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징어의 해부
1) 외부형태
2) 내부형태
2. 대합의 해부
1) 외부형태
2) 내부형태
1) 외부형태
2) 내부형태
2. 대합의 해부
1) 외부형태
2) 내부형태
본문내용
한다. 그러나, 자웅동체인 것도 환경의 조건, 즉 영양, 수온, 기생 등으로 단성화 될 때가 많다. 수정은 보통 체외수정이지만 체내수정도 있으며, 이것은 외투막에서 이루어진다. 배란 혹은 사정은 신관 또는 개구부가 이용될 때가 많으나 신관공의 앞부분에 근접하여 생식공(genital apeture)이 있는 경우도 있다.
(4) 배설기(Excretory organs) : 조개에 있어서 배설기를 특히 보야누스 기관(Bojanus\' organ)이라고 부른다. 위심강의 복측으로 좌우 한 쌍 있으며, 청회색이 돈다. 긴 삼각형이며, 그 저변부는 후폐각근에 닿는다. 이것을 길이로 찢어버리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하단은 크며 내면에 작은 돌기가 많다. 이곳이 비뇨작용을 하는 선상부(glandular portion)이고 상단은 매우 좁아지며, 앞 쪽에서 비뇨공(rental aperture)으로 되어 새장강의 앞 끝에 열리게 되어 있다.
(5) 순환계(Circulatory organs)
위심강(Pericardial cavity) : 외투막의 등쪽 갓을 베어 내면, 인대 조금 뒤에 타원형의 방이 있는데, 이것이 위심강이다. 물론 체강의 하나이며, 이 속에는 무색 투명한 혈액이 충만되어 있다.
심장(Heart) : 위심강벽을 터뜨리고 보면 더 잘 볼 수 있거나 위에서 비추어 볼 수도 있다. 심장은 사문근으로 되고 혈액은 직접 근육에 닿고 있다. 그리고 위심강의 가운데에 있는 것 것이 심실(ventricle)이고, 이어서 뒤에 불쑥한 것이 동맥구이다. 이 속을 장(intestine)이 뚫고 나갔다. 심실의 아래에 역시 엷은 막인 삼각형의 심방(atrium)이 있다. 그 끝, 즉 뿔 같은 것은 심실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심실, 심방의 박동수와 진폭은 자극의 강도에 따라 지배받지 않는다.
혈관(Blood vessel) : 연체동물은 개방혈관계에 속한다. 대합에서도 혈관은 동맥관이 극히 짧게 관의 성질을 갖추었을 따름이고, 그 밖에는 개방성이다. 혈관의 주 관은 다음과 같다. 심실에서 앞으로 가는 동맥이 전대동맥(anterior aorta)인데, 몸의 바른편을 통하여 간에 들어가 3가지로 갈라진다. 그 첫 가지는 전폐각근 있는 곳으로 가고 나머지 1개는 창자가 굽은 곳에 따라 분지되므로 내장동맥(visceral artery)이라고 한다. 또 1개는 발끝으로 가서 가느다란 가지가 된다. 이것을 족동맥(pedal artery)이라고 한다.
; 심실에서 뒤로 가는 혈관이 후대동맥(posterior aorta)이다. 심낭 속에서 뒤로 맹돌기가 하나 있는데, 이것을 동맥구(bublus arteriosus)라고 한다. 뒤로 달리는 혈관은 후폐각근 옆에서 2분되고, 또 가는 가지를 많이 내며 수족근동맥, 외투막동맥, 새동맥으로 되어 분포하며 혈액을 보낸다. 이 피는 혈림프(hemolymph)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하다. 순환은 심실에서 전후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가고, 정맥혈은 일정한 혈관이 없어 체강이나 조직의 빈틈을 통하여 지나갈 때 깨끗이 되어 심방을 거쳐서 또 다시 심실로 가게 된다.
