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교의 형태
Ⅰ. 비밀외교
Ⅱ. 공개외교
Ⅲ. 쌍방외교
Ⅳ. 다자외교
Ⅴ. 회의외교
Ⅵ. 의회외교
Ⅶ. 정상외교
Ⅷ. 순방외교
Ⅰ. 비밀외교
Ⅱ. 공개외교
Ⅲ. 쌍방외교
Ⅳ. 다자외교
Ⅴ. 회의외교
Ⅵ. 의회외교
Ⅶ. 정상외교
Ⅷ. 순방외교
본문내용
위해 추친하는 경우도 있으며, 때로는 국가가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경우도 있다. 1949년 모택동이 중국인민공화국을 선포하고 나서 스탈린을 방문하여 경제원조를 얻기 위한 정상외교를 벌였고, 최근 고르바초프와 레이건 및 부시 대통령 등은 정상회담을 빈번히 개최하여 미소간 군축문제와 경제협력 등 상호간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더구나 고르바초프에 의하여 전개된 미국, 영국, 유럽, 중국, 한국 등에 대한 광범위한 정상외교는 가히 괄목할 만한 외교 활동이었으며 국제사회에 화해와 타협이라는 새로운 물결을 일으킨 바 있다. 정상외교는 국가 상호간 누적되어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역사적으로 누적된 중대한 문제를 전문적 검토에 의하지 않고 국가지도자 자신이 성급하게 결정하게 될 위험성도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회당을 통하여 합의된 사항은 전문적 외교관 차원에서 세부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후속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정상외교는 현대 국제사회에서 매우 빈번히 활용되는 외교방식이다.
정상간의 빈번한 전화통화와 함께 현대적 교통과 통신의 발발에 따라 가능해진 외교이다.
8. 순방외교(Shuttle Diplomacy)
순방외교는 다른 말로 순회외교 또는 셔틀외교라고 표현한다. 순방외교는 다수의 국가가 관련되어 있는 중요한 사항이 존재할 때, 그리고 이 사항이 매우 미묘하여 쉽게 타결되지 않고 교착상태에 빠져 있을 때, 제3의 중재자가 관련 당사국을 차례로 순방하며, 해당 문제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외교방식이다. 순방외교를 시행하는
중재자는 관련국가의 의견을 독자적으로 청취하고, 관련국가 상호간 견해 차이를 줄여서 모든 당사국이 합의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분쟁 당사국은 자국의 의친을 순방 외교관에게 차근차근 개진할 수 있고, 순방 외교관은 모든 관련 당사국들의 견해 차이를 분석하여 합의할 수 있는 방안을 발굴해 내는 것이 바로 순방외교의 핵심이다. 때때로 순방외교는 국가 정상에 의해 추진되는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분쟁 당사국이 신뢰할 수 있는 특정 국가의 외무장관이나 특정 개인이 맡는 경우가 많다. 이때 중재자의 권위와 신뢰감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1970년대 이스라엘 및 이집트의 분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키신저(Henry Kissinger) 미국 국무장관이 중동지역 각국을 순회한 순방외교가 있었고, 1980년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영토분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관련 당사국을 차례로 방문한 베이커(James Baker) 미국 국무장관의 순방외교가 있었으며, 이어 1990년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영토적 공존을 목적으로 한 평화협정을 성사시키기 위해서 와인버거(Casper Weinberger) 미국 국무장관이 진행한 순방외교가 있다.
1994년 북한 미국 핵협정을 가능하도록 다리를 놓아 준 카터(James Carter) 전 미국대통령의 남북한 순방외교도 관련 당사자의 의견 차이를 줄였던 순방외교에 해당하는 사레이다. 실제로 순방외교는 국제적 정치환경이 필요로 할 때마다 간헐적으로 실시되는 외교방식이다. 한편, 국가 수반에 의해 진행되는 순방외교도 가능한데, 이는 정상외교와 순방외교가 혼합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외교는 특정시대의 국제환경에 따라 자국의 국가이익을 확대하는 방편으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국제사회의 협력찬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국가 간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외교, 비밀외교, 쌍방외교, 다자외교, 회의외교, 의회외교, 정상외교 및 순방외교 등 다양한 외교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더구나 고르바초프에 의하여 전개된 미국, 영국, 유럽, 중국, 한국 등에 대한 광범위한 정상외교는 가히 괄목할 만한 외교 활동이었으며 국제사회에 화해와 타협이라는 새로운 물결을 일으킨 바 있다. 정상외교는 국가 상호간 누적되어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역사적으로 누적된 중대한 문제를 전문적 검토에 의하지 않고 국가지도자 자신이 성급하게 결정하게 될 위험성도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회당을 통하여 합의된 사항은 전문적 외교관 차원에서 세부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후속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정상외교는 현대 국제사회에서 매우 빈번히 활용되는 외교방식이다.
정상간의 빈번한 전화통화와 함께 현대적 교통과 통신의 발발에 따라 가능해진 외교이다.
8. 순방외교(Shuttle Diplomacy)
순방외교는 다른 말로 순회외교 또는 셔틀외교라고 표현한다. 순방외교는 다수의 국가가 관련되어 있는 중요한 사항이 존재할 때, 그리고 이 사항이 매우 미묘하여 쉽게 타결되지 않고 교착상태에 빠져 있을 때, 제3의 중재자가 관련 당사국을 차례로 순방하며, 해당 문제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외교방식이다. 순방외교를 시행하는
중재자는 관련국가의 의견을 독자적으로 청취하고, 관련국가 상호간 견해 차이를 줄여서 모든 당사국이 합의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분쟁 당사국은 자국의 의친을 순방 외교관에게 차근차근 개진할 수 있고, 순방 외교관은 모든 관련 당사국들의 견해 차이를 분석하여 합의할 수 있는 방안을 발굴해 내는 것이 바로 순방외교의 핵심이다. 때때로 순방외교는 국가 정상에 의해 추진되는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분쟁 당사국이 신뢰할 수 있는 특정 국가의 외무장관이나 특정 개인이 맡는 경우가 많다. 이때 중재자의 권위와 신뢰감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1970년대 이스라엘 및 이집트의 분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키신저(Henry Kissinger) 미국 국무장관이 중동지역 각국을 순회한 순방외교가 있었고, 1980년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영토분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관련 당사국을 차례로 방문한 베이커(James Baker) 미국 국무장관의 순방외교가 있었으며, 이어 1990년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영토적 공존을 목적으로 한 평화협정을 성사시키기 위해서 와인버거(Casper Weinberger) 미국 국무장관이 진행한 순방외교가 있다.
1994년 북한 미국 핵협정을 가능하도록 다리를 놓아 준 카터(James Carter) 전 미국대통령의 남북한 순방외교도 관련 당사자의 의견 차이를 줄였던 순방외교에 해당하는 사레이다. 실제로 순방외교는 국제적 정치환경이 필요로 할 때마다 간헐적으로 실시되는 외교방식이다. 한편, 국가 수반에 의해 진행되는 순방외교도 가능한데, 이는 정상외교와 순방외교가 혼합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외교는 특정시대의 국제환경에 따라 자국의 국가이익을 확대하는 방편으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국제사회의 협력찬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국가 간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외교, 비밀외교, 쌍방외교, 다자외교, 회의외교, 의회외교, 정상외교 및 순방외교 등 다양한 외교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