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품의 문제 인식
가. 대상 선정 배경
나. 접근 방법
다. 정보 세분화
2. QFD 분석절차
가. KJ법 분석
3. HOQ 분석절차
가. 고객의 요구속성(CA)
나. 기술특성(EC)
다. CA 와 EC 관계
라. EC의 목표치 설정
마. 고객 인지도
4. 결론 및 개선사항
가. 대상 선정 배경
나. 접근 방법
다. 정보 세분화
2. QFD 분석절차
가. KJ법 분석
3. HOQ 분석절차
가. 고객의 요구속성(CA)
나. 기술특성(EC)
다. CA 와 EC 관계
라. EC의 목표치 설정
마. 고객 인지도
4. 결론 및 개선사항
본문내용
는
하
중
어
떤
환
경
에
도
작
동
좋
은
설
계
안
정
된
자
세
유
지
장
시
간
사
용
가
능
한
설
계
(2) 기술특성 도출
하나 이상의 CA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변수이어야 한다.
제품이 완성된 후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야 하고, 고객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것이 선정 되어야 한다. 고객의 의견(요구품질전개표)에서 기술특성(품질요서전개표) 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시 비교 분석 하였다.
다. CA 와 EC 관계
기호
의 미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
+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
상관관계가 없음
-
보통의 음의 상관관계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
(1) CA 와 EC 전개표
라. 고객인지도
(1) 고객인지도 전개표
1
2
3
4
5
(2) 고객인지도 도출
설계자 입장에서의 판단이 아니라 고객들의 평가에 의해 작성된다. 5점 척도로 표현 해보았다.
마. 기술특성 목표치
(1) 기술특성 목표치 전개
구 분
기 술 특 성 요 소
기술수준
4
6
6
6
7
4
4
3
5
고객만족수준
6
8
5
7
8
6
6
6
5
기술난이도
0.9
0.4
0.2
0.7
0.8
0.3
0.6
0.7
0.5
중요도가중치
0.8
0.5
0.5
0.6
0.6
0.7
0.8
0.7
0.6
목 표 치
4.16
6.6
6
6.18
7.12
4.98
4.64
3.63
5
(2) 기술특성 목표치 산출 방법
a. 사용인자
- 기술수준(1~10)
- 고객만족수준(1~10)
- 기술난이도(0.1~1.0)
- 중요도 가중치(0.1~1.0)
b. 산출식
- 현 시장에서의 기술수준이 고객의 만족수준을 따라 가지 못 할 때
(고객만족수준 > 기술수준)
기술특성 목표치는
=기술수준 + (고객만족수준 기술수준) * 기술난이도 * 중요도가중치
4. 결론 및 개선사항
HOQ에서의 결론 도출 결과 고객들은 수평조절과 물품의 안전 및 안정된
자세유지가 가능한 부분에서의 폭넓은 선택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가지
경제성을 고려해 봤을 때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고 이 HOQ를 바탕으 로 물품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수평조절, 물품의 안전 유지 및 안정된
자세유지를 설계의 중점에 두고, 적용범위의 다양성 및 조작의 용이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를 하여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기계적인 설계 요소
공학적
설계요소
기호
의 미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
+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
상관관계가 없음
-
보통의 음의 상관관계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
수평유지가능
충
격
에
대
한
강
도
사용에무리없는무게
기
능
의
다
양
성
정
확
한
제
어
기
술
견딜수있는하중
어
떤
환
경
에
도
작
동
좋
은
설
계
안정된자세유지
장
시
간
사
용
가
능
한
설
계
고객의 만족도
1
2
3
4
5
기
능
성
사용성
수평조절이 자유로워야 한다.
5
상
대
적
중
요도
제품의 조작이 쉬어야 한다.
4
+
고장이 나서는 안된다.
2
물품의 안전이 우선시 되어야한다.
4
+
적용범위가 다양해야 한다.
2
공간사용이 효율적이어야 한다.
1
-
+
효율적인 구조여야 한다.
3
-
디
자
인
외형
안정된 자세유지가 가능해야 한다.
4
+
내구성이 강해야 한다.
3
+
재질
파손이 일어나면 안 된다.
2
+
너무 무거우면 안 된다.
