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테러] 항공 테러리즘의 발생현황과 유형 - 항공테러 현황과 대책방안(항공기 납치, 항공기 공중 폭파, 항공시설과 이용객 공격, 항공기에 대한 미사일 공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공테러] 항공 테러리즘의 발생현황과 유형 - 항공테러 현황과 대책방안(항공기 납치, 항공기 공중 폭파, 항공시설과 이용객 공격, 항공기에 대한 미사일 공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항공테러] 항공 테러리즘의 발생현황과 유형

I. 항공기 납치

II. 항공기 공중 폭파

III. 항공시설과 이용객 공격

IV. 항공기에 대한 미사일 공격
1. 항공기 공격에 이용될 수 있는 미사일 무기
1) 스팅어 미사일
2) 레드아이 미사일
3) 미스트랄 미사일
4) 재블린 미사일
5) SA-7 그레일 미사일
6) RPG-7
2. 미사일 공격에 대한 대책
1) 국제 협력과 공동 대처
2) 대미사일 대응 기술 개발
3) 미사일 무기의 통제
4) 공항 외곽 지역에 대한 경계 강화

본문내용

있는 레드아이와
유사하며, 저고도 대공 미사일이다. 폭발력이 강력한 탄두를 사용하며, 적
외선 유도 기능을 가지고 있다. SA-7은 구소련의 제1세대 휴대용 미사일
이지만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이 간단한 특징을 가지고 있
다 (Chant, 1989: 31-34, 69). SA-7의 개량형 모델인 SA-14 그렘린(Gremlin)
과 SA-14 그렘린의 개량형인 SA-16 짐레트(Gimlet) 등이 있으며, 이라크
전역에 약 4,000기가 은닉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된 사용 용도
는 저공 비행 헬기, 수송기 및 고층 건물 기습 공격에 이용된다.
(6) RPG-7
RPG-7은 견착식 대전차용 로켓 발사 무기의 대명사이다. 하지만 저고도
로 비행하는 공격용 헬리콥터 혹은 이륙 혹은 착륙하는 모든 종류의 항공
기에 대한 공격용으로 사용되고 있다(Bonds ed- 1976: 193). RPG-7의 성
능을 개선한 RG-7도 있다. 특성은 휴대 및 사격이 간편하고 항공기, 호송
차량, 군인 등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며, 3-4명이 한 조가 되어 동시에 군
주둔지에 대한 공격도 가능한 무기이며, 다수의 테러 조직이 보유하고 있
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 미사일 공격에 대한 대책
(1) 국제 협력과 공동 대처
2003년 태국 방즉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휴대용 대공 미사일 시스템(MANPADS)의 불법적인 거래 단
속이 APEC이 검토해야 할 다양한 반(反)테러 방안 중 하나라는 사실에 광
범위한 합의를 이루어 MANPADS에 관한 'APEC 실행 계획'을 채택했다.
그리고 2003년 7월 유럽안보협력기구(Organization for Secuh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 포럼에서는 MANPADS 관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제안하고 국경 통제 및 저장시설에 대한 안전 장치
등을 개선하려는 노력과 매트릭스를 2003년 10월까지 제출할 것을 합의했다.
이러한 국제 사회의 노력은 9.11테러 이후 공항 출입자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9.11 형태의 항공기 테러가 힘들다고 판단된 테러
리스트들이 공항 외부에서 이륙하거나, 착륙하는 항공기에 대해 견착식 휴대
용 미사일을 사용한 테러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기인한 것이
다. 또한 2005년 부산에서 개최된 APEC 회의에서 각 회원국들은 MANPADS
의 민간 항공기들에 대한 위협을 완화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합의했고, 2006년까지 주요 국제공항의 MANPADS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
보완하기로 했으며, 미국이 MANPADS 식별용 가이드북을 각 회원국에 배
포하기로 했고, 민간 항공기에 Counter-MANPADS 장비 설치를 준비하고
있다.
(2) 대미사일(anti-missile) 대응 기술 개발
항공기를 향해 발사되는 미사일을 무력화하는 대응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대응 기술에는 섬광(flares), 레이저 잼(laser jammer 등
이 있다. 섬광을 이용한 기술은 적외선 추적 장비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목
표물이 가지고 있는 열보다 더 높은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열 추적을 기만
하는 방식이다. 섬광 기술의 종류에는 크게 일반 방식(conventional), 고등
방식(advanc떨), 기만 방식(cove린) 등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레이저 방식은 1세대와2세대 MANPADS 대응에 최고로 적합한 방식으
로 평가되고 있다. 이 방식은 먼저 MANPADS의 추적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제압한 다음 미사일을 기만하기 위해 레이저로 전송된 특수 변조신
호로 변경하여 처리한다. 그러나 레이저 잼 방식은 고도로 정확한 조준이
필요하므로 복잡하다. 하지만 레이저 방식은 조만간 상업용으로 가능한 것
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테러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진 SA-7은 적외선 추적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미 국토안보부에서도 이 방식이 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정하여, 현재 호환성, 경제성, 조작성 면에서 우수한 적외선 방식
(DIRCM)을 개발중에 있다.
이 밖에 지상에서 공격을 방어하는 이동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Mobile
Tactic기 High-Energy Laser: MTHEL) 기술도 미국 노드롭 그루만
(No티op Grumman)에서 개발하여 실험중에 있다.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재원 마련이 문제이기는 하지만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지속적인 기술 개
발을 통해 항공기에 대한 미사일 방어 체계를 완전하게 갖추는 길 말고는
다른 대안이 없다는 인식을 해야 할 것이다.
(3) 미사일 무기의 통제
항공 테러리즘에 대한 각국 정부의 정보 활동의 강화로 미사일이 테러범
들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현재 MANPADS는 세
계 15개 업체가 생산하고 있으며, 약 105여 개국에 보급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보급된 수량은 적어도 100,000기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통제 범위
를 넘어선 수량까지 합치면 약 500,000-750,000여 기 정도가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중 약5,000여기의 MANPADS가 통제 이
외의 범위로 사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6) 따라서 항공기 테러에 사용될
수 있는 미사일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수집, 그리고 통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4) 공항 외곽 지역에 대한 경계 강화
전 세계적으로 공항 외곽 지역에 대한 보안 대책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 이유는 국제 수준의 공항 외곽 지역은 매우 방대한 길이로 완벽한 보안
대책 마련에 따른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로서 가장 현질적인 방안은 활주로 주변에 대한 보안 감시 장비의 설치 및
순찰을 강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은폐성이 뛰어나고, 항공기 이 착륙이 빈
번한 지점에 대한 순찰을 통해 테러범들이 미사일 발사가 용이한 지점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위협이 예상되는 지역에 경계 시설을 설치하거나,
장애물을 설치하여 테러범의 접근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5.06.10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