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탐색기
2. 표출기
3. 적응기
2. 표출기
3. 적응기
본문내용
이 자기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적극적인 태도이며, 어리거나 미숙함에 의해 나타나는 불안한 감정은 색채감각을 덜 발달시키며 욕구 좌절에 대해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정OO에게 나타난 분홍색은 빨간색이 많이 함유된 분홍으로 어머니와의 관계가 재경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검정색의 출현은 언제 변하게 될지 모르는 어머니의 행동에 대한 불신을 표현한 것이다.
[그림 3] 적응기에 나타난 색채
참고문헌
김선현 저, 색채심리학, 이담북스 2013
이근매 저,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김용숙, 박영로 저, 색체의 이해(색채 이론과 활용), 일진사 2013
고현, 유시덕 외 저, 유아동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창지사 2008
오연주, 홍혜자 외 저, 미술치료, 창지사 2014
[그림 3] 적응기에 나타난 색채
참고문헌
김선현 저, 색채심리학, 이담북스 2013
이근매 저,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김용숙, 박영로 저, 색체의 이해(색채 이론과 활용), 일진사 2013
고현, 유시덕 외 저, 유아동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창지사 2008
오연주, 홍혜자 외 저, 미술치료, 창지사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