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전략 核戰略] 핵전략(대량보복전략, 신축대응전략, 제한공격전략, 최소능력확보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핵전략 核戰略] 핵전략(대량보복전략, 신축대응전략, 제한공격전략, 최소능력확보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핵전략

Ⅰ. 대량보복전략: 1953-1959

Ⅱ. 신축대응전략: 1960-1969

Ⅲ. 제한공격전략: 1970-1975

Ⅳ. 최소능력 확보전략: 1976년 이후

본문내용

행사
4. 소규모 군사적 시위
5. 소규모 군사동원
6. 소규모 무력충돌
7. 군사력의 제한적 사용
8. 위기의 심화
9. 민간인의 제한적 철수
10. 최종대기 완료
11. 대규모 군사시위
12. 지역적 제한전 전투
13. 전지역의 제한적 전투
14. 민간인 완전 철수
15. 실제적인 전면전
16. 전쟁의 종료
이상과 같은 긴장관계의 분류에 따라 칸은 핵전쟁이 시작되었을 경우에도 가능하면 최초 단계에서 핵전쟁이 중지되어 전면적인 핵전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노력하며, 동시에 핵전쟁에 의한 파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단계적 핵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결과 닉슨 대통령은 슐레진저의 '제한공격전략'을 미국 핵전략으로 채택하였고, 미소간 긴급전화(Hot Line)를 설치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위기가 발생했을 때 미소 수뇌간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핵전쟁시 미소간 의사를 교환할 수 있게 되면 최초의 핵공격 후 전면적 핵전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타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며 상호간 피해를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결국 1970년대 미국의 핵전략은 핵전쟁방지 개념으로부터 핵전쟁이 발발했을 경우에 대비하는 차원으로 비화되었다.
4. 최소능력 확보전략(The Essential Equivalence Strategy): 1976년 이후
1970년대 초 미국은 소련의 핵무기 능력이 미국의 수준에 육박하였으며, 심지어 미국의 능력을 초월할 수도 있다는 우려할 만한 가능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미국은 소련의 핵능력에 대응할 수 있는 견제와 균형 개념에 의한 핵전략을 추구하게 되었다. 1976년 카터 대통령은 맥나마라의 '신축대응전략'과 슐레진저의 '제한공격전략'을 복합적으로 섞은 '최소능력 확보전략'이라는 새로운 핵전략을 정립시켰다. 카터는 미국의 핵능력이 소련에게 뒤지게 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상황에 맞도록 핵전략 개념을 갱신한 것이었다. 카터는 상대방에 의한 선제핵공격을 감당할 수 있는 제2차 공격능력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도의 핵능력을 갖추려고 시도했다. 따라서 카터의 핵전략은 소련보다 우월한 핵능력을 추구하지 않고 소련의 핵공격 위험에 대처할 수 없는 최소한도의 핵능력을 목표로 했던 것이다.
그러나 1980년 등장한 레이건은 '힘을 배경으로 한 외교'를 주창하며, 핵전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핵능력이 소련을 능가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레이건은 새로운 방어용 무기로 전략방위구상을 추진하였으나 새로운 핵전략을 수립하지는 않았으며, 그러는 와중에 소련의 붕괴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미국의 핵전략은 핵전쟁 발할시 파괴를 극소화하기 위한 '제한공격전략'을 기본으로 하여 적의 선제공적 후에도 상대방을 충분히 제압할 수 있는 '최소능력 확보전략'으로 종결된 셈이었다.
더불어 1990년대 초부터 미국은 자신과 우방의 완전한 안보를 달성하기 위하여 미사일 방어체제를 개발하고 있다. 2000년대 초부터 미국은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핵무기의 실전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04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