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향교 광주향교 비교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주향교 광주향교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광주향교
2. 나주향교
3. 향교의 배치형식
4. 향교의 영역별 공간
5. 향교의 비교
6. 느낀점

본문내용

뜻으로 양반의 자제들이 기숙사로 사용했던 곳이며 서재는 \"서쪽에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평민의 자제들이 기숙사로 사용했던 곳이다. 강학공간의 배치는 중정형 배치인데 명륜당이 가운데 있고 좌우 대칭형으로 동재와 서재가 있다. 이로 인해 공간의 위계적 질서가 생기며 물리적인 대칭성으로 인해 자유스러움이 절제된 느낌이 건축적으로 나타난다. 광주향교의 강학공간은 동재(9.8평), 서재(12.3), 명륜당(37.6평)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비해 나주향교는 동재(11.5평), 서재(11.5평), 명륜당(57.5평)으로 광주향교에 비해 전체적으로 건물이 규모가 더 크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나주목이 전주부에 이어 호남에서 두 번째 가는 고을이었으며 그에 따라 향교를 구성하고 있는 건물들도 규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광주향교의 강학공간(왼쪽부터 명륜당, 서재, 동재)
광주향교의 동재 평면도(9.8평)
광주향교의 서재 평면도(12.3평)
광주향교의 명륜당
광주향교의 명륜당 평면도(37.6평)
나주향교의 명륜당(57.5평)
문묘공간 : 문묘공간은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셔놓고 종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대성전과 동무, 서무로 구성되어 있다. 문묘공간은 유교적 규범 보급이라는 통치정책의 하나로서 유가적 의례규범을 전파하는데 기여하였다. 특이한 점은 주와 군의 문묘공간에는 대성전, 동무, 서무, 내삼문이 구성되어 있지만 현의 향교에는 동무와 서무가 없다. 이 문묘공간으로 들어가려면 내삼문을 거쳐야 하는데 내삼문은 \"안쪽에 있는 세 칸의 문\"이라는 뜻으로 학교와 사당 즉 강학공간과 문묘공간을 나누는 문이다. 문이 3개가 있는데 해가 뜨고 지는 자연법칙에 따라 동쪽으로 들어가고 서쪽으로 나오는 것이라고 한다. 가운데 있는 중문은 제수(제사음식), 제기(제사용 도구), 축문(기도문)만 출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광주향교의 내삼문(3.9평, 동쪽문이 입구 서쪽문이 출구)
광주향교의 내삼문 처마
대성전은 \"공자님의 궁전\"이라는 뜻으로 공자와 그 제자, 우리나라 학자들의 위패가 있는 곳이다. 그리고 동무와 서무는 대성전에 비해 격이 낮은 건물로 \"동, 서쪽의 행랑채라는 뜻이다. 원래는 동.서무에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있었으나 1951년 성균관에서 \"대성전에 중국 사람을 모시고 우리나라 분들께는 격이 낮은 곳에 모시는 것은 사대주의적인 발상이다.\"라고 하여 민족적 자존심을 세우려는 의도로 대성전으로 옮겼다고 한다. 대성전은 툇간이 있는 전퇴개방형과 툇간이 없는 무퇴폐쇄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광주향교와 나주향교 모두 툇간이 있는 전퇴개방형으로 되어 있다. 광주향교의 문묘공간은 내삼문(3.9평), 동무(8.7평), 서무(8.7평), 대성전(27.1평)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나주향교는 현 규모의 작은 도시가 아니라 목 규모였는데 도시였음에도 내삼문(5.2평), 동무(-), 서무(-), 대성전(48.9평)으로 동무와 서무가 없는 문묘공간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원래 동무와 서무가 존재하던 건물이었으나 1952년에 동무, 서무, 동재가 헐린 이후 동재만 보수하고 동무와 서무를 다시 재건하지 않아 목에 있는 향교임에도 불구하고 동무와 서무가 없다.
광주향교의 대성전(27.1평)
광주향교의 대성전 평면도(27.1평) 1:1.26
나주향교의 대성전(48.9평)
나주향교의 대성전 평면도 1:1.38
나주향교의 대성전 종단면도
나주향교의 대성전 횡단면도
나주향교의 대성전 앙시도
나주향교의 대성전 정면도
나주 향교의 대성전은 그 규모나 격식 면에서 전남 제일일 뿐 아니라, 남아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전국의 향교 가운데서도 수위에 해당한다. 이를 방증하는 자료로 현재 전국의 향교 가운데 보물급의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곳은 서울의 문묘와 강릉, 영천, 전주 그리고 나주향교의 다섯 곳에 불과하다. 광주향교의 대성전은 맞배지붕에 3칸짜리 건물이고 보통 향교의 대성전이 맞배지붕에 3칸짜리 건물인 것에 반해 나주향교의 대성전은 팔작지붕에 5칸짜리 건물이다. 이정도의 규모는 태학인 성균관과 비슷한 규모라고 하는데 실제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성균관 대성전을 다시 지으면서 나주향교의 대성전을 보고 지었다고 한다.
- 향교의 비교
나주향교
광주향교
창건시기
15세기 초
14세기 말
입지
평지
평지
전면 반개방성
전면의 반개방성 양호
전면의 반개방성 양호
후면 위요성
금성산 자락으로 둘러 싸여 있음
광주공원으로 둘러 싸여 있음
주산맥 흐름
금성산의 산맥이 뻗어 내림
없음
물길과 수구
향교 뒤 한수제의 물이 북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름
광주천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름
배치형식
전묘후학
전학후묘
좌향
동남향
남향
주산의 높이/거리
242m / 1048m
72m / 142m
좌청룡의 높이/거리
40m / 460m
- / -
우백호의 높이/거리
272m / 855m
70m / 250m
안산의 높이/거리
43m / 1113m
105m / 554m
건물구성
대성전,내삼문,명륜당,동재,서재,외삼문
대성전,동무,서무,내삼문,명륜당,동재,서재,외삼문,양사재
건물규모
외삼문(4평),동재(11.5평),서재(11.5평),명륜당(57.5평),내삼문(5.2평),대성전(48.9평)
동무(-),서무(-)
외삼문(3.3평),동재(9.8평),서재(12.3평),명륜당(37.6평),내삼문(3.9평),대성전(27.1평)
동무(8.7평),서무(8.7평),양사재(48평)
대성전지붕
팔작지붕
맞배지붕
대성전 가로세로비
1(세로) : 1.38(가로)
1(세로) : 1.26(가로)
대성전규모
5칸
3칸
- 느낀점
향교를 조사하며 향교에 대해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도 알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성균관 대성전을 다시 지을때 나주향교의 대성전을 보고 지었다는 흥미로운 이야깃거리, 또는 도시의 규모에 따라 동무와 서무가 없는 문묘공간이 없다는 새로운 사실... 물론 나주향교에 현재는 동무와 서무가 있긴 하지만 그것은 기단과 초석만 남아있던 것을 토대로 최근에 다시 복원한 것이므로 건물의 규모 파악이나 비교에 넣지 않았다. 이처럼 그냥 지나갔으면 몰랐던 것들도 알게 되었고 과제를 삼아 우리나라의 고전 건축을 답사했던 점도 재미있었다.
  • 가격10,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6.0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