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감상문]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감상문]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I. 서론

II. 본론
1. 통혁당 사건
2. 기억하고 싶은 구절

III. 결론

본문내용

와 사색의 표현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현재의 어려움보다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고 독서에 증진하는 모습과 미래에 대한 고민하는 모습은 우리들 바깥(감옥밖) 사람들의 귀감이 되기에 충분하다.
신영복선생이 어둡고 침울한 감옥생활속에서도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것은 나름대로의 면벽칠년이면 득도한다는 선인의 모습을 닮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징역생활속에서도 끊임없이 독서하고 생각하였기에 이리도 투명한 마음을 그린 아름다운 문체의 글을 쓰지 않았나 생각한다. 옥중에 사는 이가 천국이라면 우리가 사는 자유스런 세상도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마음의 감옥이 아닐까 생각한다.
작가는 바쁜 인간들속의 군중 속에서만 갖는 고독이 창조의 산실이다라는 라고 말하고 있다. 정말 진정한 고독은 어쩌다 주어지는 망중한을 통한 고독을 즐기며 창조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다.
신영복선생의 글은 부드럽고 따뜻하고 너그럽고 온화하다. 그러나 그 속에는 역사와 사회와 인간이 어떻게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냉철하고 준엄한 비판의 칼이 들어있다. 그의 글을 읽는 것은 삶을 배우고 또 문장의 극치에 도달한 아름다움을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아직도 꿈을 버리지 않은 사람이 꿈 찾아 나서는 방랑이...
역마살이 들었다는 말의 또 다른 표현...
신영복선생의 표현처럼 나에게도 선생에게도 늘 꿈이 함께 하길 바래본다.
※ 참고문헌
1.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조희연- (1993년)
2. 유영구 「통일혁명당」《월간 중앙》 1992년 2월호
3. 『80년대 사회운동논쟁』 (한길사,1989) 편진부 편, 「통일혁명당」 (나라사랑, 1988)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5.28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0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