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답 : 4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4
문제 32 쌍화탕을 구성하는 약재 가운데 君藥에 해당하는 약초는 무엇인가?
1) 인삼
2) 숙지황
3) 천궁
4) 백작약
2점/2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수비법,수비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수비법
문제33 수치법 중 물에 녹지 않는 광물이나 패각류의 약물을 잘게 부순 다음 유발 내에서 물을 넣고 함께 갈아서 미세한 가루가 물에 떠다니게 될 때에 용기를 기울여 위의 현탁액을 따라 내고, 이를 반복하여 현탁액을 모은 다음 침전시켜 물을 버리고 건조시켜 미세한 가루로 만드는 방법은?
1점/1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3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3
문제 34 현대의학이 약의 성분을 이용한다면 한의학은 약재의 성질인 한열온량이라는 ( )와 산고감신함의( ) 를 이용한다.
1) 사마와 오통
2) 사격과 오행
3) 사기와 오미
4) 사제와 오행
3점/3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태음인,태음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태음인
문제35 다음은 어떤 체질에 대한 설명인가 허리 부위의 형세가 성장하여 서 있는 자세가 굳건하나, 반면에 목덜미의 기세가 약하다. 키가 큰 것이 보통이고 작은 사람이 드물다. 대개는 살이 쪘고 체격이 건실하다. 간혹 수척한 사람도 있으나 골격만은 건실하다. 키가 크고 체격이 좋은 편이 대부분이고 여위고 키가 작은 경우는 드물다. 이렇게 체형이 뚜렷해서 확연히 이러한 체질임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다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 외모만으로는 판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 외모는 소음인의 외모와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2점/2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2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2
문제 36 퇴계 이황 선생이 몸소 실천하여 기록한 양생서는?
1) 活生心方
2) 活人心方
3) 活氣心方
4) 活人養生書
1점/1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1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1
문제 37 약물 배합의 원칙인 칠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相生
2) 相須
3) 相畏
4) 相殺
0점/3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2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4
문제 38 다음 중 음양과 오행의 연결과 상극, 상생내용이 바르게 된 것을 고르시오.
1) 土 - 脾, 土克金
2) 金 - 肺, 金克木
3) 木 - 肝, 木克火
4) 火 - 心, 火生木
3점/3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1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1
문제 39 다음 ( )안에 알맞은 경혈명은 족궐음맥은 엄지발가락의 ( )에서 기시하여 상부로 발등의 ( )을 따라서 안쪽 복숭아뼈 8촌부위로 올라가 족태음맥의 뒤로 나가서 오금의 ( )로 상행하여 성기주변으로 들어가서 음기를 순환하여 아랫배로 들어가서 胃를 끼고 肝에 속하며 담으로 연락하여 격막을 뚫고 올라가 협륵에 분포되고 후롱의 뒤 순행하여 뺨(額部)으로 들어가서 눈주위(目系)에 連하고 이마로 올라가서 독맥과 함께 정상에서 교회한다
1) 대돈 중봉 곡천
2) 대돈 음곡 중봉
3) 대돈 중봉 음곡
4) 대돈 중봉 삼음교
4점/4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3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3
문제 40 금(金)의 특성에 대해서 올바르게 말하고 있는 것은?
1) 金曰潤下, 옛 사람들은 금(金)은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고 했다. 그리하여 차갑거나 서늘하고 습하고 아래로 움직이는 작용을 지닌 모든 것은 다 금(金)에 속한다.
2) 옛사람들은 금(金)은 가색(稼穡)을 의미한다고 했다. 가색(稼穡)이란 가는 씨앗을 뿌리는 것이고 색은 곡물을 수확하는 것이다. 금(金)은 사람이 씨를 뿌리면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생화(生化), 수납(受納) 등의 성질을 지닌 모든 사물은 금(金)에 속한다. 그러므로 금(金)은 사행(四行)을 싣고, 만물은 금(金)에서 생겨나고 만물은 금(金)에서 멸하며, 금(金)은 만물의 어머니라고 하는 것이다.
3) 금왈종혁(金曰從革), 종은 순종이고 혁은 변경과 개혁의 의미가 있다.옛 사람들은 금(金)은 변혁을 뜻한다고 했다. 그리하여 변혁 청결 수렴 하강 등의 특징을 가진 모든 사물은 금(金)에 속한다.
4) 금(金)은 굽고 곧은 것이라고 했다. 굽고 곧은 것은 사실상 나무의 생장 형태를 의미하는데 줄기와 가지는 굽거나 곧게 자라면서 위로 발전, 질서 있게 신장하는 작용과 성질을 갖는데 이와 같은 속성을 갖는 모든 사물은 금(金)에 속한다.(金曰曲直)
문제 32 쌍화탕을 구성하는 약재 가운데 君藥에 해당하는 약초는 무엇인가?
