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기부문화(寄附文化)의 육성방안 (기부문화 활성화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전한 기부문화(寄附文化)의 육성방안 (기부문화 활성화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건전한 기부문화의 육성방안

Ⅰ. 기부문화의 중요성

Ⅱ. ‘열린 정당’화 방안

Ⅲ. 정치자금 기부문화의 육성 방안

Ⅳ. 정치자원봉사의 확산 방안

Ⅴ. 우리 사회의 숨은 시민문화의 잠재력 활용

본문내용

수 없는 유착관계를 맺어 왔다. 정치인
이 쓰는 돈은 깨끗한 돈이 아니기 때문에 받아써도 된다는 것이 유권
자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다. 이런 정치환경 속에서는 자발적인 정치봉사
활동이 확산될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정당이나 후보를 위해 자발적인 유권자의 봉사활동을 확대하는 일은
정치자금의 수요를 줄이는 길일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유권자 참여를
통해 정치를 발전시키는 길이기도 하다. 정당이 지금처럼 비민주적으로
운영되어서는 유권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봉사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당의 지도부 인선이나 선거의 입후보자 공천이 소수의 당 실세들에 의
해 독과점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 유권자를 많이 참여시켜 이들이 자발
적으로 당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도록 정당과 정치인들이 함
께 지혜를 모아 합리적인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정당들은
정보화 시대의 이기를 잘 활용하고 인터넷 등을 통해 새로운 자원봉사
자와 시민참여를 촉구하는 방안에도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사이버 당
원들을 많이 흡수하고, 사이버 정당 활동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미
인터넷을 통한 정당의 홍보활동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다. 그렇지만 아직 유권자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하는 것 같다. 보다
차별화된 유권자 접근전략과 보다 많은 관심과 동기를 유발하고, 더 큰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새로운 정책들을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5) 우리 사회의 숨은 시민문화의 잠재력 활용
월드컵 축구경기를 응원하는 보통사람들의 모습을 보라. 우리 사회에
넘치는 자원봉사인력이 준비되고 있지 않는가? 자신들이 '신나게' 좋아
하는 일을 위해 시간과 돈을 아낌없이 쏟아 웃는 보통사람들, 젊은이
들, 그들이야말로 바로 우리 사회의 저력이요 민주화의 저변세력이 아
니겠는가. 돈 많고 지위 높은 지도층에게만 그들이 감당해야 할 사회적
의무(noblesse oblige)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보
통사람들, 중산층, 젊은 세대들에게도 그들에게 부과된 의무가 있음을
깨우쳐야 한다. 그것은 바로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더욱 공고하게 정
착시켜 나갈 의무이다. 그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 행사할 수 있는 권리
만 부여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잘 감시하고 더욱 공고하게 만들어
가야 할 의무가 따른다는 것도 확인시켜 주도록 해야 한다. 그들이 가
진 돈과 시간, 그리고 서비스의 작은 부분이나마 정치발전을 위해 기꺼
이 바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이끌어 내야 한다. 중산층을 민주
주의의 보루라고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스스로를 중산층으
로 분류하는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는 70%를 넘어섰다. 정치권에서 제
대로 물꼬만 잘 터 준다면 이 거대한 저력을 정치자원봉사활동으로 전
환하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정치권이 대오각성하여, 솔선수범하
고, 유효한 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해 나간다면 새로
운 기부문화, 새로운 정치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는 일은 충분히 가능
하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