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한국)의 교육내용 운영관리(교육과정개발, 교육과정의 검토, 학교교육내용에 대한 사회적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한국)의 교육내용 운영관리(교육과정개발, 교육과정의 검토, 학교교육내용에 대한 사회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의 교육내용 운영관리

I.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노력
1.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제시
2. 교육과정 결정 절차의 문제

II.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탐색과 비판
2. 교육과정의 적합성 평가

III. 학교교육내용에 대한 사회적 분석
1. 교육내용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분석
2. 학교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분석

본문내용

천의 근저에 있는 전략적 가치들의 진면목을 폭로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비판이론가들은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에 관한 짜임새 있는 공식 성명서를 개발하지 않고 있다. 이들은 숨겨진 교과과정이 지배집단의 이익을 반영하므로 피지배집단의 종속과 복종을 유도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이유가자본주의 경제구조에 있다고 설명한다.
다섯째, 재개념주의는 1970년대 초부터 등장했으며 하나의 교의(敎義 : dogma)나 독단적 주장이기보다는 성향(orientation)에 가깝다. 재개념주의의 아이디어는 Heubner(1963)와 MacDona1d(1975)의 글에서 등장했으며 Pinar(1975)에 의해 강조되었다. 재개념주의자들은 미국 학교가 개인적 목적, 생생한 경험, 상상력 있는 생활, 분석과 측정으로 포착되지 않은 이해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섯째, 인지적 다원주의는Aristoteles의 세 가지 유형의 지식 -이론적, 실천적, 생산적 지식 -에 근원을 두고 있으나 지식과 인지의 다원적 개념이 교육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다른 이데올로기에 비해서 오히려 늦었다.
인지적 다원주의는 인간의 독특한 특성 가운데 하나로서 상징을 만들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한다. 교과과정 영역에서 이 이데올로기는 영국의 Peters와 Hirst, 그리고 미국의 Phenix와 Eisner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이들은 지식의 다원성과 다양한 인지적 유형들의 독특한 기능들을 강조하였다. 인지적 다원주의는 심리학자 Gardner(1993)에 의해서 다중지능이론으로 발전하였다.
인지적 다원주의는 인간의 인지 유형이 종족과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고 지능이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구성됨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일 경우, 교과과정은 여러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고 수업과 평가는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세심하게 배려하여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인지적 다원주의 이데올로기는 학급에서의 교육적 공평성(educational equity)을 확대시키는 데 기여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인지적 다원주의에 의해 교과과정이 구성되고 수업이 진행되면 다양한 내용을 여러 가지 유형으로 배울 수 있고 적합한 방법에 의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2) 학교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분석
학교 교육내용을 사회학적으로 규명해 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한만길(1984)은 교육내용으로 강조되고 있는 교육 가치는 일관성이 없으며, 시기적으로 각기 다르며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다르며, 합의된 것이 아니고 일관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학교 교육내용으로 대중문화를 제시한 최돈민(1984)은 대중문화도 문화의 한 양상이므로 교육내용의 대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고 보았으나, 학교교육에서는 고급문화를 그 대상으로 구성하면서 대중문화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대중문화는 고급문화를 타락시키지 않고 나름대로의 심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들이 향유하고 있는 문화적 의의가 있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에게 대중문화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개인의식이 교육내용에 정당화된다고 주장하는 연구(황규호, 1986)도 있고, 교육내용이 인간화되어져야 한다는 연구(고재호, 1985)도 있다. 고재호는 인간주의 교육을 주장하면서 해방적인간화의 시각을 도입하여 교육내용의 사회적 성격을 밝혔는데, 개인의 내면적 각성과 더불어 인간 해방의 교육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교육과정 지식의 기초로서 의식과 생활세계를 다룬 연구(지은영, 1987)에서는 교육과정 지식에 대한 인간학적 의미의 회복을 위해 의식과 생활 세계를 교육과정의 주요 지식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