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 1
2. 실험 재료 ……………………………………………………… 1
3. 실험 방법 및 절차 …………………………………………… 1
4. 실험 결과 및 토의 …………………………………………… 2
(1) 동물세포에서의 삼투현상 …………………………………… 2
(2) 식물세포에서의 삼투현상 …………………………………… 3
2. 실험 재료 ……………………………………………………… 1
3. 실험 방법 및 절차 …………………………………………… 1
4. 실험 결과 및 토의 …………………………………………… 2
(1) 동물세포에서의 삼투현상 …………………………………… 2
(2) 식물세포에서의 삼투현상 …………………………………… 3
본문내용
고장액에서는 용매의 농도가 세포의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농도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 세포 내에 있는 물이 세포 바깥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 때 동물세포의 경우에는 세포막이 없기 때문에 쪼그라들게 된다.
(2) 식물세포에서의 삼투현상
(2)-1. 저장액에서의 양파 표피세포 관찰
적혈구와 마찬가지로 저장액에서는 용매의 농도보다 세포 안의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물이 세포 바깥에서 안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동물세포와는 다르게 식물세포는 질긴 세포벽이 있기 때문에 적혈구의 경우처럼 세포막이 터지는 용혈현상은 일어나지 않고, 물이 최대한 들어올 수 있을 만큼 들어와서 세포가 빵빵해지는 팽윤상태가 된다.
(2)-2. 고장액에서의 양파 표피세포 관찰
고장액에서는 용매의 농도가 세포의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농도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 세포 내에 있는 물이 세포 바깥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 때 세포벽과 원형질은 붙은 상태로 수축되므로 세포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런데 어느 정도 수축하고 나면 세포벽은 더 이상 수축하지 않고 원형질만이 줄어들어 결국 세포벽과 분리되게 된다.
위 실험에서도 세포벽과 원형질이 분리되어 원형질이 세포벽 안에서 쪼그라든 모습을 볼 수 있다.
(2) 식물세포에서의 삼투현상
(2)-1. 저장액에서의 양파 표피세포 관찰
적혈구와 마찬가지로 저장액에서는 용매의 농도보다 세포 안의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물이 세포 바깥에서 안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동물세포와는 다르게 식물세포는 질긴 세포벽이 있기 때문에 적혈구의 경우처럼 세포막이 터지는 용혈현상은 일어나지 않고, 물이 최대한 들어올 수 있을 만큼 들어와서 세포가 빵빵해지는 팽윤상태가 된다.
(2)-2. 고장액에서의 양파 표피세포 관찰
고장액에서는 용매의 농도가 세포의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농도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 세포 내에 있는 물이 세포 바깥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 때 세포벽과 원형질은 붙은 상태로 수축되므로 세포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런데 어느 정도 수축하고 나면 세포벽은 더 이상 수축하지 않고 원형질만이 줄어들어 결국 세포벽과 분리되게 된다.
위 실험에서도 세포벽과 원형질이 분리되어 원형질이 세포벽 안에서 쪼그라든 모습을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