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농구의 역사
★코트와 시설 및 장비
☆방어의 종류
☆패스의종류
☆슛의 종류
★코트와 시설 및 장비
☆방어의 종류
☆패스의종류
☆슛의 종류
본문내용
trol Dribble)
어떠한 팀 작전 시도나 상대팀이 대인 방어 시 방향 전환, 피봇 훼이크, 백드리블 등을 하는 것
-컴비네이션 디펜스 (Combination Deffense)
공격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대인 방어를 병용하여 하는 수비
-컷인플레이 (Cut In Play)
상대편의 수비가 적극적일때 사용. 공을 가진 선수가 자기편에게 패스한 후 수비자를 제치면서 골밑으로 뛰어들어갈 때 적절하게 패스를 연결하면 손쉬운 득점을 할수 있다.
-코트비전(Court Vision)
코트 전체를 내다 보는 힘으로, 특히 포인트 가드의 능력을 측정할 때 필수적인 요구 조건이 됨.
-쿼드러플 더블(Quadruple Double)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가로채기 블록슛 등 5개 부문 중 4개 부문에서 두 자리수 이상을 기록하는 경우를 의미. 5개 부문 중 두 가지 부문에서 두 자리수 이상을 기록하는 `더블-더블(Double-Double)'이나 세가지 부문에서 두 자리수 이상 따내는 `트리플 더블(Triple Double)'보다 훨씬 힘든 대기록이다.
-크로스 스텝 (Cross Step)
하반신은 보통 달리기 방법으로 상반신은 항상 공격으로 향하는 스텝
-크로스오버 (Cross Over)
볼을 다리사이로 교차시키면서 드리블 하는 것
-클러치슛 (Clutch Shoot)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에 득점으로 연결되는 슛을 말함
-클로즈업 슛 (Close-up Shoot)
러닝 슛의 일종. 점프 후 볼을 이마 앞이나 머리 위에서 세팅 해 슛하는 방법
-킥 볼 (Kick Ball)
바이얼 레이션의 일종. 고의로 볼을 찬 경우에 한하여 상대방의 볼이 된다 .
-타임 아웃 (Time Out)
작전타임 등으로 시합을 일시 중지시키는 것
-탭 패스 (Tab Pass)
점프하면서 받은 볼을 착지하지 않고 공중에서 즉시 같은팀에게 보내는 리턴 패스.
-터치 다운 패스 (Touch Down Pass)
캐치와 동시에 득점으로 연결되는 어시스트 패스
-턴오버(Turn Over)
실수로 인한 `공격권 이전'을 뜻한다. 한마디로 `실책' 또는 `에러'. 따라서 턴오버는 드리블 도중 가로채기 당했거나 패스미스를 했을 때 체크되는 `불명예 기록'이다.
-테크니컬 파울 (Technical Foul)
선수뿐만 아니라 팀 관계자가 스포츠맨쉽이나 페어플레이 정신에 어긋난 행동을 할 경우 부과되는 파울
-템포바스켓볼(Tempo Basketball)
말 그대로 어떤 리듬에 따라 움직이는 것. 경기의 흐름에 따라 플레이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인데 그 만큼 실수가 많을 수 있고 속공에 실패할 경우 팀의 사기가 저하될 수 있다.
-트라이아웃(Tryout)
매년 7,8월경 미국현지의 대학졸업자 및 USBL,CBL,호주,유럽 등지에서 활동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국내 프로리그에서 활약할 선수를 지명하는 것.
-트라이앵글(Tri-angle)
불스의 어시스턴트 코치인 텍스 윈터가 고안해 낸 오펜스 시스템. 선수는 항상 트라이앵글(삼각형)을 그리며 포지션을 잡고 다양한 옵션 플레이를 자아낸다
-트래블링 (Traveling)
볼을 갖고 3보 이상 이동하는 것. 바이얼레이션에 속한다.
-트랜지션게임 (Transition Game)
공수교체가 빠른 게임
-트랩디펜스(Trap Deffense)
더블팀에 몰린 공격수의 패스를 뺏기 위한 함정수비. 수비수 2명이 볼을 가진 공격수 1명을 에워싸는 더블팀을 감행하면 공격수는 당황한 나머지 동료를 찾아 패스를 하게 되는데 이때 수비측이 패스를 차단한다.
-트리블더블(Triple Double)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가로채기 블록슛 중 3가지 부문에서 두 자리 수치를 기록하는 경우.
-트리핑 (Tripping)
상대방의 발을 걸어 진로를 방해하는 것. 개인 파울 중의 하나, 심한 경우는 테크니컬파울이 된다.