< 출처 : 해양생물학(8판) / 교보문고 / Peter Castro, Michael E.Huber / 2011 / p153~158 , 실험동물비교해부학 / 형설출판사 / 이종욱 외7인 / 1999 / p44~52 , 에커트 동물생리학(5판) / 월드사이언스 / 윤용달, 이창주 / 2004 / p502, 561, p610, p619~620 , 동물생리학 / 라이프사이언스 / Sherwood Klandorf Yancey / 2007 / p388, p489 >
(4) 배설기(Excretory organs) : 조개에 있어서 배설기를 특히 보야누스 기관(Bojanus\' organ)이라고 부른다. 위심강의 복측으로 좌우 한 쌍 있으며, 청회색이 돈다. 긴 삼각형이며, 그 저변부는 후폐각근에 닿는다. 이것을 길이로 찢어버리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하단은 크며 내면에 작은 돌기가 많다. 이곳이 비뇨작용을 하는 선상부(glandular portion)이고 상단은 매우 좁아지며, 앞 쪽에서 비뇨공(rental aperture)으로 되어 새장강의 앞 끝에 열리게 되어 있다.
(5) 순환계(Circulatory organs)
위심강(Pericardial cavity) : 외투막의 등쪽 갓을 베어 내면, 인대 조금 뒤에 타원형의 방이 있는데, 이것이 위심강이다. 물론 체강의 하나이며, 이 속에는 무색 투명한 혈액이 충만되어 있다.
심장(Heart) : 위심강벽을 터뜨리고 보면 더 잘 볼 수 있거나 위에서 비추어 볼 수도 있다. 심장은 사문근으로 되고 혈액은 직접 근육에 닿고 있다. 그리고 위심강의 가운데에 있는 것 것이 심실(ventricle)이고, 이어서 뒤에 불쑥한 것이 동맥구이다. 이 속을 장(intestine)이 뚫고 나갔다. 심실의 아래에 역시 엷은 막인 삼각형의 심방(atrium)이 있다. 그 끝, 즉 뿔 같은 것은 심실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심실, 심방의 박동수와 진폭은 자극의 강도에 따라 지배받지 않는다.
혈관(Blood vessel) : 연체동물은 개방혈관계에 속한다. 대합에서도 혈관은 동맥관이 극히 짧게 관의 성질을 갖추었을 따름이고, 그 밖에는 개방성이다. 혈관의 주 관은 다음과 같다. 심실에서 앞으로 가는 동맥이 전대동맥(anterior aorta)인데, 몸의 바른편을 통하여 간에 들어가 3가지로 갈라진다. 그 첫 가지는 전폐각근 있는 곳으로 가고 나머지 1개는 창자가 굽은 곳에 따라 분지되므로 내장동맥(visceral artery)이라고 한다. 또 1개는 발끝으로 가서 가느다란 가지가 된다. 이것을 족동맥(pedal artery)이라고 한다.
; 심실에서 뒤로 가는 혈관이 후대동맥(posterior aorta)이다. 심낭 속에서 뒤로 맹돌기가 하나 있는데, 이것을 동맥구(bublus arteriosus)라고 한다. 뒤로 달리는 혈관은 후폐각근 옆에서 2분되고, 또 가는 가지를 많이 내며 수족근동맥, 외투막동맥, 새동맥으로 되어 분포하며 혈액을 보낸다. 이 피는 혈림프(hemolymph)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하다. 순환은 심실에서 전후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가고, 정맥혈은 일정한 혈관이 없어 체강이나 조직의 빈틈을 통하여 지나갈 때 깨끗이 되어 심방을 거쳐서 또 다시 심실로 가게 된다.
< 출처 : 해양생물학(8판) / 교보문고 / Peter Castro, Michael E.Huber / 2011 / p153~158 , 실험동물비교해부학 / 형설출판사 / 이종욱 외7인 / 1999 / p44~52 , 에커트 동물생리학(5판) / 월드사이언스 / 윤용달, 이창주 / 2004 / p502, 561, p610, p619~620 , 동물생리학 / 라이프사이언스 / Sherwood Klandorf Yancey / 2007 / p388, p489 >
추천자료
아동발달과 교육[피아제]
고대의 경제발전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친 사상가에 대한 고찰
[과외]1.생물 가재와조개.오징어의생활
키토산의 모든 것
[갯벌][갯벌관리][갯벌오염][갯벌 생태계][해양생태계]갯벌의 정의, 갯벌의 기능, 갯벌의 생...
[생태계][생태][생태위기][생물][수중생물]생태계, 생물과 환경, 물에 사는 생물, 민물고기, ...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위생학 - 세균성 & 바이러스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지발달이론과 도덕성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
인지발달이론 -Piaget의 생애, Piaget 이론의 기본개념, 인지발달단계, Piaget 이론의 평가
인지발달 이론의 이해
피아제(인지), 콜버그(도덕성) 발달과정 비교 도표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