1) 인삼
2) 숙지황
3) 천궁
4) 백작약
2점/2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수비법,수비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수비법
문제33 수치법 중 물에 녹지 않는 광물이나 패각류의 약물을 잘게 부순 다음 유발 내에서 물을 넣고 함께 갈아서 미세한 가루가 물에 떠다니게 될 때에 용기를 기울여 위의 현탁액을 따라 내고, 이를 반복하여 현탁액을 모은 다음 침전시켜 물을 버리고 건조시켜 미세한 가루로 만드는 방법은?
1점/1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3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3
문제 34 현대의학이 약의 성분을 이용한다면 한의학은 약재의 성질인 한열온량이라는 ( )와 산고감신함의( ) 를 이용한다.
1) 사마와 오통
2) 사격과 오행
3) 사기와 오미
4) 사제와 오행
3점/3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태음인,태음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태음인
문제35 다음은 어떤 체질에 대한 설명인가 허리 부위의 형세가 성장하여 서 있는 자세가 굳건하나, 반면에 목덜미의 기세가 약하다. 키가 큰 것이 보통이고 작은 사람이 드물다. 대개는 살이 쪘고 체격이 건실하다. 간혹 수척한 사람도 있으나 골격만은 건실하다. 키가 크고 체격이 좋은 편이 대부분이고 여위고 키가 작은 경우는 드물다. 이렇게 체형이 뚜렷해서 확연히 이러한 체질임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다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 외모만으로는 판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 외모는 소음인의 외모와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2점/2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2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2
문제 36 퇴계 이황 선생이 몸소 실천하여 기록한 양생서는?
1) 活生心方
2) 活人心方
3) 活氣心方
4) 活人養生書
1점/1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1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1
문제 37 약물 배합의 원칙인 칠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相生
2) 相須
3) 相畏
4) 相殺
0점/3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2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4
문제 38 다음 중 음양과 오행의 연결과 상극, 상생내용이 바르게 된 것을 고르시오.
1) 土 - 脾, 土克金
2) 金 - 肺, 金克木
3) 木 - 肝, 木克火
4) 火 - 心, 火生木
3점/3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1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1
문제 39 다음 ( )안에 알맞은 경혈명은 족궐음맥은 엄지발가락의 ( )에서 기시하여 상부로 발등의 ( )을 따라서 안쪽 복숭아뼈 8촌부위로 올라가 족태음맥의 뒤로 나가서 오금의 ( )로 상행하여 성기주변으로 들어가서 음기를 순환하여 아랫배로 들어가서 胃를 끼고 肝에 속하며 담으로 연락하여 격막을 뚫고 올라가 협륵에 분포되고 후롱의 뒤 순행하여 뺨(額部)으로 들어가서 눈주위(目系)에 連하고 이마로 올라가서 독맥과 함께 정상에서 교회한다
1) 대돈 중봉 곡천
2) 대돈 음곡 중봉
3) 대돈 중봉 음곡
4) 대돈 중봉 삼음교
4점/4점 교수님께서 체크한 정답 : 3 학생이 체크한 응시답 : 3
문제 40 금(金)의 특성에 대해서 올바르게 말하고 있는 것은?
1) 金曰潤下, 옛 사람들은 금(金)은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고 했다. 그리하여 차갑거나 서늘하고 습하고 아래로 움직이는 작용을 지닌 모든 것은 다 금(金)에 속한다.
2) 옛사람들은 금(金)은 가색(稼穡)을 의미한다고 했다. 가색(稼穡)이란 가는 씨앗을 뿌리는 것이고 색은 곡물을 수확하는 것이다. 금(金)은 사람이 씨를 뿌리면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생화(生化), 수납(受納) 등의 성질을 지닌 모든 사물은 금(金)에 속한다. 그러므로 금(金)은 사행(四行)을 싣고, 만물은 금(金)에서 생겨나고 만물은 금(金)에서 멸하며, 금(金)은 만물의 어머니라고 하는 것이다.
3) 금왈종혁(金曰從革), 종은 순종이고 혁은 변경과 개혁의 의미가 있다.옛 사람들은 금(金)은 변혁을 뜻한다고 했다. 그리하여 변혁 청결 수렴 하강 등의 특징을 가진 모든 사물은 금(金)에 속한다.
4) 금(金)은 굽고 곧은 것이라고 했다. 굽고 곧은 것은 사실상 나무의 생장 형태를 의미하는데 줄기와 가지는 굽거나 곧게 자라면서 위로 발전, 질서 있게 신장하는 작용과 성질을 갖는데 이와 같은 속성을 갖는 모든 사물은 금(金)에 속한다.(金曰曲直)
추천자료
서양의 미용 문화사
감기와 변비에 관한 고찰
실학사상과 실과교육
구조적 가족치료
산림경제(山林經濟)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란?
칸트의 생애와 철학 및 실천이성의 비판
질량분석법
유전공학 기술의 응용과 현황 및 유전공학의 미래
[체육사]서양체육사
(아동발달)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인지발달이론, 한계점, 교육적 시사점 분...
[기초과학][외국 기초과학 정책 사례][기초과학의 정책 방향][과학기술]기초과학의 역할, 기...
노인 알코올중독의 치료 및 사례
[방사선][방사선 연혁][방사선 특징][방사선 측정단위][방사선 치료]방사선의 연혁, 방사선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