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의 개선] OECD의 평가업무 개선지침 - OECD는 정부에서의 평가활동관리와 개별평가활동의 관리를 보다 강조하면서 구체적인 평가업무의 개선지침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의 개선] OECD의 평가업무 개선지침 - OECD는 정부에서의 평가활동관리와 개별평가활동의 관리를 보다 강조하면서 구체적인 평가업무의 개선지침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OCED의 평가업무 개선지침

Ⅰ. 정의와 목표

Ⅱ. 주요 참여자의 식별

Ⅲ. 비용과 편익의 판단

Ⅳ. 평가문화의 조성

Ⅴ. 평가활동의 전략적 관리

Ⅵ. 평가의 신뢰도 제고

Ⅶ. 의사결정과정과의 연계

Ⅷ. 평가책임자의 선정

Ⅸ. 참여와 공개

본문내용

있으며, 평가결과의 신뢰도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반면 평가의 목표가 예산 우선순위를 개선하고 평가자가 의사결정과정과 긴밀히 연계되는 것이 중요할 때는 중앙행정기관에 의한 평가가 적절하다. 한편 평가의 목표가 공공정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거나 특화된 평가기술이 필요할 때는 외부평가자, 즉 연구기관이나 외부컨설턴트에 의한 평가가 적합하다. 그러나 이들은 평가대상이나 조직의 문화에 대한 이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론적인 평가로 끝날 수 있다. 또 평가의 목표가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일 때는 독립적인 평가가 적절하다.
(9) 참여와 공개
조직구성원 등 이해관계자를 평가위원으로 임명하거나 추진 자문그룹을 통해 참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참여하는 평가방법은 변화과정에 대한 합의와 주인의식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 및 구성원과의 대화는 이들의 요구와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와 반응도를 높일 수 있다. 평가결과를 공개하는 것은 신뢰도를 높이고 결과에 따라 집행하도록 압력을 조성한다. 공중에게 제공하는 보고서와 회의는 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조성한다. 또 명확한 기준에 근거한 판단결과와 권고사항은 주의를 끌게 되며 후속조치를 취하게 한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