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의 개념
Ⅰ. 용어의 문제
Ⅱ. 기획의 정의
1. 대상수준에 따른 분류
2. 강조점에 따른 분류
Ⅲ. 기획과 유사개념
1. 모형
2. 정책
3. 예측
4. 체제분석
Ⅰ. 용어의 문제
Ⅱ. 기획의 정의
1. 대상수준에 따른 분류
2. 강조점에 따른 분류
Ⅲ. 기획과 유사개념
1. 모형
2. 정책
3. 예측
4. 체제분석
본문내용
에 경제적인 효율성은 물론 정치적인 합리성도 아울러 고려된다는 점, (ii) 정책결정은 포괄하는 기간이나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광범하여 “일반적인 행위의 지침” 성격이 강하다는 점, (iii) 모든 정책결정에 있어서 공익의 추구가 최우선적인 기준이 되기 때문에 가치의 배분문제가 수반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앞에서 제시한 기획의 수준에 비추어 볼 때 문제해결이나 관리과정의 일환으로서의 기획은 의사결정과 유사한 반면, 사회변화나 국가발전의 일환으로서의 기획은 정책결정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고 보겠다.
상대적으로 볼 때 기획은 정책결정보다는 장기적인 전망 속에서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며 합리성이 한층 더 강조된다. 그러므로 계획의 실현가능성은 정책보다 낮다고 하겠다. 본질적으로 정책결정에 비해서 기
획이 갖는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한 묶음의 복합적인 결정(a set of decision)이라는 데 있다. 기획에서는 개별적인 정책의 채택 여부도 중요한 결정이지만 채택된 정책이나 사업들 간에 투자나 시행시기 면에서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종합적인 결정을 내려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3. 예측
기획이 미래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장래를 예측하는 활동은 기획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이며 기초적인 수단이 된다. 그러나 예측 자체가 기획이 될 수는 물론 없다.
장래에 대한 예측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우선 주관적인 예상 또는 예견(Prediction)이 있다. 이는 순전히 사적 통찰력에 의한 미래에의 투시로서 변화의 규칙성과 요인에 대한 분석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예견의 근거를 설명하기 어려우며 장차 어떠한 사건이 생길 것이라고 점치는 것과 흡사하다. 이와 반대로 과거의 추이와 현상 속에 나타난 어떤 지속적인 경향이나 재현성(regularity and recurrence)을 바탕으로 미래를 내다보는 것은 예보 혹은 예측(forecast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예측은 과거의 경향에 대한 시계열(time series)분석을 기초로 하고 통계적인 추정(Projection)과 확률 등을 활용한다. 물론 이러한 예측도 오차가 생길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이는 마치 과학적인 분석자료에 의한 일기예보(weather forecasting)가 자주 들리는 것과 같다.
기획은 이러한 예측과 아울러 인간의 소망과 의지를 반영한 또 다른 형태의 미래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자연적인 추세에 의한 추정을 바탕으로 목표와 방향을 정립하여 장래를 그런 상태에 이르도록 인위적으로 이끌어가려는 노력인 것이다.
4. 체제분석 (systems analysis)
기획과 체제분석, OR 등 관리과학적 기법 사이에는 유사한 점(confluence)이 많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과학적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자는 기본 접근방법 면에서 공통성을 갖기 때문이다.
체제분석은 문제를 분석하고 목표와 대안을 탐색하여 각각의 예상되는 결과에 비추어 그들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의사결정을 돕는 기법이다.
OR역시 대동소이하며 어떤 의미에서 체제분석의 일종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
이다. Quade는 체제분석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i) 목표, (ii) 대안적 수단, (iii) 각 대안의 비용, (iv) 수학적 또는 이론적 모형, (v) 선택의 준거(criterion) 등을 꼽고 있다.
이러한 체제분석의 정의와 요소를 기획의 그것과 비교해 보면 극히 유사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간의 차이는 상대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상대적인 차이가 현저하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예컨대 Catanese와 Steiss는 몇 가지 기준에 비추어 양자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첫째로, 체제분석이 당면한 문제를 해소하려는 교정적인 데 중점을 두고 있는 데 반하여 기획은 장래에 예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대처하려는 예방적인데 역점을 둔다.
