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
본문내용
을 열어 놓도록 한다.
무균법을 시행하는 동안 장갑 낀 손은 허리 위쪽에 있도록 한다. 손을 허리 밑으로내린다면
손이 시야 내에 없으므로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멸균 장갑을 낀 손으로는 멸균된 부분만 만지도록 한다.
용액을 담을 용기는 멸균지역의 가장자리에 놓아, 용액이 다른 부분으로 튀어 나가지않도록
용액을 부을 수 있도록 한다.
3. 모자, 마스크, 장갑, 가운의 착용지침
모 자- 모자를 쓸 때에는 머리카락이 모자 밖으로 보이지 않도록 착용한다.
마스크- 공기 또는 비말로 전파되는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습해지면 벗지말고 그 위에 두번째
마스크를 착용한다.
장 갑-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상처의 분비물, 배설물과 접촉하거나 점막과 접촉할 때 손의 오염을 방지하고,
환자에게 의료인 손의 상재균의 전파를 막는다.
④ 가 운- 의료진이나 환자의 의복에 미생물이나 오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역으로 환자에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모자,마스크,장갑, 가운 입고 벗는 순서
모자,마스크 착용-> 손 씻기 -> 가운 착용-> 장갑 착용-> 수술 및 처치
장갑 제거-> 손 씻기-> 가운 제거-> 모자. 마스크 제거
무균법을 시행하는 동안 장갑 낀 손은 허리 위쪽에 있도록 한다. 손을 허리 밑으로내린다면
손이 시야 내에 없으므로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멸균 장갑을 낀 손으로는 멸균된 부분만 만지도록 한다.
용액을 담을 용기는 멸균지역의 가장자리에 놓아, 용액이 다른 부분으로 튀어 나가지않도록
용액을 부을 수 있도록 한다.
3. 모자, 마스크, 장갑, 가운의 착용지침
모 자- 모자를 쓸 때에는 머리카락이 모자 밖으로 보이지 않도록 착용한다.
마스크- 공기 또는 비말로 전파되는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습해지면 벗지말고 그 위에 두번째
마스크를 착용한다.
장 갑-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상처의 분비물, 배설물과 접촉하거나 점막과 접촉할 때 손의 오염을 방지하고,
환자에게 의료인 손의 상재균의 전파를 막는다.
④ 가 운- 의료진이나 환자의 의복에 미생물이나 오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역으로 환자에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모자,마스크,장갑, 가운 입고 벗는 순서
모자,마스크 착용-> 손 씻기 -> 가운 착용-> 장갑 착용-> 수술 및 처치
장갑 제거-> 손 씻기-> 가운 제거-> 모자. 마스크 제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