-팀 파울 (Team Foul)
한 쿼터에 한 팀이 거듭한 파울이 합계 5번을 넘게 되면 6번째부터는 파울을 범할 때마다 상대팀에 자유투를 준다. (슛 동작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
-팁 인 (Tip In)
공격 리바운드시 손끝으로 살짝 밀어넣는 슛
-팁오프(Tip Off)
센터 서클 위로 공을 던져 공격권을 정하는 일을 말함.
-하이 포스트 (High Post)
로우(LOW) 포스트의 반대로 자유투 선상 부근을 가리킨다.
-하킹 (Hacking)
상대 선수의 발을 누르거나 잡았을 때에 해당되는 개인 반칙
-하프 라인 바이얼레이션(Half-line Violation)
프론트코트에서 볼을 컨트롤하고 있다가 백코트로 이동하는 경우
-하프코트바스켓 (Harf Court Basket)
셋 오펜스를 중심으로 시간을 들여 공격하는 팀플레이. 컨트롤바스켓이라고도 한다.
-핸즈 업 (Hand Up)
수비수가 공격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양손을 올리는 기본 기술
-헤지테이션 스텝 (Hesitation Step)
댄스에서 잠시 멈추듯이 일순간 동작을 몸추고 상대를 멈칫하게 만들고 나서 컷인하는 스텝
-헬드 볼 (Held Ball)
공격수와 수비수가 서로 볼을 껴안고 있어 그 소유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이 때는 가장 가까운 서클 안에서 점프볼을 한다.
-헬프디펜스(Help Deffense)
팀 수비의 하나. 동료수비수가 공격수에게 뚫렸을 때 자신이 맡고 있는 공격수를 버리고 노마크가 된 지역을 수비하는 행위. 홀딩 (Holding)
상대방 공격수를 양손으로 누르는 개인 반칙
-홈코트 어드밴티지 (Home Court Advantage)
홈코트에서 게임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뜻. 특히 플레이 오프에서는 홈코트 어드밴티지를 갖는 것은 게임의 승패에 커다란 영향을 줌.
-훅 슛 (Hook Shoot)
몸을 비틀면서 수비수 위를 넘길 수 있도록 한 손으로 하는 슛
-훅 패스 (Hook Pass)
수비가 접근함과 동시에 우리 편에게 패스하고 싶을 때 사용. 몸 전체와 손목은 갈고리처럼 구부려서 머리 위에서 반원을 그리듯이 던지는 패스
어떠한 팀 작전 시도나 상대팀이 대인 방어 시 방향 전환, 피봇 훼이크, 백드리블 등을 하는 것
-컴비네이션 디펜스 (Combination Deffense)
공격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대인 방어를 병용하여 하는 수비
-컷인플레이 (Cut In Play)
상대편의 수비가 적극적일때 사용. 공을 가진 선수가 자기편에게 패스한 후 수비자를 제치면서 골밑으로 뛰어들어갈 때 적절하게 패스를 연결하면 손쉬운 득점을 할수 있다.
-코트비전(Court Vision)
코트 전체를 내다 보는 힘으로, 특히 포인트 가드의 능력을 측정할 때 필수적인 요구 조건이 됨.
-쿼드러플 더블(Quadruple Double)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가로채기 블록슛 등 5개 부문 중 4개 부문에서 두 자리수 이상을 기록하는 경우를 의미. 5개 부문 중 두 가지 부문에서 두 자리수 이상을 기록하는 `더블-더블(Double-Double)'이나 세가지 부문에서 두 자리수 이상 따내는 `트리플 더블(Triple Double)'보다 훨씬 힘든 대기록이다.
-크로스 스텝 (Cross Step)
하반신은 보통 달리기 방법으로 상반신은 항상 공격으로 향하는 스텝
-크로스오버 (Cross Over)
볼을 다리사이로 교차시키면서 드리블 하는 것
-클러치슛 (Clutch Shoot)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에 득점으로 연결되는 슛을 말함
-클로즈업 슛 (Close-up Shoot)
러닝 슛의 일종. 점프 후 볼을 이마 앞이나 머리 위에서 세팅 해 슛하는 방법
-킥 볼 (Kick Ball)
바이얼 레이션의 일종. 고의로 볼을 찬 경우에 한하여 상대방의 볼이 된다 .
-타임 아웃 (Time Out)
작전타임 등으로 시합을 일시 중지시키는 것
-탭 패스 (Tab Pass)
점프하면서 받은 볼을 착지하지 않고 공중에서 즉시 같은팀에게 보내는 리턴 패스.
