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질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관상동맥질환
1. 관상동맥 : 심근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
2. 관상동맥 질환이란?
심근에 전달되는 관상동맥 혈류량 부족으로 심근대사에
필요한 산소의 양이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 (최근 급증)
* 원인 : 1) 죽상 동맥 경화증, 2) 관상동맥 수축, 3) 혈전
* 증상 : 흉통 또는 심장급사
* 협심증 : 관상동맥의 부분적 협착이 있으나 치료시
대부분 심근 회복이 가능한 상태
심근경색증 : 관상동맥의 완전 폐색으로 심근괴사
3. 정상 관상동맥의 구조와 기능
1) 내막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층으로 구성
- 혈액과 동맥벽 사이의 장벽 역할
- 선택적 투과성 : 물질이 혈액에서 동맥벽으로의 이동 조절
- 내피세포 수용체 : LDL, 성장인자(growth factor)
- 내피세포 유도성 이완인자 분비 :
산화질소(nitric oxide),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 분비
-> 혈관확장과 항응고 작용, 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 억제
- 혈소판 유도 성장인자 분비 : plasminogen, von Willebrand인자
- 동맥경화의 병변이 주로 일어나는 곳
2) 중막
- 내막과 외막의 경계
- 탄력있는 결체조직과 동맥벽의 평활근 세포로 이루어져 있음
- proteoglycan, collagen, elastic fiber, 혈관평활근 풍부
내막과 외막의 엘라스틴 섬유층 사이에 많은 구멍들이 있어
물질 이동이 용이
- 동맥경화의 진행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보임
- 혈관의 긴장도(tone) 유지
에프네프린, 안지오텐신 II(혈관수축), 프로스타싸이클린(확장)
등에 의해 작용 반응
LDL, 인슐린, 혈소판 유도성장인자 등과 같은 물질에 대한
수용기를 가지고 있음
3) 외막
- 혈관의 가장 외층
- 촘촘한 교원섬유로 구성
혈관벽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작은 혈관
( vasa vasorum ) 분포
- 자율신경계가 분포되어 있어 혈관의 수축과 확장작용
4. 동맥경화증
1)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Athero = 죽상 sclerosis = 경화
국소적, 내막에 죽상종 발생 - 혈관내경 좁힘 - 혈류장애 초래
임상양상 : 심근, 뇌, 사지 허혈증으로 발현
주요한 위험 인자 : 염증, 고콜레스테롤증 등
2)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Arterio = 동맥 sclerosis = 경화
미만성, 중막에 퇴행성 변화 초래 - 섬유화 진행
혈관의 탄성 감소 - 수축기 혈압 상승
임상양상 : 심근 비대 등
주요한 위험 인자 : 고혈압, 노화 등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3.10.31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89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