력을 과시함으로써 자신을 구미열강(다른 외국 나라 예를들면 미국 )과 맺고 있는 불평등조약을 개정하는 수단으로 삼고자 함
국내적
메이지 유신 후에 농민층의 불만과 무사세력의 약화로 인한 내부적 갈등을 외부적인 문제로 관심을 돌려 불만을 무마하고, 조선침략으로 국민의 관심을 밖으로 쏠리게 하는 동시에 조선의 자원을 일본으로 들여오고자 함
윤요호배
당시 윤요호배의 이동경로(1차~3차)
<출처 & 참고문헌>
1) 메이지유신
- 현대일본정치시스템의 이해/ 김재호/ 형설출판사/ 200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723&cid=40942&categoryId=3178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2467&cid=47323&categoryId=47323(이미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60073&cid=47307&categoryId=47307
http://ko.wikipedia.org/wiki/%EB%A9%94%EC%9D%B4%EC%A7%80_%EC%9C%A0%EC%8B%A0
http://blog.naver.com/violet_gray/220161548357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826081&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380_000_1%2F20130215191520415_073IYV137.jpg%2F69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categoryId=42998&mode=simple|&query=&authorId=(이미지)
2) 정한론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9%80%EC%BF%A0%EB%9D%BC_%EC%82%AC%EC%A0%88%EB%8B%A8
http://ko.wikipedia.org/wiki/%EC%A0%95%ED%95%9C%EB%A1%A0
http://blog.naver.com/moecon/150008198757
http://blog.naver.com/cjbdja/2200191132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07962&cid=42997&categoryId=4299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7142&cid=43667&categoryId=4366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2525&cid=47323&categoryId=47323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5.23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