2
기술수준
10
5
6
4
10
5
8
8
7
고객만족수준
9
4
4
3
9
7
7
9
5
기술난이도
1
0.4
0.4
0.5
1
0.5
0.7
0.9
0.3
중요도가중치
1
0.3
0.5
0.7
1
0.4
0.9
1
0.6
목 표 치
9
0.5
0.4
1.1
9
2
4.4
8.1
1.4
(Stewart platform HOQ)
하
중
어
떤
환
경
에
도
작
동
좋
은
설
계
안
정
된
자
세
유
지
장
시
간
사
용
가
능
한
설
계
(2) 기술특성 도출
하나 이상의 CA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변수이어야 한다.
제품이 완성된 후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야 하고, 고객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것이 선정 되어야 한다. 고객의 의견(요구품질전개표)에서 기술특성(품질요서전개표) 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시 비교 분석 하였다.
다. CA 와 EC 관계
기호
의 미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
+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
상관관계가 없음
-
보통의 음의 상관관계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
(1) CA 와 EC 전개표
라. 고객인지도
(1) 고객인지도 전개표
1
2
3
4
5
(2) 고객인지도 도출
설계자 입장에서의 판단이 아니라 고객들의 평가에 의해 작성된다. 5점 척도로 표현 해보았다.
마. 기술특성 목표치
(1) 기술특성 목표치 전개
구 분
기 술 특 성 요 소
기술수준
4
6
6
6
7
4
4
3
5
고객만족수준
6
8
5
7
8
6
6
6
5
기술난이도
0.9
0.4
0.2
0.7
0.8
0.3
0.6
0.7
0.5
중요도가중치
0.8
0.5
0.5
0.6
0.6
0.7
0.8
0.7
0.6
목 표 치
4.16
6.6
6
6.18
7.12
4.98
4.64
3.63
5
(2) 기술특성 목표치 산출 방법
a. 사용인자
- 기술수준(1~10)
- 고객만족수준(1~10)
- 기술난이도(0.1~1.0)
- 중요도 가중치(0.1~1.0)
b. 산출식
- 현 시장에서의 기술수준이 고객의 만족수준을 따라 가지 못 할 때
(고객만족수준 > 기술수준)
기술특성 목표치는
=기술수준 + (고객만족수준 기술수준) * 기술난이도 * 중요도가중치
4. 결론 및 개선사항
HOQ에서의 결론 도출 결과 고객들은 수평조절과 물품의 안전 및 안정된
자세유지가 가능한 부분에서의 폭넓은 선택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가지
경제성을 고려해 봤을 때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고 이 HOQ를 바탕으 로 물품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수평조절, 물품의 안전 유지 및 안정된
자세유지를 설계의 중점에 두고, 적용범위의 다양성 및 조작의 용이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를 하여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기계적인 설계 요소
공학적
설계요소
기호
의 미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
+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
상관관계가 없음
-
보통의 음의 상관관계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
수평유지가능
충
격
에
대
한
강
도
사용에무리없는무게
기
능
의
다
양
성
정
확
한
제
어
기
술
견딜수있는하중
어
떤
환
경
에
도
작
동
좋
은
설
계
안정된자세유지
장
시
간
사
용
가
능
한
설
계
고객의 만족도
1
2
3
4
5
기
능
성
사용성
수평조절이 자유로워야 한다.
5
상
대
적
중
요도
제품의 조작이 쉬어야 한다.
4
+
고장이 나서는 안된다.
2
물품의 안전이 우선시 되어야한다.
4
+
적용범위가 다양해야 한다.
2
공간사용이 효율적이어야 한다.
1
-
+
효율적인 구조여야 한다.
3
-
디
자
인
외형
안정된 자세유지가 가능해야 한다.
4
+
내구성이 강해야 한다.
3
+
재질
파손이 일어나면 안 된다.
2
+
너무 무거우면 안 된다.
2
기술수준
10
5
6
4
10
5
8
8
7
고객만족수준
9
4
4
3
9
7
7
9
5
기술난이도
1
0.4
0.4
0.5
1
0.5
0.7
0.9
0.3
중요도가중치
1
0.3
0.5
0.7
1
0.4
0.9
1
0.6
목 표 치
9
0.5
0.4
1.1
9
2
4.4
8.1
1.4
(Stewart platform HOQ)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