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사고 (戰略的思考)] 전략적 사고의 의미와 중요성 및 전략적 행위의 사례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략적사고 (戰略的思考)] 전략적 사고의 의미와 중요성 및 전략적 행위의 사례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전략적 사고의 의미와 전략적 행위의 몇 가지 사례들

Ⅰ. 전략적 사고의 의미와 그 중요성

Ⅱ. 전략적 행위가 포함된 몇 가지 사례들

1. 데이트상대의 진심파악하기
2. 거짓말 둘러대기와 들통내기
3. 상대방 교란하기
4. 자승자박행위와 공정성
5. 벼랑끝상황 만들기
6. 지휘자와 차이코프스키의 딜레마

본문내용

, 아니면 두 사람의 관계가 폭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딸이나 아버지 모두에게 위험한 게임상황이다. 즉 딸은 낯선 손님
들 면전에서 외출허가를 거절당할 경우 심한 모욕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며,
아버지는 딸과 언쟁을 벌일 경우 모처럼 초대한 손님들과의 주말기분을 망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버지와 딸 모두 상대방이 과연 양보할지 아니면 좋지 않
은 상황이 발생할 것인지에 대해서 모른 채, 어느 정도까지 상대방을 밀어 붙
여야 할지 판단해야만 한다. 아버지가 딸에게 꼬치꼬치 캐묻지만 딸이 계속
그러한 물음에 답하지 않을 경우 폭발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딸과 아버지간에 벌어지는 이와 같은 상황은 협상에 임하고 있는 노동자
와 사용자간의 관계나 세력확장을 꾀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영역을 서서히 잠
식하는 강대국간의 관계와 유사하다. 이 경우 어느 측도 상대방의 의도를 정
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양측 모두 점진적이고 연속적인 단계적인 조치
를 통해서 상대방의 의도를 탐색해내려고 할 것이며, 그러한 단계적 조치는
상호파별의 길까지 상승될 수도 있다. 전술한 일화에서 딸은 지금까지 한 번도
시험받지 않은 행동의 자유의 한계를 탐색하려고 할 것이며, 아버지도 지금까
지 한 번도 시험받지 않은 권위의 한계를 탐색하려고 할 것이다.
위의 사례들은 모두 벼랑끝상황(brinkmanship)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호
간에 위험을 상승시키는 게임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유형의 게임은 다음과 갖
은 두 가지 중 한 가지로 귀결된다. 첫째, 두 경기자들 중 한 경기자가 먼저
자신의 인내의 한계에 도달함으로써 양보하게 된다. 우리가 소개한 사례 속의
아버지는 첫 단계부터 신속하게 양보하였다. 물론 보다 더 엄격한 아버지들도
얼마든지 있으며, 그럴 경우 딸은 처음부터 아버지와 그런 게임을 시작하지도
않을 것이다. 둘째, 어느 한 쪽이 양보하기 전에 양측 모두 두려워하는 위험
이 나타나서 그것이 폭발해버릴 수도 있다. 우리 이야기 속의 아버지와 딸간
의 갈등은 아버지가 양보하고 딸이 이김으로써 비교적 행복하게 결말이 났지
만, 만약 두 사람간의 갈등이 증폭되면 두 사람 모두에게 더 나쁜 결과가 초
래될 수 있다.
(6) 지휘자와 차이코프스키(Tchaikovsky)의 딜레마
스탈린(Stalin)시대의 소련에서 어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가 다음 연주장
소로 가기 위하여 기차여행을 하면서 그날 저벽에 연주할 악보를 들여다보고
있었다. 두 명의 KGB요원이9) 그 지휘자가 읽고 있는 것을 보고서는 그것이
비밀암호일 것이라고 판단하여 그를 간첩혐의로 체포하여 감옥에 수감하였다.
당황한 지휘자는 그 악보는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일 뿐이라고 항변
하였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감옥에 수감된 지 이틀이 되던 날에 KGB요원
이 의기양양하게 들어와서 "이제 당신은 우리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우리는 당신의 친구인 차이코프스키도 체포하였으며, 그는 이
미 모든 것을 자백하기 시작하였습니다"라고 말하였다. 한편 KGB는 이름이
그저 차이코프스키라는 죄밖에 없는 자를 체포하여 지휘자에게 했던 것과 동
일한 내용의 취조를 별도로 한다고 가정하자.
KGB의 취조내용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만약 실제로 아무런 죄가 없는
이 두 사람이 끝까지 자신들의 결백을 주장한다면 각자는 3년형을 선고받게
된다. 그러나 차이코프스키는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지만 지휘자가 KGB에
의해 가공된 그 범죄에 (허위)자백을 하면, 지휘자는 KGB의 은전으로 1년형
을 선고받을 수 있지만 차이코프스키는 반항의 대가로 가혹한 25년형을 선고
받는다. 앞의 경우와는 정 반대로 만약 차이코프스키가 (허위)자백을 하고 지
춰자가 완강하게 버틸 경우, 차이코프스키는 1년형을 선고받을 수 있지만 지
뛰자는 가혹한 25년형을 선고받게 된다. 만약 두 사람 모두 (허위)자백을 하면
두 사람 모두 표준형 인 10년을 선고받는다.
이러한 상황이 주어졌을 때 지휘자는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까? 그는
차이코프스키가 완강하게 결백을 주장할 수도 있고 또한 KGB의 협박에 못
이겨 (허위)자백을 할 수도 있음을 안다. 만약 차이코프스키가 를까지 결백을
주장할 경우, 지휘자도 끝까지 결백을 주장하면 3년형을 선고받지만 (허위)자
백을 하면 1년형을 선고받는다. 반대로 차이코프스키가 (허위)자백을 할 경우,
지휘자 자신이 결백을 주장하면 25년형을 선고받지만 자기도 그와 같이 (허위)
자백을 하면 10년형을 선고받는다. 그러므로 지휘자도 (허위)자백을 하는 편이
더 좋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차이코프스키가 어떻게 하든 관계없
이 (허위)자백은 지휘자가 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전략이 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차이코프스키도 별도의 감방에서 지휘자와 비슷한 합리적 계
산을 하고 있고 똑같은 결론을 끌어낼 것이다. 즉 지휘자가 어떻게 하든 관계
없이 (허위)자백이 차이코프스키가 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전략이 된다. 따라
서 그 결과 두 사람 모두 (허위)자백을 하게 된다. 나중에 그들이 수용소군도
에서 만나 서로간의 이야기를 비교해 보면 자기들이 KGB의 술수
에 넘어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왜냐하면 두 사람 모두 KGB의 취조에 대해서
자신들의 결백을 끝까지 주장하였더라면 두 사람 모두 훨씬 짧은 형을 선고받
을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두 사람이 분리되어 취조받아 상호간 의사교환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에 대한 대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다. 설령 그들 두 사람이 취조 전에 만나 자신들의 결백을 주장하기로 약속하
였더라도 똑같은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단 두 사람이 분리되어
취조가 시작되면 상대방을 배신함으로써 자신에게 더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각자의 합리적 계산이 그들의 행동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또다
시 수용소군도에서 만나게 될 것이며, 거기에서 협조가 아닌 배반이 가져오는
결과를 음미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 두 사람은 자기들 모두에
게 유리한 해법을 얻기 위한 충분한 상호신뢰를 쌓을 수는 없는가? 라는 문제
에 직면하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6.04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