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분석 - 이론적 배경, 안전 불감증 원인과 실태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분석 - 이론적 배경, 안전 불감증 원인과 실태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안전 불감증 원인
Ⅳ. 안전 불감증 실태
Ⅴ. 안전 불감증 해결방안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2014년 대한민국은 수많은 사건 사고를 겪은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지난 2월에는 경주 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건으로 신입생 환영행사를 하던 부산외국어대 학생들이 매몰되는 사고가 있었으며, 4월에는 세월호 침몰 사건으로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을 포함한 수많은 탑승객들이 사망하고 실종되는 일이 있었다 또한 10월에는 환풍기 붕괴 사건으로 환풍기 위에서 여자 아이돌 공연을 보던 사람들이 추락해 사망하고 부상당하는 일이 있었다 이 외에도 크고 작은 사건 사고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 안전 불감증이라는 키워드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대한민국의 안전 불감증에 대해 주목하여 안전불감증의 원인과 사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안전과 안전 불감증의 정의

 Morz는 ‘안전은 사고를 미리 방지하고 개인적인 손해 혹은 사고로 인한 재산적인 손해가 없게 만드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Strasser, Aaron, Bohn은 ‘안전이란 사람의 행동이 바뀜으로 인한 모양이나 형편이다. 또한 위험한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도록 물리적인 환경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고 발생률을 낮추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미국 국제안전 협의회에서는 ‘사고는 항상 일어나는 것이며 연관적으로 사망 손해 재산적 피해를 동반하여 발생하는 것’이라고 한다. 최경미는 “안전이란 신체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며 환경으로부터 건전한 신체의 완전한 확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안전은 인간존중의 사상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며 자기를 소중히 여기고 남을 생각하는 마음을 항상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하였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06.1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973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