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Colonial Modernity in Korea)』 _ 신기욱 & 마이클 로빈슨 저 [독후감/서평]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Colonial Modernity in Korea)』 _ 신기욱 & 마이클 로빈슨 저 [독후감/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평]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Colonial Modernity in Korea), 2006>. 신기욱, 마이클 로빈슨. 삼인

객관적이지 못한 부분을 객관화하려는 시도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시대적 배경과 관계의 정립

식민지 우리나라의 근대화에 대한 타당한 물음

본문내용

식민지’ 보다는 ‘근대화’에 맞추고 있다는 점도 합리적이기 위한 좋은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근대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면 그 원인이 무엇에 있던 그렇게 중요한 문제는 아닐 것이라 생각한다.
일제 강점기의 역사 연구는 비생산적인 대립으로 점철되어 왔다. 한쪽에서는 민족에 대한 사랑도 모르는 배신자 내지 변절자인 것처럼 상대를 취급했고, 반대편에서는 현상을 냉정하게 바라 보지 못하는 한심한 꼰대로 상대를 매도했던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양자의 시선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작은 시도이다. 이 시도의 내용이 혹여 정답이 아닐지라도 개선을 위해 이 모든 대립을 마무리하려는 노력은 박수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식민지 우리나의 근대화는 어떻게 진행된 것인가? 이 책은 이 타당한 물음을 훌륭하게 구현했다고 본다.
  • 가격1,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5.08.13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6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