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관상동맥질환
1. 관상동맥 : 심근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
2. 관상동맥 질환이란?
심근에 전달되는 관상동맥 혈류량 부족으로 심근대사에
필요한 산소의 양이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 (최근 급증)
* 원인 : 1) 죽상 동맥 경화증, 2) 관상동맥 수축, 3) 혈전
* 증상 : 흉통 또는 심장급사
* 협심증 : 관상동맥의 부분적 협착이 있으나 치료시
대부분 심근 회복이 가능한 상태
심근경색증 : 관상동맥의 완전 폐색으로 심근괴사
3. 정상 관상동맥의 구조와 기능
1) 내막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층으로 구성
- 혈액과 동맥벽 사이의 장벽 역할
- 선택적 투과성 : 물질이 혈액에서 동맥벽으로의 이동 조절
- 내피세포 수용체 : LDL, 성장인자(growth factor)
- 내피세포 유도성 이완인자 분비 :
산화질소(nitric oxide),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 분비
-> 혈관확장과 항응고 작용, 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 억제
- 혈소판 유도 성장인자 분비 : plasminogen, von Willebrand인자
- 동맥경화의 병변이 주로 일어나는 곳
2) 중막
- 내막과 외막의 경계
- 탄력있는 결체조직과 동맥벽의 평활근 세포로 이루어져 있음
- proteoglycan, collagen, elastic fiber, 혈관평활근 풍부
내막과 외막의 엘라스틴 섬유층 사이에 많은 구멍들이 있어
물질 이동이 용이
- 동맥경화의 진행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보임
- 혈관의 긴장도(tone) 유지
에프네프린, 안지오텐신 II(혈관수축), 프로스타싸이클린(확장)
등에 의해 작용 반응
LDL, 인슐린, 혈소판 유도성장인자 등과 같은 물질에 대한
수용기를 가지고 있음
3) 외막
- 혈관의 가장 외층
- 촘촘한 교원섬유로 구성
혈관벽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작은 혈관
( vasa vasorum ) 분포
- 자율신경계가 분포되어 있어 혈관의 수축과 확장작용
4. 동맥경화증
1)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Athero = 죽상 sclerosis = 경화
국소적, 내막에 죽상종 발생 - 혈관내경 좁힘 - 혈류장애 초래
임상양상 : 심근, 뇌, 사지 허혈증으로 발현
주요한 위험 인자 : 염증, 고콜레스테롤증 등
2)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Arterio = 동맥 sclerosis = 경화
미만성, 중막에 퇴행성 변화 초래 - 섬유화 진행
혈관의 탄성 감소 - 수축기 혈압 상승
임상양상 : 심근 비대 등
주요한 위험 인자 : 고혈압, 노화 등
1. 관상동맥 : 심근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
2. 관상동맥 질환이란?
심근에 전달되는 관상동맥 혈류량 부족으로 심근대사에
필요한 산소의 양이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 (최근 급증)
* 원인 : 1) 죽상 동맥 경화증, 2) 관상동맥 수축, 3) 혈전
* 증상 : 흉통 또는 심장급사
* 협심증 : 관상동맥의 부분적 협착이 있으나 치료시
대부분 심근 회복이 가능한 상태
심근경색증 : 관상동맥의 완전 폐색으로 심근괴사
3. 정상 관상동맥의 구조와 기능
1) 내막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층으로 구성
- 혈액과 동맥벽 사이의 장벽 역할
- 선택적 투과성 : 물질이 혈액에서 동맥벽으로의 이동 조절
- 내피세포 수용체 : LDL, 성장인자(growth factor)
- 내피세포 유도성 이완인자 분비 :
산화질소(nitric oxide),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 분비
-> 혈관확장과 항응고 작용, 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 억제
- 혈소판 유도 성장인자 분비 : plasminogen, von Willebrand인자
- 동맥경화의 병변이 주로 일어나는 곳
2) 중막
- 내막과 외막의 경계
- 탄력있는 결체조직과 동맥벽의 평활근 세포로 이루어져 있음
- proteoglycan, collagen, elastic fiber, 혈관평활근 풍부
내막과 외막의 엘라스틴 섬유층 사이에 많은 구멍들이 있어
물질 이동이 용이
- 동맥경화의 진행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보임
- 혈관의 긴장도(tone) 유지
에프네프린, 안지오텐신 II(혈관수축), 프로스타싸이클린(확장)
등에 의해 작용 반응
LDL, 인슐린, 혈소판 유도성장인자 등과 같은 물질에 대한
수용기를 가지고 있음
3) 외막
- 혈관의 가장 외층
- 촘촘한 교원섬유로 구성
혈관벽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작은 혈관
( vasa vasorum ) 분포
- 자율신경계가 분포되어 있어 혈관의 수축과 확장작용
4. 동맥경화증
1)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Athero = 죽상 sclerosis = 경화
국소적, 내막에 죽상종 발생 - 혈관내경 좁힘 - 혈류장애 초래
임상양상 : 심근, 뇌, 사지 허혈증으로 발현
주요한 위험 인자 : 염증, 고콜레스테롤증 등
2)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Arterio = 동맥 sclerosis = 경화
미만성, 중막에 퇴행성 변화 초래 - 섬유화 진행
혈관의 탄성 감소 - 수축기 혈압 상승
임상양상 : 심근 비대 등
주요한 위험 인자 : 고혈압, 노화 등
추천자료
근골격계질환(직업병)과 현장운동, 근골격계질환(직업병)과 민주노총, 근골격계질환(직업병)...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의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원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발병 ...
[근골격계질환][근골격계직업병]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의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용어...
[근골격계질환][근골격계직업병]근골격계질환의 정의, 근골격계질환의 특성, 근골격계질환의 ...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출혈성대장균과 콜레라,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와 장염비브리오...
[감염성질환, 한의학, 인플루엔자, 육음, HI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 감염병]감염성질...
[노인성질환, 피부질환, 퇴행성관절염, 피부암, 치매, 뇌졸중, 노인]노인성질환과 피부질환, ...
[뇌질환, 외상성뇌손상, 뇌혈류장애, 뇌졸중, 노인성뇌질환, 신경질환]뇌질환과 외상성뇌손상...
[만성정신질환자, 정신재활간호사업, 재활서비스, 사회적응기술훈련]만성정신질환자와 정신재...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을 설명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질환 중 심혈관계 질...
[심장질환] 심장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증상, 심혈관계질환, 영양대사장애, 심장질환 치...
[심혈관계질환] 심혈관계 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치료방법 -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심...
[내분비질환] 내분비계 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 뇌하수체 질환(뇌하수체기능 ...
[위장질환] 위의 구조와 기능, 위장질환(위질환)의 종류(급성위염과 만성위염), 소화성 궤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