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글쓰기 과제] 날조 사례, 변조 사례, 표절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 글쓰기 과제] 날조 사례, 변조 사례, 표절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과학 글쓰기 과제


☞날조란?

날조 사례
①영국 필트다운의 화석(化石) 사기 사건
②가짜 화석의 아버지
③후지무라 사건


☞변조란?

변조 사례
① KAIST 김태국 교수 논문 조작 확인
②미 미주리대 배아줄기세포 논문 사진 변조
③쇤의 논문변조 사건


☞표절이란?

표절 사례
① ‘표절 망신’ 과학 논문 끝내 출판 취소
② 과학 원로들, 표절 막자며 출간한 책이 외국서적 표절 파문
③ 2천년 전에도 표절은 있었다

본문내용

일부 표절한 것으로 2일 밝혀졌다.
출판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발간된 ‘탐욕의 과학자들’(일진사·사진)의 300여 쪽 가운데 4분의 1에 해당하는 80여 쪽이 미국의 ‘Betrayers of the Truth’(1982년 발간)를 베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은 최근 이 원서를 번역한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미래M&B)이 출간되면서 드러났다.
이 책의 번역자 김동광 씨는 “문장구조와 의미를 해석한 결과 의혹을 받는 부분의 80%가 원문을 표절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번역서의 출판사 미래M&B 측은 “(‘탐욕의 과학자들’의 내용 중) 이집트의 과학 사기꾼 알사브티를 비롯해 갈릴레오, 뉴턴, 다윈 등 여러 과학자의 부정행위를 설명한 부분이 대부분 원서를 베낀 것”이라며 “저작권 계약을 하고 국내 번역 출간한 것은 이번 번역서가 처음이기 때문에 ‘탐욕의 과학자들’은 원서를 도용한 셈”이라고 말했다.
‘Betrayers of the Truth’는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의 과학전문기자인 니컬러스 웨이드 등이 조작 날조 표절과 같은 과학계의 부정을 고발한 책이다.
이번에 논란이 된 ‘탐욕의 과학자들’의 공동 저자 4명은 민영기(천문학) 경희대 명예교수와 박택규(화학) 건국대 명예교수 등 국내 과학계의 원로여서 파문이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저자 중 한 명인 윤창주 가톨릭대 명예교수는 “이 책에서 일부 교수들이 맡은 부분이 1989년 ‘겸지사’에서 번역 출판한 ‘배신의 과학자들’에서 출처를 밝히지 않고 가져다 쓴 것이 문제가 된 듯하다”고 말했다.
‘탐욕의 과학자들’을 낸 일진사의 관계자는 “처음 저자로부터 원고를 받을 때는 이런 사실을 몰랐다”며 “표절 부분이 있는 것으로 드러난 만큼 이미 책의 출고를 중단했으며 저자들과 상의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③ 2천년 전에도 표절은 있었다
2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했던 프톨레마이오스는 별자리를 관측해 제작한 천문지도를 바탕으로 천동설을 정립했다. 1543년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발표하기 전까지 그의 이론은 무려 1400여년간 진리로 여겨졌다. 천문 관측 자료와 수학적 논증이 정교했던 탓이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지도가 그의 관측에 의해 만들어진 게 아니라 기원전 150년 경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의 기록을 베낀 것이라는 사실이 20세기에 들어서 확인됐다.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지도는 과학계 표절의 원조인 셈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1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