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계획과 관련과학
1. 계획과 행태과학
2. 계획과 관리과학
3. 계획과 결정과학
II. 계획의 연구대상
1. 실체이론
2. 절차이론
3. 사회이론
4. 정책연구
1. 계획과 행태과학
2. 계획과 관리과학
3. 계획과 결정과학
II. 계획의 연구대상
1. 실체이론
2. 절차이론
3. 사회이론
4. 정책연구
본문내용
연구하되, 기구, 절차 등의 계획제도 혹은 계획체제를 보다 합리적 효
율적으로 개선하고 설계하는 과정적 측면의 절차이론에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3. 사회이론
사회이론(Social Theory)은 계획의 방향설정과 관련된 다분히 규범적 영역의 이론
이며, 계획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정치적 도덕적 측면의 이론들이다. 따라서 사회이
론은 계획에 있어서 사회경제체제와의 관련성, 자유와 통제, 사회정의 및 형평, 민주성
과 대응성(responsiveness), 시민참여, 인권과 윤리성 등의 문제들을 주로 다루게 된다.
이와 같은 성격의 계획을 위한 이론(theory for planning)들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사회적 형평을 중요시하는 신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의 시각, 사회과학에서
비판적 접근방법의 부각, 규범적 계획관의 대두 등 일련의 경향과 맥락을 같이 한다. 그
러나 이 영역이 계획의 실체이론이나 절차이론과 같이 동등한 차원의 상호배타적인 영
역인가 하는 분류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4. 정책연구
1965년 이후 결정이론은 정책과학(Policy Science)의 새로운 분야로 흡수되었다. 계
획이론에서의 및 가지 기법은 합리적 결정분석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문제를 제거할 만
큼 훌륭하지 못하여 과도경영사회(over-managed society)라 불리는 사회를 초래할 염
려마저 있다. 그러나 정책과학은 실제 적용을 통해 개선을 시도할 수 있으므로 점차 실
증적인 것이 되어. 이로 인해 계획이론에 새로운 분석기법이 고안 되어질 가능성이 높
다.
율적으로 개선하고 설계하는 과정적 측면의 절차이론에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3. 사회이론
사회이론(Social Theory)은 계획의 방향설정과 관련된 다분히 규범적 영역의 이론
이며, 계획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정치적 도덕적 측면의 이론들이다. 따라서 사회이
론은 계획에 있어서 사회경제체제와의 관련성, 자유와 통제, 사회정의 및 형평, 민주성
과 대응성(responsiveness), 시민참여, 인권과 윤리성 등의 문제들을 주로 다루게 된다.
이와 같은 성격의 계획을 위한 이론(theory for planning)들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사회적 형평을 중요시하는 신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의 시각, 사회과학에서
비판적 접근방법의 부각, 규범적 계획관의 대두 등 일련의 경향과 맥락을 같이 한다. 그
러나 이 영역이 계획의 실체이론이나 절차이론과 같이 동등한 차원의 상호배타적인 영
역인가 하는 분류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4. 정책연구
1965년 이후 결정이론은 정책과학(Policy Science)의 새로운 분야로 흡수되었다. 계
획이론에서의 및 가지 기법은 합리적 결정분석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문제를 제거할 만
큼 훌륭하지 못하여 과도경영사회(over-managed society)라 불리는 사회를 초래할 염
려마저 있다. 그러나 정책과학은 실제 적용을 통해 개선을 시도할 수 있으므로 점차 실
증적인 것이 되어. 이로 인해 계획이론에 새로운 분석기법이 고안 되어질 가능성이 높
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