둘째로, 체제분석이 단일의 해결책을 추출할 수 있는 일원적인 문제들을 주로 다루는 데 비해서 기획은 서로 얽혀 있는 복합적인 문제들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로, 기획은 체제분석에 비해서 장기적인 조망(Perspective)을 가지며 체제분석보다 계량적인 기법을 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결정의 준거로서 주로 활용되는 기준을 보면 체제분석의 경우는 비용 편익분석이 대종을 이루는 데 비해서 기획의 경우는 계량적 비교 평가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논리적 일관성(logical consistency)이 판단기준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앞에서 제시한 기획의 수준에 비추어 볼 때 문제해결이나 관리과정의 일환으로서의 기획은 의사결정과 유사한 반면, 사회변화나 국가발전의 일환으로서의 기획은 정책결정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고 보겠다.
상대적으로 볼 때 기획은 정책결정보다는 장기적인 전망 속에서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며 합리성이 한층 더 강조된다. 그러므로 계획의 실현가능성은 정책보다 낮다고 하겠다. 본질적으로 정책결정에 비해서 기
획이 갖는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한 묶음의 복합적인 결정(a set of decision)이라는 데 있다. 기획에서는 개별적인 정책의 채택 여부도 중요한 결정이지만 채택된 정책이나 사업들 간에 투자나 시행시기 면에서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종합적인 결정을 내려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3. 예측
기획이 미래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장래를 예측하는 활동은 기획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이며 기초적인 수단이 된다. 그러나 예측 자체가 기획이 될 수는 물론 없다.
장래에 대한 예측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우선 주관적인 예상 또는 예견(Prediction)이 있다. 이는 순전히 사적 통찰력에 의한 미래에의 투시로서 변화의 규칙성과 요인에 대한 분석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예견의 근거를 설명하기 어려우며 장차 어떠한 사건이 생길 것이라고 점치는 것과 흡사하다. 이와 반대로 과거의 추이와 현상 속에 나타난 어떤 지속적인 경향이나 재현성(regularity and recurrence)을 바탕으로 미래를 내다보는 것은 예보 혹은 예측(forecast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예측은 과거의 경향에 대한 시계열(time series)분석을 기초로 하고 통계적인 추정(Projection)과 확률 등을 활용한다. 물론 이러한 예측도 오차가 생길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이는 마치 과학적인 분석자료에 의한 일기예보(weather forecasting)가 자주 들리는 것과 같다.
기획은 이러한 예측과 아울러 인간의 소망과 의지를 반영한 또 다른 형태의 미래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자연적인 추세에 의한 추정을 바탕으로 목표와 방향을 정립하여 장래를 그런 상태에 이르도록 인위적으로 이끌어가려는 노력인 것이다.
4. 체제분석 (systems analysis)
기획과 체제분석, OR 등 관리과학적 기법 사이에는 유사한 점(confluence)이 많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과학적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자는 기본 접근방법 면에서 공통성을 갖기 때문이다.
체제분석은 문제를 분석하고 목표와 대안을 탐색하여 각각의 예상되는 결과에 비추어 그들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의사결정을 돕는 기법이다.
OR역시 대동소이하며 어떤 의미에서 체제분석의 일종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
이다. Quade는 체제분석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i) 목표, (ii) 대안적 수단, (iii) 각 대안의 비용, (iv) 수학적 또는 이론적 모형, (v) 선택의 준거(criterion) 등을 꼽고 있다.
이러한 체제분석의 정의와 요소를 기획의 그것과 비교해 보면 극히 유사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간의 차이는 상대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상대적인 차이가 현저하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예컨대 Catanese와 Steiss는 몇 가지 기준에 비추어 양자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첫째로, 체제분석이 당면한 문제를 해소하려는 교정적인 데 중점을 두고 있는 데 반하여 기획은 장래에 예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대처하려는 예방적인데 역점을 둔다.
둘째로, 체제분석이 단일의 해결책을 추출할 수 있는 일원적인 문제들을 주로 다루는 데 비해서 기획은 서로 얽혀 있는 복합적인 문제들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로, 기획은 체제분석에 비해서 장기적인 조망(Perspective)을 가지며 체제분석보다 계량적인 기법을 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결정의 준거로서 주로 활용되는 기준을 보면 체제분석의 경우는 비용 편익분석이 대종을 이루는 데 비해서 기획의 경우는 계량적 비교 평가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논리적 일관성(logical consistency)이 판단기준이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