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과제] 비고스키(비고츠키/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 의 개념, 근접발달영역의 단계적 분류, 근접발달영역의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 과제] 비고스키(비고츠키/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 의 개념, 근접발달영역의 단계적 분류, 근접발달영역의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발달 과제)비코스키의 근접발달영역의 개념, 근접발달영역의 단계적 분류, 근접발달영역의 사례



Ⅰ. 서론

Ⅱ. 본론
 1.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이란?
 2. 근접발달영역의 개념
 3. 근접발달영역의 단계적 분류
 4. 근접발달영역의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가 자동화를 이루는 것이다.
4. 근접발달영역의 사례
-여섯 살 난 아이가 장난감을 잃어버리고 아버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아버지는 아이에게 장난감을 가장 최근에 본 곳이 어디냐고 묻는다. 아이는 “기억이 안나요”라고 대답한다. 아버지는 몇 가지의 질문을 한다. “네 방에 두었니? 집 밖에 두었니? 옆 방에 두었니?” 매번 질문에 대해 아이는 “아니오”라고 대답한다. 아버지가 “차 안에 두었니?”라고 물었을 때 아이는 “그런 것 같아요”라고 대답하고 장난감이 있는 곳을 기억해 냈다.
Ⅲ. 결론
비고스키는 개인의 지적발달은 문화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는 모든 지식은 한 공동체로서의 사회집단의 긴 역사를 통해 누적된 문화적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아동은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화적 산물로서의 지식을 내면화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지발달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아동의 지적발달은 내면화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지발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성인과 아동의 상호 참여활동을 통해 촉진되는 것이다. 근접발달영역은 바로 이러한 상호 참여활동에 의해 진단될 수 있다. 또한 근접발달영역은 교수 활동의 영향을 받는다. 서로 다른 교수가 주어졌을 때 서로 다른 근접발달영역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은 인지발달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전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으며, 아동의 인지발달에 교사나 성인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아동의 학습은 성인들이 아동을 적극적으로 발달적 경로를 따라 이끌어감으로써 최적화된다. 교사의 역할은 아동이 준비가 된 것을 가르치거나 이미 획득한 필수적 정신 기능을 사용하는 과제를 주는 것이라기보다 아동의 근접발달영역 안에 있는 또는 아동의 독립적인 기능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과제를 계속 주는 것이다. 더불어 근접발달영역은 개개인 아동마다 다르므로 어떤 아동은 학습에 관계된 가능한 모든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어떤 아동은 거의 아무런 도움 없이도 학습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한 학습과정에서 어떤 아동의 실제적 발달수준에서 잠재적 발달수준으로 옮겨가는 시간은 각각 다르므로 교사에 의한 학습은 근접발달영역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아동의 인지발달에 교사나 성인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 있어 비고스키의 이 이론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8.30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