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컨테이너 운송의 개요
2. 컨테이너 운송의 장점 및 단점
3. 선형과 하역방식 및 트레일러 형상에 의한 컨테이너의 종류
4. 컨테이너 관련장비 7가지
2. 컨테이너 운송의 장점 및 단점
3. 선형과 하역방식 및 트레일러 형상에 의한 컨테이너의 종류
4. 컨테이너 관련장비 7가지
본문내용
, 컨테이너 운송시 컨테이너 섀시보다 차체가 무거워 축중제한을 받기에 가벼운 컨테이너를 운송해야 한다.
② 저상식 트레일러
로베드 트레일러 ,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높이가 낮은 하대를 가진 트레 일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중기 등 건설장비의 운반에 적합한 트레일러이
다.
③ 중저상식 트레일러
드롭베드 트레일러, 저상식 트레일러 가운데 프레임 중앙 하대부가 낮은 트레일
러를 의미한다. 핫 코일이나 중량화물 등의 운반에 편리하다.
④ 스케레탈식 트레일러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제작된 트레일러(일명 섀시)로서, 트레일러 4개 모서리에
컨테이너 고정 장치인 콘이 정착되어 운송 중 컨테이너가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⑤ 밴형 트레일러
하대부분에 밴형의 보디가 장치된 트레일러로서, 일반잡화 및 냉동화물 등의 운
반에 사용 된다
⑥ 오픈 톱 트레일러
밴형 트레일러의 일종으로 전창에 개구부가 있어 채광이 가능한 화물운반용으로
이용된다.
⑦ 특수용도 트레일러
덤프 트레일러, 탱크 트레일러, 자동차 운방용 트레일러등 특수한 목적하에 제
작된 트레일러이다.
4. 컨테이너 관련장비 7가지
1) 갠트리 크레인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양륙하기 위한 전용
크레인으로 에이프런에 부설된 철도 위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선적 및 양하하는 데 사용하는 대형 기중기이다.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Spreader에 의하여 Hook에
매달린 컨테이너를 감아 올려 적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2) 스트래들 캐리어
-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으로 또는CY에 운반 및 적재하는 데 사용
한다.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컨테이너를 양 다리 사이에 끼우고 운반하는 차량으
로서 기동성이 좇은 하역장비이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트랜스테이너보다 이용하
는 터미널이 많지는 않다.
3) 야드 트랙터
- CY 내에서 트레일러를 이동하는 견인차량으로 보통 Head라고 한다. 컨테이너 야
적장에서 Chassis를 끄는 트럭을 Tractor라 한다.
4) 트랜스테이너
- 컨테이너를 차곡차곡 쌓거나 컨테이너를 내리는 일 또는 섀시나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5) 윈치 크레인
- 컨테이너를 Chassis 또는 트럭에 적재 또는 양하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작업장까지 자력으로 이동한다.
6) 포크 리프트
- Fork Lift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거나 또는 트럭
에서 양하 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대형과 소형 두 가지가 있다. 즉, Fork Lift는 차체의 뒤에 화물적재용 fork 또는 하역취급용 부속시설을 갖추고 이것을 승강시키는 유압장치로 화물을 운반하는 대형 하역기계이다.
7) 스프레더
- 컨테이너를 전용으로 하역하기 위하여 갠트리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에 매달아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장비이다. 보통 유압으로 작동하며, 컨테이너
모서리에 있는 콘에 장금장치를 하여 들어 올릴 때에는 잠금 장치를 하고, 내려
서 잠금장치를 풀어 컨테이너를 해제한다.
② 저상식 트레일러
로베드 트레일러 ,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높이가 낮은 하대를 가진 트레 일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중기 등 건설장비의 운반에 적합한 트레일러이
다.
③ 중저상식 트레일러
드롭베드 트레일러, 저상식 트레일러 가운데 프레임 중앙 하대부가 낮은 트레일
러를 의미한다. 핫 코일이나 중량화물 등의 운반에 편리하다.
④ 스케레탈식 트레일러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제작된 트레일러(일명 섀시)로서, 트레일러 4개 모서리에
컨테이너 고정 장치인 콘이 정착되어 운송 중 컨테이너가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⑤ 밴형 트레일러
하대부분에 밴형의 보디가 장치된 트레일러로서, 일반잡화 및 냉동화물 등의 운
반에 사용 된다
⑥ 오픈 톱 트레일러
밴형 트레일러의 일종으로 전창에 개구부가 있어 채광이 가능한 화물운반용으로
이용된다.
⑦ 특수용도 트레일러
덤프 트레일러, 탱크 트레일러, 자동차 운방용 트레일러등 특수한 목적하에 제
작된 트레일러이다.
4. 컨테이너 관련장비 7가지
1) 갠트리 크레인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양륙하기 위한 전용
크레인으로 에이프런에 부설된 철도 위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선적 및 양하하는 데 사용하는 대형 기중기이다.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Spreader에 의하여 Hook에
매달린 컨테이너를 감아 올려 적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2) 스트래들 캐리어
-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으로 또는CY에 운반 및 적재하는 데 사용
한다.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컨테이너를 양 다리 사이에 끼우고 운반하는 차량으
로서 기동성이 좇은 하역장비이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트랜스테이너보다 이용하
는 터미널이 많지는 않다.
3) 야드 트랙터
- CY 내에서 트레일러를 이동하는 견인차량으로 보통 Head라고 한다. 컨테이너 야
적장에서 Chassis를 끄는 트럭을 Tractor라 한다.
4) 트랜스테이너
- 컨테이너를 차곡차곡 쌓거나 컨테이너를 내리는 일 또는 섀시나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5) 윈치 크레인
- 컨테이너를 Chassis 또는 트럭에 적재 또는 양하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작업장까지 자력으로 이동한다.
6) 포크 리프트
- Fork Lift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거나 또는 트럭
에서 양하 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대형과 소형 두 가지가 있다. 즉, Fork Lift는 차체의 뒤에 화물적재용 fork 또는 하역취급용 부속시설을 갖추고 이것을 승강시키는 유압장치로 화물을 운반하는 대형 하역기계이다.
7) 스프레더
- 컨테이너를 전용으로 하역하기 위하여 갠트리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에 매달아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장비이다. 보통 유압으로 작동하며, 컨테이너
모서리에 있는 콘에 장금장치를 하여 들어 올릴 때에는 잠금 장치를 하고, 내려
서 잠금장치를 풀어 컨테이너를 해제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물류관련 기업의 세계적인 성공방법론 모색-한진택배와 FedEX(페텍스)와의 비교 분석
해운업무와 [MIS]
항만물류론
화물운송론
선하증권 (b/l)
국제해상운송 - 정기선과 부정기선
[칸반시스템] 칸반 시스템에 대해서
구상선수친환경 선박
현행 우리나라의 수출입운송절차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지식경영시스템]금융기관 지식경영시스템, 해양 지식경영시스템(OKIS), 철도청 지식경영시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재무제표 분석(08-12)
항공화물
정기선(定期船)과 부정기선(不定期船) 운송.ppt
철도운송의 문제점 : 철도운송(鐵道運送)의 특징과 운송방식.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