-터치 다운 패스 (Touch Down Pass)
캐치와 동시에 득점으로 연결되는 어시스트 패스
-턴오버(Turn Over)
실수로 인한 `공격권 이전'을 뜻한다. 한마디로 `실책' 또는 `에러'. 따라서 턴오버는 드리블 도중 가로채기 당했거나 패스미스를 했을 때 체크되는 `불명예 기록'이다.
-테크니컬 파울 (Technical Foul)
선수뿐만 아니라 팀 관계자가 스포츠맨쉽이나 페어플레이 정신에 어긋난 행동을 할 경우 부과되는 파울
-템포바스켓볼(Tempo Basketball)
말 그대로 어떤 리듬에 따라 움직이는 것. 경기의 흐름에 따라 플레이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인데 그 만큼 실수가 많을 수 있고 속공에 실패할 경우 팀의 사기가 저하될 수 있다.
-트라이아웃(Tryout)
매년 7,8월경 미국현지의 대학졸업자 및 USBL,CBL,호주,유럽 등지에서 활동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국내 프로리그에서 활약할 선수를 지명하는 것.
-트라이앵글(Tri-angle)
불스의 어시스턴트 코치인 텍스 윈터가 고안해 낸 오펜스 시스템. 선수는 항상 트라이앵글(삼각형)을 그리며 포지션을 잡고 다양한 옵션 플레이를 자아낸다
-트래블링 (Traveling)
볼을 갖고 3보 이상 이동하는 것. 바이얼레이션에 속한다.
-트랜지션게임 (Transition Game)
공수교체가 빠른 게임
-트랩디펜스(Trap Deffense)
더블팀에 몰린 공격수의 패스를 뺏기 위한 함정수비. 수비수 2명이 볼을 가진 공격수 1명을 에워싸는 더블팀을 감행하면 공격수는 당황한 나머지 동료를 찾아 패스를 하게 되는데 이때 수비측이 패스를 차단한다.
-트리블더블(Triple Double)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가로채기 블록슛 중 3가지 부문에서 두 자리 수치를 기록하는 경우.
-트리핑 (Tripping)
상대방의 발을 걸어 진로를 방해하는 것. 개인 파울 중의 하나, 심한 경우는 테크니컬파울이 된다.
-팀 파울 (Team Foul)
한 쿼터에 한 팀이 거듭한 파울이 합계 5번을 넘게 되면 6번째부터는 파울을 범할 때마다 상대팀에 자유투를 준다. (슛 동작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
-팁 인 (Tip In)
공격 리바운드시 손끝으로 살짝 밀어넣는 슛
-팁오프(Tip Off)
센터 서클 위로 공을 던져 공격권을 정하는 일을 말함.
-하이 포스트 (High Post)
로우(LOW) 포스트의 반대로 자유투 선상 부근을 가리킨다.
-하킹 (Hacking)
상대 선수의 발을 누르거나 잡았을 때에 해당되는 개인 반칙
-하프 라인 바이얼레이션(Half-line Violation)
프론트코트에서 볼을 컨트롤하고 있다가 백코트로 이동하는 경우
-하프코트바스켓 (Harf Court Basket)
셋 오펜스를 중심으로 시간을 들여 공격하는 팀플레이. 컨트롤바스켓이라고도 한다.
-핸즈 업 (Hand Up)
수비수가 공격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양손을 올리는 기본 기술
-헤지테이션 스텝 (Hesitation Step)
댄스에서 잠시 멈추듯이 일순간 동작을 몸추고 상대를 멈칫하게 만들고 나서 컷인하는 스텝
-헬드 볼 (Held Ball)
공격수와 수비수가 서로 볼을 껴안고 있어 그 소유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이 때는 가장 가까운 서클 안에서 점프볼을 한다.
-헬프디펜스(Help Deffense)
팀 수비의 하나. 동료수비수가 공격수에게 뚫렸을 때 자신이 맡고 있는 공격수를 버리고 노마크가 된 지역을 수비하는 행위. 홀딩 (Holding)
상대방 공격수를 양손으로 누르는 개인 반칙
-홈코트 어드밴티지 (Home Court Advantage)
홈코트에서 게임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뜻. 특히 플레이 오프에서는 홈코트 어드밴티지를 갖는 것은 게임의 승패에 커다란 영향을 줌.
-훅 슛 (Hook Shoot)
몸을 비틀면서 수비수 위를 넘길 수 있도록 한 손으로 하는 슛
-훅 패스 (Hook Pass)
수비가 접근함과 동시에 우리 편에게 패스하고 싶을 때 사용. 몸 전체와 손목은 갈고리처럼 구부려서 머리 위에서 반원을 그리듯이 던지는 패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