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롤드 라스웰(Harold D. Lasswell)의 정책학(Policy Science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롤드 라스웰(Harold D. Lasswell)의 정책학(Policy Science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학이 분명하게 소개되지 못한 점도 있다. 그러나 정책학의 학문적인 발달
에서 그의 정책사상이나 지식을 정책현실에 타당하고 적절한 정책지식으로 응용하고 사용
할 수 있는 현실성에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Conway, 1990).
실제로 그의 대표적인 저술인 1971년의 “정책학서설”이나, 1992년의 "자유사회를 위한
법리학" 등의 내용은 상당히 이론적이고 사상적이다. 특히 정책가치나 정책사상, 인간의 존
엄성 등을 설명한 것은 양도 방대하지만 종교학, 사회학, 정치학, 심리학, 법학 등의 기본소
양을 갖추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그가 생각하고 정리한 정책학이라는 기본
사상과 개념이 이해할 수 없는 다수에 의하여 때때로 무시되면서(정책학자의 세대 간의 갈등
(Brown, 2004)) 정책학은 그가 처음에 생각한 것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1970년대 이후에 정책학의 연구내용이 풍부하고 복잡해지면서 여러 부류의 학문들
이 정책학의 이름과 혼동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정책학의 초점과 패러다임이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때문에 정책학은 다시 그 태동기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주장
도 설득력이 있다.
둘째, 따라서 Lasswell이 제시한 정책학의 방법론이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가능한 것으
로 발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범학제적 방법에 따라서 Lasswell 자신과 같이, 한 사
람이 만능선수처럼 정책에 필요한 모든 학문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고 적용한다는 것
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여러 분야의 학문들이 경계선 없이 참여하고 그의 이론들이
적용되면서도 정책학자들, 특히 정책이론을 공부하는 정책학자들의 학문적인 정체성과 자
긍심을 보존할 수 있는 정책학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Lasswell 당시의 행태과학에 대한 지지와 신봉이 실제로 그가 주장하던 인간중심
의 정책학의 이상과 철학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조화될 것인가 하는 것을 정확하게 설명해
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지식과 이론이, 물론 인간의 행복과 복지에 크
게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Lasswell정책학이 주창하던 인간존재의 실현과 민주주의에 필
요한 방법론이 될 길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 하는 점에서 그 해답은 다양하고 어렵다는 점
이다. 그래서 Lasswell정책학의 가장 큰 결점의 하나가 정책의 철학을 연구할 수 있는 방
법론이 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